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타

취타

[ 吹打 ]

요약 ① 조선시대 행진 때 쓰인 행악(行樂)의 한 갈래. 일명 고취(鼓吹)·고취악(鼓吹樂).
② 행악(行樂)의 한 곡명.
③ 현행 연례악(宴禮樂)의 한 곡명. 아명은 "무령지곡"(武寧之曲)·"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수요남극"(壽耀南極).
④ 서울 지방 굿음악의 한 곡명.
⑤ 현행 "관악취타"(管樂吹打)의 한 곡명.

① 조선시대 행진 때 쓰인 (行樂)의 한 갈래. 일명 (鼓吹)·(鼓吹樂). 취타란 글자의 뜻대로 부는 (管樂器) 및 치는 (打樂器)를 위한 악곡을 가리키는 곡 즉 취주악기와 타악기로 연주한 음악이다. 취주악기 와 단음(單音) 관악기 · 및 징·북··바라 등의 악기편성으로 연주한 취타는 웅장하고 장쾌한 장단을 빚어내는 음악이다.

본래 대취타곡(大吹打曲)을 관현악곡으로 편성한 곡을 취타라고 했다. ""·""·""(別羽調打令)처럼 취타는 행진곡 계통의 음악으로 분류된다.

② 행악(行樂)의 한 곡명. 조선후기 (細樂手)의 전통을 전승한 취타는 에 전하는 궁중행악(宮中行樂)의 하나이고, (池瑛熙)가 전하는 민간행악(民間行樂)의 하나이다.

③ 현행 (宴禮樂)의 한 곡명. 은 ""(武寧之曲)·""(萬波停息之曲)·"수요남극"(壽耀南極). (大吹打)의 관현악편성으로 연주된 취타를 "수요남극"이라고 한다.

④ 서울 지방 굿음악의 한 곡명. "취타"는 ""·"굿거리"·"별우조타령"·""·"노래가락" 등 여러 곡과 함께 으로 쓰인다. "취타"는 에 맞추어 연주되지 않고, 느린 에 맞추어 연주되는 점이 특이하다.

⑤ 현행 "관악취타"(管樂吹打)의 한 곡명. (國樂藝術學校)의 『』이나 『』 또는 『』에 나오는 "관악취타"의 이 곡은 "취타"·"길군악"·"길타령"·""·""·""으로 구성됐다고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에 나온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5.2180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378, 559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254쪽
  • 『池瑛熙民俗音樂研究資料集』 成錦鳶 편, 서울: 민속원, 2000년, 81~111, 303~332, 335~64쪽

참조어

대취타(大吹打) , 세악취타(細樂吹打), 수요남극(壽耀南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