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음악

무속음악

[ 巫俗音樂 ]

요약 굿 의식에서 연주되는 음악의 총칭. 일명 무악·무가·굿음악·굿당음악.

무속음악은 를 비롯해 무가의 반주음악과 무무(巫舞)의 반주음악, 그리고 기타 의식의 반주음악을 모두 포함한다. 굿의식의 사제자(司祭者)를 이라고 통칭하고 있다. 그렇지만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만신, 이남 지방에서는 단골, 제주도에서는 심방(心方)이라고 각각 다르게 부르고 있다. 만신은 강신무(降神巫)인 경우가 많고, 단골은 거의 세습무(世襲巫)이고, 심방은 강신무·세습무가 섞여 있다.

무속음악은 연주형태에 따라서 두 갈래로 구분된다. 하나는 무당이 노래 부르는 무가이고, 다른 하나는 굿판에서의 무당을 반주하는 이다. 무속음악은 광의(廣義)와 협의(狹義)로 나누어 정리될 수 있다. 광의로는 무당의 굿음악나 판수의 독경(讀經)소리 및 (乞粒牌)나 의 고사(告祀)소리 등 기타의 토속신앙과 관련된 모든 음악이 포함된다. 협의로는 무당의 굿음악만을 가리킨다. 오늘날 무속음악은 주로 후자의 경우를 이른다. 무당의 굿음악은 무당이 굿판에서 부르는 무가와 춤 출 때의 반주음악인 무악으로 세분된다. 이러한 무속음악은 지역별로 크게 둘로 구분된다. 하나는 한강 이북 지방에서 연행되는 강신무의 음악이고, 다른 하나는 한강 이남 지방의 세습무인 단골무당의 음악이다.

무악이나 무가의 음악적 특징은 지방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 무가와 무악 항목에서 상론됐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무당의 굿판에서 춤 반주를 담당한 (巫夫)를 조선말기에 라고 불렀다. 무부로서의 광대를 뜻하는 화랑이라는 말은 오늘날에도 경상도와 전라도 그리고 강원도에서 사용되고 있다.

굿의 목적에 따라 ··으로 나눌 수 있다. 집굿은 집안의 재복(財福)과 안녕(安寧)을 위한 굿이다. 지방에 따라 안택굿·도신굿·으로 부른다. 마을굿은 ···대동굿··수륙제·으로 부르며, 오구굿은 진오귀·씻금굿·시왕굿·망무기굿으로 부른다.

굿에 쓰이는 악기편성을 보면, 서울 지방에서는 ··젓대··바라로 편성되며, 경기 남부에서는 피리·해금·젓대·장구·징을 쓰기도 한다. 충청도·전라도·경상도 서남 지역에서는 피리·해금·젓대·장고·징으로 편성된다. 동해안 지역은 ·장고·징으로 편성되고, 이북 지방은 장고·징(또는 바라)에 가끔 꽹과리를 쓴다. 제주도의 경우에도 장고·징에 가끔 꽹과리가 쓰인다. 무가에는 전라도 씻금굿의 오구물림의 무가와 같이 길게 낭송조(朗誦調)로 부르는 형식이 있다. 서울 무가의 노랫가락, 전라도 무가의 ·성주풀이, 제주도 와 같이 가창조(歌唱調)의 짧은 장절형식(章節形式)으로 된 것도 있다.

무가의 장단은 지방마다 다르다. 이를테면 서울 지방의 무가는 ··이, 경기 남부 지방에서는 도살풀이··삼공잽이·굿거리···가, 전라북도와 충청도에서는 ···덩덕궁이·중모리·중중모리가, 전라남도에서는 ·(대왕노리)·중모리·중중모리·덩덕궁이가, 동해안 지방에서는 ··쪼시게·드렁갱이··자삼·중모리·중중모리·이 쓰인다.

부정장단·가래조·시님장단·대노리·고삼은 모두 에서의 엇모리장단과 같은 장단으로 빠른 3박과 2박이 섞여 3+2+3+2로 짜여진 혼합박(8분의 10박자)이다. 도살풀이는 2분박 좀 빠른 6박자(4분의 6박자)이다. 덩덕궁이는 판소리의 자진모리장단과 같다. 진양·중모리·중중모리는 판소리나 의 것과 같다. 안진반은 불규칙장단이지만, 2분박의 좀 빠른 4박자가 기본이 된다. 살풀이는 3분박의 좀 느린 4박자(8분의 12)로 느린굿거리와 비슷하다. 청보·제마수·쪼시게·는 모두 까다로운 혼합박자의 장단이다.

무가의 선율 또한 지방마다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서울 지방 무가의 선율은 로 되어 있고, 경기남부·충청남도·전라도의 무가는 (시나위목)으로 되어 있으며, 동해안 지방 무가는 으로 되어 있고, 서도 지방 무가는 수심가목과 경토리가 섞여 있다.

경토리란 서울 지방 민요 및 무가의 선율적 특징을 가리키는 말로 일명 경조(京調)라 하며 판소리에서는 경드림이라 한다. 선율의 구성음은 솔·라·도·레·미이며, 솔로 마치는 형이 많다.

육자배기목은 전라도 민요 및 무가의 선율에 흔히 보이는 선율적 특징을 가리키며, 판소리에서는 이것을 (界面調)라 이른다. 육자백이목의 구성음은 미·솔·라·시·도·레이며, 미·시·라가 주요음으로 4도+2도의 구조로 되어 있다. '미'는 떠는 목을 쓰고, '시'에는 레~도에 이르는 음들이 꺾는목을 쓰고 있어 슬픈 느낌을 준다. '라'나 '미'로 마치며 '라'를 청으로 삼는다.

메나리목( 또는 )은 ·와 동해안 지방 무가에 흔히 보이는 선율적 특징을 가리킨다. 메나리목의 구성음은 미·솔·라·도·레이며, 주요음은 미·라·도로 4도+단3도의 구조로 되어 있다. '레'는 흔히 '도'로 꺾는목을 쓰며, '미'는 잘게 떠는목을 쓴다. 흔히 '라'나 '미'로 마친다.

수심가목은 평안도·황해도의 민요 및 무가에서 흔히 보이는 선율적 특징이다. 선율의 구성음은 레·미·솔·라·도이고, 주요음은 레·라·도로 5도+단3도의 구조를 갖는다. '도'는 꺾는목을 쓰고, '라'는 떠는목을 쓰며, 흔히 '레'로 마치지만 '라'로 마치기도 한다.

무무(巫舞)의 반주음악은 무가의 반주음악과 다른 경우가 많다. 서울 지방 무무의 반주음악은 "염불"·"굿거리"·""·"당악"(堂樂)이 쓰이고, 경기도 남부 지방 무무의 반주음악은 "염불"·"굿거리"·"허튼타령"·"당악" 외에도 ""·""·""·"" 등이 쓰인다.

충청도와 전라도 지방의 무무에는 살풀이·덩덕궁이가 쓰이며, 동해안 지방의 무무에는 ··굿거리·자진모리장단이 쓰인다. 그 밖에 다른 지역의 무무는 대개 굿거리형·자진모리형의 장단이 많이 쓰인다. "염불"·"굿거리"·"허튼타령"·"당악"은 해금·피리·젓대·장고·징으로 편성되었다.

염불에는 과 자진염물()이 있는데, 을 흔히 쓴다. 염불장단은 이다. 긴염불장단은 느린 도드리장단으로 3분박의 느린 4박자(8분의 18박자)이며, 은 빠른 도드리장단으로 3분박 좀 빠른 4박자이다. 허튼타령장단은 으로 3분박 좀 빠른 4박자(8분의 12박자)이다.

은 3분박 매우 빠른 4박자(8분의 12박자)이고, 덩덕궁이는 자진모리장단이다. 푸너리는 2분박 좀 빠른 4박자(4분의 4박자)가 주가 되며, 도장은 혼합박자이다. 푸너리·도장은 꽹과리·장고·징으로 편성된다.

은 2분박 좀 빠른 4박자(4분의 4박자)이다. 올림채는 2분박 좀 빠른 8박자이다. 진쇠장단은 3+2+2+3으로 된 혼합박자(8분의 10박자)이다. (일명 터벌림장단)은 3분박 보통 빠르기 5박자이다. ·올림채··반설음 장단은 꽹과리·장고·징으로 편성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801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43~44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19~21쪽

참조어

무가(巫歌) , 무악(巫樂) , 남도무악(南道巫樂), 굿당음악 , 종교음악(宗敎音樂), 제례악(祭禮樂), 불교음악(佛敎音樂) , 굿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