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농악

경기농악

[ 京畿農樂 ]

요약 경기도 지방에서 연행되는 농악의 총칭. 일명 웃다리가락.

삼남농악(三南農樂) 즉 에 대칭되는 곧 경기농악은 안성·화성·이천 등의 남부농악과 광주(廣州)·양주·김포·강화 등의 북부농악으로 구분된다. (農樂隊)의 편성은 영기(令旗)·(農旗)··(··)·징·(·)·북·버구(상버구·부버구·꼬리버구)·(상무동·)··로 구성된다.

전라도농악에 비해 이 적고, 그 대신 무동이 많다. 무동·새미·탈광대는 악기를 치지 않고 춤을 춘다. 의 구성은 ·돌림버꾸··겹돌림버구····당산돌림버구·당산벌림··쌍줄백이··가세벌림··네줄백이·밀치기버꾸·의 순서이다. 경기농악에 쓰이는 은 ····덩덕궁이···· 등이 있다.

이 경기농악의 대표적인 농악으로 꼽히지만, 그밖에 광주(廣州) 지방의 농악도 성행한다. 다른 지방의 농악에 비해 경기농악의 무동춤과 가 유명하고, 그 외 ·새미놀이·열두발 채 같은 진법도 뛰어났다. 각 지방에 따라서 인적 구성이나 진법·장단 등이 조금씩 차이가 있겠다. 대체로 농악대의 편성은 영기·농기··꽹과리·징·북·장구··무동·새미·탈광대·양반으로 구성된다.

경기농악에서 많이 쓰이는 장단은 굿거리·덩덕궁이·잦은가락·길군악칠채·동리삼채 등이다. 은 일반 이나 민요 에 쓰이는 장단과 같다. 과 같은 는 행진··무용음악에 두루 쓰이는 장단이다. 나 장단과 같은 잦은가락은 진법에서 연주된다. 7박자 계통의 길군악칠채는 진법과 행진에 쓰이며, 과 비슷한 동리삼채는 무동춤에 사용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1.123~24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52~5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