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소리

고사소리

[ 告祀- ]

요약 고사굿에서 불리는 노래의 총칭. 일명 고사염불(告祀念佛)·고사선염불(告祀先念佛)·고사반(告祀飯)·고사덕담(告祀德談).

고사소리의 음악적 특징은 지방에 따라서 서로 다른데, 서울·경기 지방의 소리조는 경조(京調) 곧 에 가깝고, 전라도 지방의 것은 육자배기조이다.

고사소리의 장단도 그 지방에서 많이 쓰이는 장단이 사용된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이 많이 쓰이고, 그 소리를 엮어가는 모양새는 와 비슷하다.

과거급제(科擧及第)를 축하하는 홍패고사(紅牌告祀)소리, 장지(葬地)에서 부르는 입비(立碑)고사소리, (乞粒牌)가 부르는 성주(城主)고사소리(일명 안택(安宅)고사) 등이 그 대표적인 보기들이다. 이런 고사소리의 대부분 가사는 역대 왕조의 치국(治國)에 관한 내용과 그 지방의 산세(山勢)에 관한 내용, 그리고 집안의 번영과 자손들의 부귀영화를 비는 축원의 내용이다.

예로부터 서울 지방에서 활동한 범패승(梵唄僧) 대부분이 고사소리에도 능통했다. 서울 봉원사(奉元寺)의 (金慧鏡)·(朴松庵), 그리고 서울 미타사(彌陁寺)의 (朴靑海)가 고사소리에 뛰어났고, 남사당패(男社黨牌)의 (南雲龍)의 기능 전수자 (李秀英)도 고사소리를 잘 불렀다.

김혜경의 고사소리는 ""(告祀先念佛: "")·""·"호구역(戶口疫)풀이"·"농사(農事)풀이"·""·"성주(城主)풀이"·"삼재(三災)풀이"·""(平念佛)·""(和請)·""(父母恩重經)으로 구성됐다.

박청해의 것은 "화청"·""("고사선염불": "직성(直星)풀이"·""·"별상풀이"·"노정기"(路程記)·"과거풀이"·"비단(緋緞)풀이"·"옷마른게질"·"")·("성주풀이"·"입춘(立春)풀이"·"살림치장"·"사랑치장"·"액운이운"(厄運移運)·"평염불"·""(悟調念佛)·"반맥이")로 됐다.

한편 이수영이 부른 고사소리는 ""(先告祀: 일명 "선불"(先拂) 또는 "")·"후불"(後佛: 일명 "뒷염불")·"반맥이"·""·"오조염불"·""(千手經)으로 구성됐다. 이 중에 "화청"·"축원"·"평조염불"·"회심곡"·"고사선염불"·"뒷염불"·"오조염불"·"반맥이" 등이 된 바 있다.

충북 음성(陰城)에 사는 (金辰玉)의 고사소리는 "성주푸리"·"용왕푸리"·"조왕푸리"·""·""("")·"농사푸리"로 구성됐다. 리듬은 3분박 4박자로 좀 불규칙했고, 그 가락은 로 되어 있다. : 깽-깽 깽-깽 깽깽깽깽-깽(반복)이고,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일심정념(一心精念)은 극락세계(極樂世界)라/나무시방은 극락세계/나무아미 나무아미타불/천지세상을 마련할 때여/어느 성군에 마련했나/산지조종(山之祖宗)은 곤륜산(昆崙山)이요/수지조종(水之祖宗)은 황해수(黃海水)요/ ··· 운운."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1.91~92쪽

참조어

고사염불(告祠念佛) , 고사덕담(告祀德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