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위

시나위

요약 ① 무악(巫樂)의 한 갈래. 일명 시나오·신아위·신악(神樂)·신방곡(神房曲)·심방곡(心方曲). 단골무당의 굿판에서 악기로 합주하는 음악의 총칭.
② 농악놀이의 한 가지.
③ 1971년 문화공보부에 제출한 중요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重要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무악(巫樂)의 한 갈래. 일명 시나오·신아위·신악(神樂)·신방곡(神房曲)·심방곡(心方曲). 단골무당의 굿판에서 악기로 합주하는 음악의 총칭. 시나위는 본래 경기도 이남과 전라도 및 충청도의 시나위권 단골무당의 굿판에서 연주되는 기악곡을 의미하는 용어였다.

원래 시나위곡은 희악(戲樂)·송악(頌樂)·제악(祭樂)·축악(祝樂) 등으로 구분되어 있고, 여기에 각각 무용이 따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그 음악의 내용을 상세히 알 수 없고, 다만 12채 굿장단 가운데 7채만이 남아 있으며, 이 장단은 경기·충청·전라 지방에 따라 그 명칭이 조금씩 다르다. 이는 신산(神山)·신읍(神邑)에 정착된 단골제도가 경기·충청·전라의 삼도대방(三都大房)으로 구분되어 있어 각기의 특색 있는 조류가 이루어진 까닭으로 보인다. 시나위의 도살풀이는 도당(都堂)굿에 쓰이는 도당살풀이를 도살풀이라고 약칭한 것 같다. 도당은 마을 수호신(守護神)에게 제사지내는 단(壇)을 일컫는다. 남부 지방은 살풀이, 경기 지방은 도살풀이, 한강 이북과 서울 등지에서는 굿거리가 무악의 기본이다.

시나위는 신라 향가사뇌가(詞腦歌) 또는 사내가(思內歌)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본래 시나위는 굿판에서 살풀이·자진살푸리·도살푸리·모리·발뻐드래 등의 무악장단에 맞추어 젓대·피리·해금·장구·징으로 합주되는 기악곡이었다. 그러나 근래 젓대시나위나 해금시나위에 나오는 시나위는 산조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현행 시나위합주 때 무악장단 대신에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같은 산조장단이 사용되기 때문에 개념상의 혼란이 생긴다. 따라서 현행 시나위합주는 무당의 굿판에서 연주된 시나위합주와 구분되어야 마땅하다.

오늘날 시나위라는 말을 쓰는 사람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의미를 내포한다. 시나위젓대처럼 시나위는 산조의 뜻으로 사용됐지만, 현재 피리·젓대·해금·장구·징의 기본 편성에 퉁애·태평소(날라리)·아쟁·가야금 등을 첨가한 편성으로 산조가락을 합주하는 것을 시나위 또는 시나위합주라고 한다. 이때 시나위합주의 음악적 특징으로 기악은 산조와 같다. 연주형식은 악기마다 제 각기 연주하는 듯한 인상을 주는 헤트로포니(hetrophony)식으로 연주하면서도 조화시켜 나가는 점이 특징이다.

시나위 선율은 무악의 특징처럼 무정형(無定形)의 악장으로 되어 있다. 시나위장단은 느린 도살풀이로 시작되어 차츰 빠른 가락으로 변화하면서 그 다음 이른바 밧짝모리로 나아가 발뻐드래(산조의 휘모리와 같음) 끝맺는다. 시나위곡의 특징은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한 부침으로 일관되어 처음에는 합주형식, 그리고 중반에는 독주형식으로 전개된다. 시나위가락은 불협화음적인 느낌을 주고 있으나, 불협화음의 조화가 시나위곡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원시적인 감각을 못 벗어난 것 같은 시나위곡은 우리 전래 무악(巫樂)의 일반적인 음악 요소이므로, 판소리·산조·민요 등 모든 민간음악은 시나위곡의 기본 위에서 형성되고 있다. 이는 민간음악의 장단과 부침의 변화 및 그 멜로디의 흐름이 시나위곡에서 기원되고 있음을 명백히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젓대시나위나 해금시나위라는 말이 사용된 까닭은 원래의 시나위합주에 참여한 무부(巫夫) 중의 일부가 시나위가락을 독주로 연주했고, 또한 판소리가락을 악기로 흉내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락이 산조가락의 모태로 간주되고 있다. 산조의 옛날 명인들이 대금산조(大笒散調)를 젓대시나위라고 하거나 산조대금(散調大笒)을 시나위젓대라고 불렀고, 해금산조(奚琴散調)를 해금시나위라고 부른 것도 시나위와 산조의 역사적 관련성을 입증하고 있다.

시나위에서 주로 쓰인 장단은 살푸리·자진살푸리·도살푸리·모리·발뻐드래이고, 산조에서 쓰이는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장단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본 장단은 살푸리와 자진살푸리장단이다. 시나위가 주로 합주로 연주되지만 가끔 독주로 연주되기도 하는데, 독주로 연주되던 시나위가 산조 발생의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시나위의 어원에 대한 세 학설이 있다. 첫째로 신라 '사뇌가'는 동토(東土)를 뜻하며 넓은 뜻으로는 '동방고유(東方固有)의 노래,' 그리고 좁은 의미로는 '신라의 가요'이므로 '사뇌'(詞腦) 곧 'imagefontimagefont'는 본래 신라인이 자국(自國)의 가악을 뜻함이었다는 양주동(梁柱東)의 학설이다.

둘째로 이탁(李鐸)의 학설: 시나위는 imagefontimagefontimagefontimagefontimagefontimagefontimagefontimagefont→시imagefontimagefont→시imagefont위→시나위로 발전한 것이고, 그것은 'imagefontimagefont'(詞腦: 신라시대의 노래)에서 온 말이고, '사뇌'(詞腦)는 나중에 일정한 가곡을 특징하는 고유명사로 화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셋째 이혜구(李惠求)의 학설: 시나위는 음편(音便)으로 시나이·시내로 변할 수 있고, 그 시내를 『삼국사기』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오는 '사내'(思內) 또는 '사뇌'(詞腦)에 의(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시나위는 외래음악에 대한 토속음악, 또는 당악에 대한 향악이라고 해석하였다.

② 농악놀이의 한 가지. 경기도 안성농악(安城農樂)의 농악놀이나 남사당패(男社黨牌)의 판굿놀이에 나오는 시나위는 벅구놀이 다음에 벌어지는 놀이다. 이 놀이의 형태는 잽이들이 ㄷ자로 줄을 지어 만들고 논 다음에 무동서기의 놀이가 계속된다.

③ 1971년 문화공보부에 제출한 중요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重要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이보형(李輔亨)과 유기룡(劉起龍)이 작성한 이 보고서의 검토 이후, 경기시나위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됐을 때 예능보유자는 지영희(池瑛熙)였고, 전수자는 최경만·홍옥미·최태현·함석주였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336~37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44, 445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76~77쪽

참조어

심방곡(心方曲) , 경기시나위 , 기악(器樂), 민속음악(民俗音樂), 밧짝모리, 시나오, 신방곡(神房曲), 신아위(神娥慰), 산조(散調) , 민요(民謠) , 농악(農樂) , 무악(巫樂) , 범패(梵唄) , 판소리 , 민간음악(民間音樂) , 피리신아위(觱篥神娥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