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귀리유적

조선향토대백과 유물유적정보관 : 유적

심귀리유적

[ 深貴里遺跡 ]

분류 유물유적정보관>유적>주거 · 생산>주거유적
유물유적시대 청동기
행정구역 자강도>시중군
등급 일반유물유적

자강도 시중군 심귀리에 있는 유적. 청동기시대 및 고구려시기의 유적이다. 유적이 드러난 이곳 장자강변에는 원시사회이래 오랜 집터가 있었으며 고구려무덤떼가 널려 있었다. 1958년에 발굴한 이 유적의 집터는 공귀리유적(자강도 강계시 공귀동)과 같은 청동기시대의 것이었다. 유적은 심귀리의 벌판끝 강언덕 위에 있다. 여기서는 평면윤곽이 장방형인 집터 2개(1, 2호)를 정리하였다. 2호집터는 약 80m2의 크기를 가진 것으로서 북한 청동기시대 집터들 가운데서 가장 큰 것의 하나이다.

유물에는 도끼, 반달칼, 끌, 달도끼, 낫, 칼, 활촉 등의 석기들과 흙으로 구워만든 가락고동, 그물추, 질그릇 등이 있다. 질그릇에는 항아리, 단지와 바리, 사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목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밑창은 납작한데 대체로 그릇의 크기에 비하여 매우 작다. 어떤 것은 팽이토기의 밑창을 연상시키는 것도 있다. 그리고 고리손잡이, 꼭지손잡이를 달았으며 질그릇밑바닥에 도토리나무잎줄기의 무늬를 새긴 것, 아가리 밑에 덧띠를 돌리고 어임을 새긴 것 등이 있다. 질그릇의 전반적인 갖춤새는 공귀리유적에서 나온 것과 기본적으로 같다.

고구려무덤떼는 돌무지무덤과 돌칸흙무덤으로서 이루어졌는데 그 총수는 160기 가량이었다. 강턱에는 기단없는 강돌돌무지무덤이 줄지어 있으며 그 다음에 돌기단무덤과 돌칸흙무덤이 있고 한끝에는 돌칸흙무덤만이 있었다. 무덤은 절대다수가 서향 또는 서남향이며 일부 무덤떼 변두리에 자리잡은 돌칸흙무덤에는 남쪽을 향한 무덤도 있었다. 일부 돌무덤에는 마치 돌널무덤처럼 좁고 길게 만든 것도 있었고 길이 1m 미만의 작은 돌무덤도 있었다. 이 무덤떼는 고구려귀족들의 무덤이 돌무지무덤에서 돌칸흙무덤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서 고구려묘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유물유적정보관 : 유적 777/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