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모리

중모리

요약 ① 판소리 연주에서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불리는 노래의 총칭.
② 산조(散調)의 한 악장(樂章).
③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인 장단의 하나. 일명 중거리.
④ 무악장단(巫樂長短)의 하나.
⑤ 산조와 병창 및 민요에 쓰인 장단의 하나.
⑥ 지영희류(池瑛熙流) 피리산조의 한 악장.
⑦ 창악(唱樂) 곧 판소리에 쓰인 장단의 하나.

① 연주에서 에 맞추어 불리는 노래의 총칭. 중모리의 뛰어난 대목으로 중 ""·""·""(母女長歎), 중 ""·""·"," 수궁가 중 "남경장사 선인들"·"선인을 따라가며"·"부녀상봉"(父女相逢) 등이 있다. 이런 중모리의 노래는 악조에 따라서 여러 정경(情景)으로 보여준다. 즉 (界面調)의 중모리는 비참한 느낌을 주고, 화평(和平)한 느낌은 (羽調)나 (平調)의 노래에서 얻어진다.

② (散調)의 한 악장(樂章).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연주되는 악장이 중모리이다. 이 악장은 ·와 함께 산조틀의 기본이 된다. 중모리는 ··젓대산조···퉁소산조·아쟁산조·새납산조·에 모두 나오는 악장이고, 이 악장은 리듬과 가락의 다양한 변화를 보여준다.

③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인 장단의 하나. 일명 중거리. 장단의 빠르기에 따라서 중모리는 ··로 세분된다. 자진중모리는 단중모리라고 한다. 보통 빠르기 12박자의 중모리는 서술적인 대목에 쓰인다. 조금 느린 12박의 장단인 중모리는 12/8박자로 표기하면 메트로놈 ♪=60~80이 되고, 12박이 한 장단이 된다. 치는 법은 12박으로 치며, 구음은 "쿵·궁·딱, 궁·딱·딱딱, 궁·궁·딱, 궁·응·궁"이 된다. 춘향가 중의 "쑥대머리," 흥보가 중 "가난타령" 등이 중모리장단으로 부르는 대목이다.

④ (巫樂長短)의 하나. 경기도 남부 지방의 (巫歌)에서 사용된 장단의 하나인 중모리는 도살풀이··삼공잽이···와 함께 사용된 장단이다. 중모리는 ··쪼시게·드렁갱이··중중모리·자진모리와 함께 동해안 지방의 무가에서 사용된 장단이다. 중모리는 ···덩덕궁이·중중모리와 함께 전북 단골굿의 무악에서 사용되는 장단이고, 전라남도의 무가에서 ·(대왕노리)·중중모리·덩덕궁이와 함께 사용된 장단이다.

⑤ 산조와 병창 및 민요에 쓰인 장단의 하나. 중모리장단은 진양··중중모리·굿거리····와 함께 쓰인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⑥ 지영희류(池瑛熙流) 피리산조의 한 악장. (國樂藝術學校)의 교재에 나오는 지영희의 피리산조는 진양(우평조·계면조·계면)·중모리(계면)·중중모리 겸 살푸리·굿거리로 구성됐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⑦ 창악(唱樂) 곧 판소리에 쓰인 장단의 하나. 중모리장단은 진양·엇중모리·굿거리·잣모리·휘모리·엇모리와 함께 쓰인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5.2015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44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20, 239, 266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73쪽
  •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 成錦鳶 편, 서울: 민속원, 2000년, 17~26, 463~76, 477~94쪽

관련이미지

출처: 한겨레음악대사전

참조어

중모리장단 , 단중모리, 휘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