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포리 집자리

굴포리 집자리

[ 先鋒 屈浦里 住居址 ]

지역 선봉
라선 굴포리 유적 24호 집자리

라선 굴포리 유적 24호 집자리

라선 굴포리 유적 출토 돌도끼

라선 굴포리 유적 출토 돌도끼

함경북도 선봉군(옛지명은 웅기군) 굴포리 서포항동에 위치한다.
1960∼1964년까지 5차례에 걸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서 발굴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구석기시대∼청동기시대의 9개 문화층에서 집자리〔住居址〕 9기, 움무덤〔土壙墓〕 2기와 그 밖에 신석기시대 집자리 21기, 구석기시대 적석시설(積石施設) 등을 확인하였다.

유적은 서포항동 마을 동북쪽 해발 5∼7m 높이의 얕은 산비탈 서사면에 수 만 평방 미터에 걸쳐 펼쳐져 있다. 유적 언저리는 조산만이 아늑하게 감싸고 있으며, 앞에는 석호(潟湖)가 발달해 있고, 뒤로는 산을 등지고 있어 선사시대 사람들에게 먹거리가 풍부하여 살림살이에 알맞은 곳이었다. 유적 맞은 편 비탈에도 조개무지〔貝塚〕 유적이 있다.

청동기시대 문화층은 크게 윗층과 아래층으로 아래 문화층에서는 집자리 5기(2·5·6·14·25호), 위 문화층에서는 집자리 4기(1·4·10·24호)가 있다. 집자리는 평면 장방형, 방형으로 바닥은 진흙이나 굴껍데기를 섞어 다짐하거나 불다짐하였다. 화덕자리〔爐址〕는 깐돌식〔敷石式〕, 구덩식〔竪穴式〕, 돌두름식〔圍石式〕 등 다양하며, 위치는 정연성이 없으나 모든 집자리에 있다. 또한 윗층의 집자리는 모두 기둥구멍〔柱穴〕이 벽면을 따라 촘촘히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맛배지붕 형식이다.

5호와 6호는 크기가 480×360×30∼40㎝인 두 번 쓴 집자리로 일정기간 폐기된 후 다시 사용하였다. 5호의 화덕은 깐돌식으로 서북쪽에 치우쳐 있고, 그 아래 6호의 화덕은 중앙에서 남쪽으로 약간 치우쳐 길이 20∼40㎝ 크기의 납작한 돌을 잇대어 깔고 그 둘레에 돌을 둘려놓았는데 5호 화덕과 평면상 잇닿아 위치한다. 6호에서는 기둥구멍 2개가 배치되어 있다. 유물민무늬토기〔無文土器〕, 뼈단검〔骨短劍〕 등이 출토되었다. 14호는 추정크기 450×400㎝로 내부에 구덩식 화덕자리가 있다. 화덕 주변에 짐승뼈와 물고기뼈가 늘려 있었으며, 대롱옥〔管玉〕편, 둥근옥〔環玉〕, 그 외에 뼈바늘〔骨針〕을 비롯한 뼈뿔연모〔骨角器〕 여럿이 출토되었다.

25호는 크기 360×330×20∼30㎝로 돌두름식 화덕이 약간 북쪽에 치우쳐 위치한다. 1호는 370×340×50㎝ 크기로, 벽면을 따라 기둥구멍이 있고 바닥 중앙에 깐돌식 화덕이 있다. 화덕의 동북쪽에 용도를 알 수 없는 백합조개껍질 20여개가 있고, 집자리 내부의 동북쪽 모서리에 백합조개로 만든 그물추〔漁網錘〕 25개가 모여 출토되었다. 4호는 580×540×20∼80㎝ 크기로 벽면을 따라 기둥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치되고 바닥 중앙에도 2개가 있다. 화덕자리는 구덩식으로 서남쪽에 약간 치우쳐 위치한다.

아래 문화층에서는 움무덤〔土壙墓〕 2기가 있는데, 조가비층을 파고 무덤을 만들었다. 1호는 크기 200×70×(잔)20㎝인 여성의 것으로, 껴묻거리〔副葬品〕는 뼈바늘과 바늘통, 조개로 만든 목걸이 구슬이 출토되었다. 2호는 250×120×50∼60㎝ 크기의 남성의 무덤으로 다리를 서로 어겨 ‘X’자모양으로 놓았으며 껴묻거리는 출토되지 않았다.

집자리 출토유물은 민무늬토기, 붉은간그릇〔丹塗磨硏土器〕, 굽다리접시모양토기〔豆形土器〕 등이 있고, 석기로는 돌도끼〔石斧〕, 긴네모모양〔長方形〕 반달돌칼〔半月形石刀〕, 자귀〔手斧〕, 돌끌〔石鑿〕, 간돌화살촉〔磨製石鏃〕, 곰배괭이 등이 있고 뼈낚시, 찔개살, 치레걸이〔裝身具〕 등이 보인다. 그 밖에 뼈피리, 흙인형〔土偶〕, 돼지 조각품 등 예술품들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유물갖춤새는 기본적으로 위 문화층과 아래 문화층에서 붉은간토기를 기본적으로 사용하여 큰 차이는 없으나 윗층 출토품은 더 정교하게 붉은칠을 한 긴목항아리가 새로 나타나며 수량도 많아진다. 민무늬토기는 아래층에서는 토기의 아가리 부분에 신석기시대의 새김무늬〔斜線文〕 전통이 일부 보이며, 윗층의 것은 아래층에서 보이지 않던 시루〔甑〕나 굽다리토기가 나온다. (장호수)

참고문헌

  • 서포항 조개무지 발굴보고(김용남, 문화유산 3, 1961년)
  • 서포항 원시유적 발굴보고(김용간·서국태, 고고민속논문집 4)

동의어

서포항 집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