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풀이

살풀이

요약 ① 걸립승(乞粒僧)이 부르는 고사염불(告祠念佛)의 한 곡명.
② 남도무무(南道巫舞)의 한 종목.
③ 남도 무악장단(巫樂長短)의 하나.

① 걸립승(乞粒僧)이 부르는 고사염불(告祠念佛)의 한 곡명. 살풀이는 내용에 따라 분류된 고사염불의 "과거풀이"·"농사풀이"·"달풀이"·"삼재풀이"·"지성풀이"·"초앞풀이"·"호구풀이" 중 한 곡명이다. 시주집에 고사상(告祀床)을 차려놓고 탁발승(托鉢僧)이나 고사소리꾼이 북과 꽹과리의 장단에 맞추어 고사염불을 부른다. 장단은 자진모리에 가깝고 선율은 경토리에 가깝다.

김혜경(金慧鏡)의 고사소리에서 "살풀이"는 첫 번째로 불리었고, 둘째 곡은 달풀이었고, 셋째 곡은 호구역살풀이였다. 한편 박청해(朴靑海)가 부른 고사선염불(告祀先念佛)에서 "살풀이"는 세 번째로 불렸다. 그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글랑 그리로 하려니와/건명(乾命)의 모씨댁(某氏宅)에/상남(上男) 자손(子孫) 서방님과/효자(孝子) 중남(中男) 도련님과/하남(下男)에 여자 아기/무릎 밑에 길 동작(動作)/어깨 넘어 설 동작(動作)/ ··· 운운."

② 남도무무(南道巫舞)의 한 종목. 남도굿에서 파생된 살풀이는 살(煞)을 푼다는 뜻의 우리말로 흉살(凶煞)과 재난(災難)을 소멸시켜 행복을 맞이한다는 종교적 소원을 담고 있다. 살풀이굿에서 무당이 살풀이음악에 맞추어 추던 무무(巫舞)였으나, 이것에 후에 굿에서 떨어져 나와 민속춤의 하나로 발전되어 살풀이춤이 되었다.

살풀이장단에 맞추어 추는 독무의 살풀이춤은 정중동(靜中動) 또는 동중정(動中靜)의 신비스러우며 자유스럽고, 그 위에 환상적 동작으로 되어 있어 예술적이고 종교적인 춤이다. 승무(僧舞)처럼 처음에 느린 한배의 장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차츰 빠른 장단으로 옮겨지는 살풀이춤의 반주장단은 느린 춤에서는 긴살풀이로 하고, 빠른 춤에서는 자진살풀이로 한다. 반주음악의 가락은 이른바 시나위가락이다.

살풀이춤에서 수건은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서무(序舞)에서는 짐짓 느긋이 거닐고 이따금 수건을 오른팔 왼팔로 옮기고, 때로 앉고 서기도 한다. 그 정지하는 속에서 가녀린 율동, 또 이와 반대로 격렬한 움직임 속에 태고(太古)와 같은 적멸(寂滅)의 상태가 살풀이춤의 볼품이자 특징이다. 들었던 수건을 떨어뜨리는 경우 몸을 굽히고 엎드려 두 손으로 들어 올리지만, 손을 쓰지 않고 입으로 물어 올리는 가락이 한층 인상적이고 매력적이다. 어느 춤이고 그렇지만 살풀이춤도 이를 정(靜)하고 단아(端雅)하게 엮는 사람이 있고, 반대로 기름지고 풍만하게 가져가는 사람이 있다. 이 경우 전자는 조촐하나 섬세한 살풀이춤이 되고, 후자는 수선스럽고 분방한 살풀이춤이 될 것은 자명하다.

이 춤의 음악반주로 피리 2, 젓대·해금(奚琴)·장고·북이 각각 하나인 이른바 삼현육각 편성이다. 이것은 다른 무용반주의 경우와 같으나, 이 살풀이춤에서의 장단은 단장고(單杖鼓) 그리고 음악은 입타령으로 하는 것도 효과적이며 이색적임은 말할 것도 없다. 근년까지 살풀이의 입타령의 선창(善唱)으로는 임춘앵의 언니 임유앵이 유명하였다. 아무튼 살풀이굿에서처럼 삼엄하고 귀기(鬼氣)가 횡일하는 냉혹한 춤이 바로 이 살풀이춤이다. 살풀이는 덩덕궁이와 함께 무무의 반주음악으로 쓰인다.

③ 남도 무악장단(巫樂長短)의 하나. 살풀이는 3분박의 좀 느린 4박자(8분의 12)로 느린굿거와 비슷하다. 살풀이는 안진반·시님장단·덩덕궁이·중모리·중중모리와 함께 전라북도와 충청도의 무가(巫歌)에서 사용된 장단이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133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55, 120, 15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