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돌화살촉

간돌화살촉

충청지역 출토 각종 간돌화살촉

충청지역 출토 각종 간돌화살촉

활대 끝에 붙여 활과 시위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짐승을 잡는 수렵도구이다. 구석기시대 후기부터 뗀돌화살촉〔打製石鏃〕이 등장하지만 가는 수법으로 제작된 간돌화살촉〔磨製石鏃〕은 신석기시대에 출현한다. 그러나 간돌화살촉의 대부분은 청동기시대에 제작, 사용된 것이고, 초기 철기시대에도 일부 지속된다. 간돌화살촉 석재로는 혈암, 니암, 편암, 판암, 혼펠스 등이 이용되며, 길이가 5~10㎝가 대부분으로 껴묻거리〔副葬品〕용으로 20㎝ 내외의 것도 있다.

청동기시대 간돌화살촉의 기원에 대해서는 청동화살촉을 모방하였다는 설과, 신석기시대의 화살촉을 점진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설 두 가지가 있다. 그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슴베의 유무와 형태에 따라 크게 슴베없는것〔無莖式〕과 슴베있는것〔有莖式〕, 버들잎모양〔柳葉式〕으로 나눌 수 있다.

슴베없는돌화살촉은 몸통〔鏃身〕의 단면이 편평육각형(扁平六角形)으로, 밑으로 내려가면서 다소 오므라들고 기부 중앙에 깊숙한 홈을 파서 화살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만든 쌍각촉, 몸통이 길지 않고 기부를 만입시킨 삼각만입촉(三角灣入鏃), 그리고 몸통의 폭의 다소 넓어지고, 저변이 직선으로 끊어진 삼각촉(三角鏃) 등으로 나뉘어진다.

슴베있는돌화살촉은 몸통의 단면은 마름모꼴로, 슴베와 몸통의 경계가 뚜렷하다. 슴베있는것은 다시 일단슴베식〔一段莖式〕, 이단슴베식〔二段莖式〕으로 구분된다. 일단슴베식은 슴베가 일단인 것으로, 그 단면은 육각형, 원형, 장방형 등이 있다. 양쪽 날개는 미늘〔逆刺〕을 이루기도 하고, 슴베가 길게 발달된 형식도 있다. 슴베가 이단인 이단슴베식은 꼬다리 상단은 단면이 육각형이지만, 하단은 장방형 혹은 원형을 이룬다. 이밖에 슴베 단면이 육각형이고, 평면이 뾰족하거나, 장방형을 이룬 형식도 있다.

버들잎모양돌화살촉은 슴베있는것과 슴베없는것의 중간형으로 활촉 몸이 횡단면은 마름모꼴이며, 몸통과 슴베가 뚜렷한 구별이 없는 형식이다. 이 중간 형식에는 전체적인 형태가 긴 버들잎형을 이루고 있으며, 양변에 꺾어진 곳이 없이 기부로 내려온 형식, 그리고 전체가 긴 마름모꼴을 한 형식 등이 있다.

슴베없는것 중 쌍각촉은 회령 오동, 북창 대평리, 파주 옥석리 집자리 등에서 출토되는데 민무늬토기〔無文土器〕와 공반하는 것은 적고, 대부분은 신석기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삼각만입촉은 거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중부지방에서는 이단슴베있는돌화살촉과 함께 출토되는 예가 많이 있다.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도 출토되지만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삼각촉은 주로 서해안을 따라서 분포되고 있으며, 세형동검문화(細形銅劍文化)와 관련이 깊은 돌화살촉이다. 이 돌화살촉은 덧띠토기〔粘土帶土器〕, 소뿔모양손잡이토기〔牛角形把手附土器〕와 공반되어 출토되어 초기철기시대에 나타난 형태이다.

슴베있는것 중 일단슴베식은 돌화살촉 중에서 가장 많고, 넓은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시간적으로도 가장 오래 지속된 형식이다. 이 화살촉은 이미 신석기시대에서부터 제작 사용되었는데, 청동기시대에 각 지역적으로 형태상 차이를 가진 돌화살촉으로 사용되다가 기원전후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서북지방에서는 미늘이 발달한 형식이 많이 있고, 팽이모양토기〔角形土器〕 유적에서는 버들잎형에 슴베만 재차 가공한 형식이 있다. 세장한 슴베촉은 충청 이남에 한정되어 있으며, 고인돌돌널무덤의 구별이 없이 무덤에 부장되고 있으나, 집자리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고 있어 특별히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단슴베식은 대동강유역, 중부지방, 충청지방에 밀집되어 있다. 팽이모양토기 유적에서는 주로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중부지방에서는 집자리에서 출토되고 있다.

버들잎돌화살촉은 신흥동 집자리에서 팽이모양토기, 슴베있는돌검〔有莖式石劍〕과 함께 출토되어 팽이모양토기 초기부터 제작 사용되었을 알 수가 있다. 이 형식의 돌화살촉은 중부지방 특히 북한강 유역에 밀집되어 있는데, 그 분포를 보면 북한강을 따라 하류로 내려오다가 다시 남한강 상류로 올라가면서 출토되고 있고, 남쪽으로는 대구 대봉동 고인돌 등까지 분포되어 있다. 긴마름모꼴 형식은 무덤의 껴묻거리로 주로 출토되고 있는데 중부지방에서는 춘천 천전리, 제천 황석리, 영동 유전리 고인돌 등에서 출토되고 있다.

돌화살촉은 수렵 이외에도 무기로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무기로서 사용된 사실은 삼국지 위지 동이전 읍루전(三國志 魏志 東夷傳 邑婁傳) 기록에 청석(靑石)으로 화살촉을 만들어 무기로 사용했다는 기록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다. 또 일본 야요이시대(彌生時代) 무덤 유적에서 사람뼈〔人骨〕에 간돌화살촉이 박힌 예가 있어 무기로서의 사용이 일반화된 것으로 이해된다. 김해 무계리와 창원 외동리 고인돌에서 간돌검〔磨製石劍〕과 함께 출토된 세장형의 슴베있는돌화살촉은 껴묻거리로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영문)

참고문헌

  • 한반도 마제석촉의 고찰(최성락, 한국고고학보 12, 1982년)
  • 우리 나라 마제석촉의 연구(임세권, 한국사연구 17, 1977년)

동의어

마제석촉(磨製石鏃)

참조어

무경식마제석촉(無莖式磨製石鏃), 버들잎모양간돌화살촉, 유엽식마제석촉(柳葉式磨製石鏃), 삼각만입석촉(三角灣入石鏃), 슴베없는간돌화살촉, 슴베있는간돌화살촉, 유경식마제석촉(有莖式磨製石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