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모리

휘모리

요약 ① 판소리 공연 때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불리는 노래.
② 산조(散調)의 한 악장(樂章).
③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인 장단의 하나.
④ 경기농악(京畿農樂)에 쓰인 장단의 하나.
⑤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오는 국악예술학교(國樂藝術學校)의 『아쟁교본』이나 『대금교본』 또는 『피리교본』에 나오는 "대풍류"의 한 곡명.
⑥ 산조와 병창(併唱) 및 민요에 쓰인 장단의 하나.
⑦ 창악(唱樂) 곧 판소리에 쓰인 장단의 하나.

판소리 공연 때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불리는 노래.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불리는 노래로는 춘향가 중 "신연(新延)맞이"·"춘향 잡아내린다"·"호남 각지로 분발," 그리고 흥부가 중 "음식타령"·"박타기" 등이 있다.

휘모리 본문 이미지 1

산조(散調)의 한 악장(樂章).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연주되는 악장이 휘모리이다. 휘모리악장은 자진모리악장보다 빠른 악장이다. 휘모리악장을 포함한 가야금산조는 강태홍류(姜太弘流)·김병호류(金炳昊流)·김윤덕류(金允德流)·박상근류(朴相根流) 산조이다.

휘모리악장은 신쾌동류(申快童流) 거문고산조에도 나오지만, 대금산조(大笒散調)·해금산조(奚琴散調)·아쟁산조(牙箏散調)에는 없다. 휘모리악장의 특징은 가락의 묘미(妙味)보다 변화무쌍한 리듬의 다양성(多樣性)과 연주기법의 기교(技巧)에 있다.

③ 판소리와 산조에서 쓰인 장단의 하나. 아주 빠르게 휘몰아가는 자진휘모리는 닫모리(단모리) 또는 세산조시라고 한다. 매우 빠른 4박자의 휘모리는 분주한 장면에 많이 쓰인다. 자진모리와 같은 4박의 장단이지만, 그보다 더 빨리 치는 장단이다. 가장 빠른 장단으로 4박의 휘모리는 4/4박자이고, 메트로놈 ♩=120~200이 된다. 4박 또는 단 박으로 치며, 구음은 "쿵·궁·궁딱·궁"이고 2분박이다. 흥보가 중에서 "쏟아놓고 돌아서서"가 이에 속한다.

일제강점기 한성준(韓成俊)이 연주한 휘모리는 평타령·중머리·진양조·엇머리와 함께 판소리의 북 장단으로 연주되었다.

경기농악(京畿農樂)에 쓰인 장단의 하나. 휘모리장단은길군악·마당일채(마당길채)·잦인가락·동리삼채·쩍쩍이가락·능계굿거리·부정노리와 함께 쓰인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⑤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오는 국악예술학교(國樂藝術學校)의 『아쟁교본』이나 『대금교본』 또는 『피리교본』에 나오는 "대풍류"의 한 곡명. 이 곡은 "반염불"·"굿거리"·"자진굿거리"·"느린헛튼타령"·"중헛튼타령"·"자진헛튼타령"·"휘모리"("당악")로 구성됐다.

⑥ 산조와 병창(併唱) 및 민요에 쓰인 장단의 하나. 휘모리장단은 진양·중모리·엇중모리·중중모리·굿거리·잣모리·엇모리·세마치와 함께 쓰인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창악(唱樂) 곧 판소리에 쓰인 장단의 하나. 휘모리장단은 진양·중모리·엇중모리·굿거리·잣모리·엇모리와 함께 쓰인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6.2509~510쪽
  • 『朝鮮唱劇史』, 255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266, 292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73쪽
  •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 成錦鳶 편, 서울: 민속원, 2000년, 81~111, 303~332, 335~64, 449~61, 463~76, 477~94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855쪽

참조어

당악(堂樂) , 휘모리장단 , 단중모리, 중모리 , 닫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