무악

무악

[ 巫樂 ]

요약 무당의 굿판에서 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의 총칭. 일명 무속음악·굿음악.

현재 전라도 단골무당의 굿판에서 연주되는 악기는 주로 젓대·피리·해금·장구·징이고, 경우에 따라서 가야금·아쟁·태평소·퉁소 같은 악기가 포함되기도 한다. 넓은 의미의 무악은 무당의 노래인 무가(巫歌)를 포함시킬 수 있지만, 좁은 의미의 무악은 춤의 반주음악만을 가리킨다.

현재 무당의 종류에 따라서 무악은 두 갈래로 구분된다. 하나는 강신무(降神巫)를 중심으로 한 한강 이북 지방의 무악이고, 다른 하나는 한강 이남의 세습무(世襲巫) 중심의 무악이다. 예전엔 무을 신방곡(神房曲 또는 神方曲)·심방곡(心方曲)이라고 불렀다. 요즈음에는 전라도에서 기악으로 만 연주되는 무악을 시나위·시나오·신아위라고 부른다.

신윤복의 무녀도(간송미술관 소장)

신윤복의 무녀도(간송미술관 소장)

경기도 무악의 경우 한강 이남 지방 세습무(世襲巫)의 무악에 연주되는 악기는 장구·징·꽹과리·피리·젓대·해금·북·바라이다. 굿의 종류에 따라서 악기편성이 약간씩 다르다. 무당춤의 반주악기는 삼현육각과 비슷하게 피리·젓대·해금(奚琴)·장구·징으로 편성된다. 이런 악기편성은 충남·전라도·경상도의 서부 지방 무가의 반주에도 사용된다.

무당춤의 반주음악으로는 "반염불"·"허튼타령"·"굿거리"·"당악"(堂樂)·"도살푸리"가 많이 쓰인다. 한강 이북에서 많이 쓰이는 장단은 도드리·굿거리·자진타령·당악이다. 한강 이남의 경기도와 충청도 그리고 전라도 지방에서는 도살푸리·모리·발뻐드래·도드리·굿거리·자진타령·당악·진쇠·울림채·부정노리·조임채·가래조·푸살·터벌림·겹마치·권선장단·청등채·봉등채·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등이 많이 연주되는 장단이다.

무악의 선율은 한강 이북의 경우 경토리조(調)로 됐고, 한강 이남의 것은 육자배기조 또는 판소리평조와 비슷한 가락으로 됐다. 무악이 연주되는 대표적인 굿은 첫째로 집굿(황토물림·초부정·안반고시레·불사굿·성주굿·제석굿·조상군웅굿·서낭굿·손굿·터주굿·새성주굿·마구간굿·뒷전)이고, 둘째는 도당굿(유가굿·부정굿·터불림굿·손굿·구능굿·서낭굿·대내림굿·뒷전)이다.

강원도 무악은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의 동해안 지방과 춘천·원주 중심의 영서 지방으로 구분된다. 영동 무악은 꽹과리·장구·징·바라 같은 타악기로만 편성되고, 선율악기는 쓰이지 않는다. 이 지방의 무악장단으로는 청보·제마수·쪼시개·드렁갱이·고삼·자삼·동살푸리가 많이 쓰인다. 무악의 선율은 대부분 메나리조의 5음음계(미·솔·라·도·레)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굿은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이지만, 부정굿·당맞이·청좌굿·하회굿·조상굿·세존굿·축원굿·심청굿·지신굿·군웅굿·장군굿·용신굿·손님굿·꽃노래·등노래·대맞이·환우굿에서 무악이 반주로 연주된다.

현행 강릉단오굿의 무당과 반주자들

현행 강릉단오굿의 무당과 반주자들

영서 지방의 무악은 철원·춘천 중심의 선굿과 원주·횡성 중심의 앉인굿으로 세분된다. 앉인굿의 무악은 충청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선굿의 무악은 경기도 강신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선굿의 악기는 장구·징·바라 같은 타악기로만 편성됐다. 무악의 선율은 경조의 5음음계(솔·라·도·레·미)로 구성됐다. 많이 연주되는 장단은 굿거리·자진굿거리(이상은 무가) 및 도드리·굿거리·자진타령·당악(이상은 춤반주)이다. 선굿의 부정굿·가망굿·칠성 등에서 무악이 연주된다.

충청도 무악은 다른 지방에 비해서 특징이 적다. 그 이유는 충남과 인접한 전라도 지방의 영향 및 충북과 인접한 경기도 지방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충남의 무악에는 피리·젓대·해금 같은 선율악기가 사용되고, 안진반·살푸리·덩덕궁이·시님장단 같은 전라도의 무악장단이 사용되며, 충북의 무악에는 도살푸리·모리·발뻐드래 같은 경기도 무악장단이 사용된다. 그러나 충청도 무악은 세습무인 단골무당의 음악이 많이 연주됐지만, 요즈음에는 강신무의 무악이 커진 이유가 강원도의 선굿 영향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살푸리·도살푸리·자진모리 등의 무악장단이 사용되고, 선굿의 악기편성처럼 장구·징·바라 같은 타악기 위주로 연주되기도 한다.

전라도의 무악은 세습무의 단골무당을 중심으로 한 음악이다. 이 지방에서 강신무의 음악은 찾아보기 어렵다. 악기로만 연주되는 단골무당의 무악은 시나위 또는 심방곡(心方曲)이라고 하고, 무당춤의 반주음악은 살푸리라고 불린다. 시나위나 살푸리는 명칭만이 서로 다를 뿐이고 음악적인 내용은 서로가 같다. 악기편성은 삼현육각처럼 피리·젓대·해금·장구·징으로 구성되며, 때에 따라서 가야금·아쟁·태평소 등이 첨가된다. 무악에 선율악기가 사용되는 것은 전라도 외에 경기도와 충청북도이다. 강원도와 경상도의 서부 지방 무가에서 피리 같은 선율악기가 쓰이는 것은 전라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많이 쓰이는 장단은 살푸리와 자진살푸리 또는 도살푸리이다. 그 외에 전북 단골굿의 경우 외장구·안진반·살푸리·덩덕궁이·자진굿거리·중중모리·중모리 등의 장단이 쓰인다. 선율의 특징은 중심음을 기준으로 완전4도 아래 음과 장2도 윗음을 골자로 한 육자배기조로 되어 있다. 시나위로 연주되는 경우 각 악기들은 똑 같은 가락을 함께 제주하지 않고, 제 각기 헤테로포니(heterophony)식으로 다른 청으로 가락을 연주하다가 함께 나가기도 한다. 이것이 전라도 무악의 특징이다.

제주도의 무악은 무가에 비해서 열세에 놓여 있다. 굿에서 쓰이는 악기는 장구·꽹과리(설쇠)·징(대양 또는 울집)·북·바라 같은 타악기들이다. 젓대나 피리 같은 선율악기는 쓰이지 않는다. 무악장단으로는 자진모리와 굿거리가 많이 쓰인다.

경상도의 무악은 장고·징·꽹과리 등 타악기로만 편성되고 선율악기는 사용되지 않는다. 동해안 무악의 경우처럼 대개 무악은 대대로 이어받는 세습무에 의해서 전승되고 있다. 장단이나 선율도 강원도 동해안 지방의 것과 비슷하다.

황해도와 평안도의 무악은 강신무의 굿음악이다. 세습무는 찾아보기 어렵고, 악기로 연주하는 무악은 드물고 대개 무가를 주축으로 삼는다. 장구·바라·깽매기가 주로 사용되고, 굿거리·타령·당악(堂樂)장단이 많이 연주된다.

함경도의 무악은 강원도 동해안의 것과 많이 비슷하다. 장구·제금(자바라)·양푼 같은 타악기가 쓰이고, 타령과 잦은타령 계통의 장단이 많이 사용된다. 이북 지방의 무악에는 선율악기가 사용되지 않는 점에서 황해도·평안도·함경도 무악의 공통점이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802~806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44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21쪽
  • 『음악, 삶의 역사와 만나다』,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11년, 1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