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소

태평소

[ 太平簫 ]

요약 향악기(鄕樂器)의 하나. 일명 날라리·새납·초나(哨吶)·쇄나(瑣imagefont)·쇄납(瑣imagefont)·호적. 본명은 대평소.
태평소(太平簫)

태평소(太平簫)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에서 모두 연주되는 태평소는 서양 오보에(oboe)종류의 관악기다. 목부(木部) 또는 공명악기(空鳴樂器, aerophone)에 든다.

〈역사적 유래〉 본래 서아시아 이슬람교국에서 중국에 소개된 태평소가 후에 우리나라에도 전래됐다. 오늘날 페르시아에서 이 관악기는 스르나(surna), 터키와 이라크에서는 즈르나(zurna), 북인도에서는 샤나이(shanai)라고 각각 불린다.

이 관악기의 중국식 역음(譯音)을 본떠서 우리나라에서 태평소를 초나(哨吶)·쇄나(瑣imagefont쇄납(瑣imagefont)라고 불렀다. 태평소를 호적이라고 부른 이유는 고려 말 몽골군을 통해서 전래됐기 때문이다. 이 관악기가 언제 우리나라에 소개됐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고려후기로 추정된다. 태평소라는 악기명은 정몽주(鄭夢周)의 시(詩)에서 처음으로 발견된다.

조선초기 『태조실록』 권6에서 이 관악기를 태평소라고 했다.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권7에서도 태평소라고 소개됐으며, 당악기(唐樂器)의 하나로 분류됐다.

『악학궤범』 권7에 처음으로 이 관악기의 그림이 나온다. 성종(1469~1494) 당시 태평소는 종묘의 헌가에서 향비파·거문고·당비파·방향·가야금·대금 등과 함께 편성됐고, 오례의 전정헌가(殿庭軒架)에서도 연주됐다.

태평소를 연주하는 정재국(국립국악원 제공)

태평소를 연주하는 정재국(국립국악원 제공)

조선초기 태평소는 오매(烏梅)·산유자(山柚子)·대추나무·황상(黃桑)·황양(黃楊) 등 단단한 나무를 쓰고, 그 속을 뚫고 겉은 대의 마디 같이 만든다. 상단과 하단은 구리로 만들고 설(舌: 혀)은 만로(蔓蘆: 갈대)로 만든다. 모두 8공으로 제2공은 뒤에 있다. 율법(律法)은 향피리(鄕觱篥)와 같다.

조선시대 군중에서 주로 사용된 태평소는 개폐문(開閉門)할 때 그리고 행진(行進)할 때 연주되는 "취타"(吹打)에서 쓰였다. 오늘날 "대취타"(大吹打)의 주요 선율악기로 쓰이고 있다. 또한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연주 때 "정대업"의 "소무"(昭武)·"분웅"(奮雄)·"영관"(永觀)에서 연주됐다.

태평소의 손 짚는 법(『국악대사전』)

태평소의 손 짚는 법(『국악대사전』)

1829년(순조 29)부터 1892년(고종 29)까지 호적 즉 태평소는 징(鉦)·고(鼓)·자바라(啫哱囉)·나발(喇叭)과 함께 내취(內吹)로 편성되어 선유락정재(船遊樂呈才)의 반주 때 연주됐다. 즉 1829년 자경전(慈慶殿)에서의 진찬(進饌) 때, 1848년(헌종 14) 통명전(通明殿)의 진찬(進饌) 때, 1868년(고종 5)과 1873년(고종 10) 강녕전(康寧殿)의 진찬(進饌) 때, 1877년(고종 14) 통명전의 진찬 때, 그리고 1887년(고종 24) 만경전(萬慶殿)의 진찬 때 태평소는 선유락정재의 반주 때 연주됐다.

조선후기 정약용(丁若鏞)은 그의 『아언각비』(雅言覺非)에서 태평소는 호적(胡笛) 또는 쇄나(瑣imagefont)라고 불리고, 원나라에서 수입됐다고 시사했다. 오늘날 농악(農樂)에서 사용되는 태평소는 날라리라고 불린다.

〈제도 및 음역〉 원추형(圓錐形)의 몸통은 유자(柚子)나 황양(黃楊) 등의 단단한 나무로 제조되고, 나팔관처럼 생긴 동팔랑(銅八郞) 및 동구(銅口)는 모두 동(銅)으로 만들며, 동구에 삽입된 혀는 갈대로 제조된다. 여덟 개의 지공(指孔) 중 제2지공은 몸통의 뒤에 있다. 나머지 지공은 전면에 있다.

태평소의 음역은 피리(觱篥)와 같다고 『악학궤범』 권7에 전하지만, 현재 국립국악원의 태평소는 그렇지 않다. 농악에 쓰이는 날라리의 음역과 안공법(按孔法)은 일정하지 않다. 악기마다 조금씩 다르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6.2217~18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81, 300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365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766쪽

참조어

쇄납 , 날라리 , 호적(胡笛) , 대평소(大平簫) , 초나(哨吶), 새납, 쇄나(瑣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