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푸리

살푸리

요약 ① 남도무악(南道巫樂)의 총칭.
② 고사염불(告祀念佛)의 한 곡명.
③ 무용 반주음악의 한 곡명.
④ 일제강점기 춤 장단의 하나.
⑤ 경기도 무속장단(巫俗長短)의 하나.
⑥ 경기도 피리시나위의 한 악장.
⑦ 지영희류(池瑛熙流) 피리산조의 한 악장.

① 남도무악(南道巫樂)의 총칭. 오늘날 살푸리라는 말은 쓰는 사람에 따라서 장단·춤·무용·반주음악 등의 여러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본래 어느 굿판에서 연주되는 음악인 무악뿐만 아니라 춤·노래·반주음악 등을 모두 포함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살푸리는 굿에서 불리는 무가(巫歌)를 장구로 반주하는 경우에 장단명으로 쓰였고, 그 굿에서 연주된 무당춤의 명칭으로 사용됐다. 기악으로 연주된 무당춤의 반주음악을 뜻하는 말로도 사용됐다. 그러므로 살푸리라는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살푸리 뒤에 장단·춤·음악의 접미어를 붙이면 된다.

살푸리는 전라도와 충청도 지방의 굿에서 주로 쓰였다. 그것은 역사적으로 그 지방 민속음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 대표적인 성악곡으로 판소리가 있고, 기악곡으로는 시나위산조(散調)가 있으며, 무용으로는 살푸리춤이나 무당춤이 있다. 지방에 따라서 살푸리를 도살푸리·당굿·도당굿이라고도 한다.

고사염불(告祀念佛)의 한 곡명. 시주집의 주인이 고사상(告祀床)을 차려놓으면 걸립승(乞粒僧)이 부르는 선염불(先念佛)의 한 종목이 살푸리다.

③ 무용 반주음악의 한 곡명. 무용반주로 연주되는 시나위를 살푸리라고 부른다.

④ 일제강점기 춤 장단의 하나. 한성준(韓成俊)이 연주한 살푸리는 지세장단·쇠장단·고산명불장단·꺾음살푸리·봉동채·밧탕고·국거리·타령과 함께 춤의 반주로 연주되었다.

살푸리 본문 이미지 1

⑤ 경기도 무속장단(巫俗長短)의 하나. 4박의 이 장단은 1) 배다리(반서림 4박), 2) 배다리모리(빠른 10박), 3) 부정노리(8박), 4) 도살푸리(빠른 6박), 5) 살푸리(4박), 6) 살푸리모리(4박), 7) 올님채(빠른 10박), 8) 겻맞치(4박), 9) 잦인굿거리(4박), 10) 당악(빠른 4박), 11) 진쇠(17박+10박+10박=37박), 12) 푸살(15박), 13) 터벌님(10박), 14) 권선(10박), 15) 봉등채(5박), 16) 가래조(빠른 10박), 17) 서울 노래가락(初34박+中31박+終21박=86박), 18) 길군악(24박), 19) 굿도도리(6박), 20) 바라노리(4박), 21) 부정노리(4박)와 함께 쓰인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⑥ 경기도 피리시나위의 한 악장. 지영희(池瑛熙)가 전하는 피리신아위(觱篥神娥慰)는 도살푸리(6관 중한림·4관 비청·3관 원청·단5관)·살푸리(단5관)·모리(발뻐드래·굿거리잦모리(단오관청)·굿거리(단오관 잣모리)로 구성됐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⑦ 지영희류(池瑛熙流) 피리산조의 한 악장. 국악예술학교(國樂藝術學校)의 교재에 나오는 지영희의 피리산조는 진양(우평조·계면조·계면)·중모리(계면)·중중모리 겸 살푸리·굿거리로 구성됐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131쪽
  • 『朝鮮唱劇史』, 255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61쪽
  •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 成錦鳶 편, 서울: 민속원, 2000년, 17~26, 29~45, 367~448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371쪽

참조어

살푸리장단 , 살푸리음악 , 살풀이 , 발버드래살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