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락 모가지를 끊었다가

나락 모가지를 끊었다가

분류 문학 > 초월적 인물형 > 도승(道僧)형

• 갈래 : 민담
• 시대 : 시대미상
• 신분 : 승려
• 지역 : 기타
• 출처 :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옛이야기 백 가지 ()
• 내용 :
옛날에 절에 사는 스님이 조그만 아이를 하나 데려다 길렀다. 아버지도 어머니도 없는 아이여서 데리고 와서 길렀는데 나이가 한 여남은 살 먹으니까 공부를 가르쳐서 꼬마 중을 만들었다. 중이 똑똑하고 말도 잘 들으니까, 스님이 심부름을 자주 보냈다. 하루는 꼬마 중이 마을에 심부름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길가에 누렇게 익은 나락을 봤다. 나락이 잘 익어 고개가 축축 늘어져 있자 그것을 보고 하도 탐스러워서 낟알이 몇 개가 붙어 있을까 하고 세어 보려고 세 송이를 끊었다. 스님이 그것을 보고 물었다. “너는 왜 나락 모가지를 끊어 가지고 왔느냐” “이삭이 하도 탐스러워서 대체 낟알이 몇 개나 불어 있나 세어 보려고 끊어 왔습니다.” 스님은 “그 논 임자는 피 땀 흘려 그렇게 농사를 지어놓았는데 네가 장난삼아 곡식 이삭을 끊었으니 그 죄가 크다. 내가 너를 소로 만들 테니 그 집에 가서 이삭 하나에 한 해씩 삼년을 일하고 오너라.” 라며 불호령을 내리고, 도술을 부려 꼬마 중을 소로 만들어 마을로 보냈다.

소가 된 꼬마 중이 나락 주인 앞에 가서 음메 하고 울자 주인이 그 소를 끌고 갔다. 삼년동안 밭도 갈고 논도 갈고 풀도 먹으면서 일을 했다. 그러다보니 코뚜레에 꿰인 코에는 피가 맺히고 발굽은 떡떡 갈라지고 목덜미는 멍에를 지느라고 닳아서 반질반질했다. 삼년이 지난 후 스님이 논주인 집에 와서 “이 소가 일을 잘 합디까” 하고 물었다. “아이고, 잘 하다 뿐입니까, 이 소 덕분에 우리 농사가 몇 배나 잘 되었습니다.” 이 말을 듣고 스님이 다시 도술을 써서 소를 꼬마 중으로 변하게 했다. “아이고, 그깟 나락 세 송이 때문에 삼년씩이나 소로 만드셨나요”하고 탄식을 했다. 그러자 스님은 허허 웃으며, “소승은 어렸을 때 절간에서 쌀알 세 개 흘린 죄로 한 알에 한 해씩 삼 년 동안 소가 되어 일 한 적도 있소이다. 거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지요.” 하는 것이다. 이 일로 꼬마중은 곡식을 함부로 하면 안 된다는 사실을 배웠다.

연관목차

204/1461
귀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