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역 개요

남해역 개요

분류 교통/통신/지리 > 사이버파빌리온 > 남해역 전시실

우리나라 남쪽에 있는 바다. 제주도를 비롯하여 섬이 많아 이른바 다도해를 이루며, 해안지형이 매우 복잡하다. 남해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산맥들이 해안에 이르러 지반이 침수된다. 이로 인해 크고 작은 만과 반도 및 섬들이 많고 해안선의 출입도 심하다. 많은 산지가 해안에 임박하여 암석해안이 발달된 곳도 있으나,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이 잘 나타난다. 또한 좋은 항구가 많이 발달하고 있다. 남해안의 침수량은 동쪽보다도 서쪽이 크며 전라남도에 이르면 가장 커진다. 따라서 섬의 수는 전국의 55.7%를 전라남도가 차지하고 있으며, 거제도·남해도·진도 등 많은 섬들의 방향이 거의 비슷하다. 동해에 비하면 수심이 얕아서 황해와 더불어 거의 대륙붕으로 되어 있으며, 최근 양식업이 활발해져서 그 이용도가 높다. 평균 수심 100m, 최고 깊이 210m로써 빙기(氷期)에는 해면이 현재보다도 100m 이상 낮았기 때문에 이곳은 육지의 연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대륙의 지절(肢節)이 침강하여 대한식 리아스(大韓式 Lias)를 형성하고 있다.

남해안의 구역은 넓게는 일본 대마도(對馬島)와 제주도 사이의 한반도 남부를 뜻하나, 자세히는 부산 부두에서 전라남도의 남해갑(南海岬)까지를 말한다.
직선거리는 255㎞, 지절률(肢節率)은 8.81, 해안선의 길이는 섬을 제외하고 2,251㎞, 섬만으로는 4,654㎞에 이른다. 주요 섬으로는 거제도·남해도·가덕도·욕지도·사량도·한산도·완도·돌산도·거문도·나로도·소록도·노화도·금오도 등이 있다. 주요 반도로는 해남반도·고흥반도·여수반도·통영반도 등이 있고, 만은 득량만·순천만·광량만·진해만 등이 있다.

해안선이 복잡한 데다가 연근해에는 섬이 많고 파랑의 작용이 약하여 대규모의 사빈(砂濱) 발달에는 부적당하다. 암석해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해식애(海蝕崖)는 거제도의 해금강에 잘 나타나 남해안의 관광지가 되고 있다. 해류는 연중 난류가 흘러 양식업 등 수산업이 매우 발달하였고, 한려수도를 비롯한 해상공원 및 임해공업지대로 해안의 이용 가치가 크다. 남해는 황해와 함께 대륙붕으로 되어 있어, 빙기의 낮은 해면이 상승하면서 북서 방향으로 점차 침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해면이 현재의 수준으로까지 높아진 뒤에도, 남해에는 섬이 많고 파랑의 작용이 약하여 해상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삼국시대에 이미 백제와 일본은 남해를 통하여 교류가 활발하였고 통일신라 때에 장보고(張保皐)는 남해의 완도에 청해진(淸海鎭)을 설치하여 해적들을 토벌하고 당나라 및 일본과 활발한 무역을 하였다. 또한 남해에는 왜구들이 자주 출몰하였다. 조선 전기의 군사제도를 보면 경상도와 전라도에는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수영(水營)을 각각 둘씩 설치하고 있다.

이순신(李舜臣)은 본래 전라도좌수사로서, 임진왜란 때에 한산도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고, 정유재란 때에는 명량(鳴梁)에서 일본수군을 대파하였다. 그는 드나듦이 복잡한 지형과 조류를 잘 이용하여 적을 공격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