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선염불

고사선염불

[ 告祀先念佛 ]

요약 고사소리를 할 때 부르는 염불. 일명 고사덕담(告祀德談).

후에 부르는 과 구별하기 위해 고사선염불이라 부른다. 고사선염불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 이것을 길게 내리 부르는데, 그 내용에 따라 "산채풀이"·"액풀이"·"성주풀이" 등으로 구분된다. 이 굿음악은 대개 서로 비슷하며 내리 부르기 때문에 사설을 듣지 않으면 음악으로서는 구분이 어렵다. (和請)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고사선염불의 가사나 내용은 부르는 사람이나 지방에 따라서 약간 다르지만, 줄거리는 비슷하다.

서울과 경기 지방의 경우 고사선염불은 어느 집의 문전(門前)에서 (平念佛)이 끝난 후 걸립승(乞粒僧)을 집안으로 모시고 (告祀飯)을 차린 후에 불리는데, 서(序)·"직성(直星)풀이"·""·"삼재(三災)풀이"·""·"호구역(戶口疫)풀이"·""·"농사(農事)풀이," 이렇게 여덟 노래로 구성됐다.

서울과 경기 지방의 노래는 딴-다·딴-다(♩♪♩♪)의 리듬에 맞추어 독창으로 불린다. 그 노랫가락은 5음음계의 (平調)로 됐다. 한때 남사당패(男社黨牌)의 이었던 (李秀英)은 에 맞추어 이 노래를 부르다가 가끔 신코페이션(syncopation)을 써서 리듬의 변화를 주면서 소리를 엮어나갔다. 그 노랫가락은 동해안 의 으로 됐다.

한편 판소리명창 (孔大一)은 고사선염불을 판소리식으로 엮어 ····에 맞추어 재미나게 엮어가면서 불렀다. ··윤만순·이수영이 부른 고사선염불이 된 바 있다. 다음은 김혜경(金慧鏡)이 부른 노래의 가사이다.

"천계(天啓) 하자 하늘 생겨/지개(地開) 조차 땅 생겼네/국태민안(國泰民安)이 법윤전(法輪轉)/세화연풍 년년이 돌아온다/삼각산 기봉(起峰)하여/봉악(峰岳)이 주춤 생겼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1.90~91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55쪽

참조어

선불(先佛), 선고사(先告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