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노동자구 개요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노동자구 개요

분류 행정구역정보관>개관>개요
행정구역 함경북도>부령군>무수노동자구

함경북도 부령군 1읍 3구 5리의 하나. 군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노동자구. 동쪽과 북쪽은 창평리, 남쪽은 고무산노동자구, 서쪽은 무산군 차유리와 접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청진부 상면의 목족동 · 둔전동 · 유평동을 병합하여 부령군 서상면에 신설한 동으로서 무성한 수림이 춤추는 사람의 긴 소매처럼 보인다 하여 무수동이라 하였다. 1949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다시 리제를 실시하면서 서상면 무수리로 되었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부령군 서상면의 차령리와 병합하여 부령군 무수리로 개편되었다.

1960년에 함경북도 청진시 부령구역 무수리로, 1963년에 청진직할시 부령구역 무수리로, 1970년에 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리로, 1972년에 다시 함경북도 청진시 부령구역 무수리로, 1977년에 청진직할시 부령구역 무수리로, 1985년 7월에 함경북도 청진시 부령구역 무수리로, 1985년 12월에 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리로 되었다. 1991년에 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이 지역은 전반적으로 높고 험한 산지로 되어 있으며 석회암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북부경계에 행경봉(886m), 서부경계에 차유령(914m), 남부에 능지산, 석회산 등 산과 영이 솟아 있다. 하천은 중심으로 수성천이 관류하고 있다. 1970년대에 무수광산이 개발되면서 ‘주민지’가 이루어지고 확장되어 산간소도시를 이루었다.

주로 이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양질의 석회석을 채굴하여 김책제철연합기업소에 보조원료로 공급하고 있다. 주요 업체로는 무수광산, 무수협동농장 등이 있다. 교통은 무산선(고무산~무산)이 통과하고 있으며 여기에 차령역과 폐무산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교통은 고무산~무산 간 3급도로가 통과하고 있으며, 고무산까지는 12km, 군 소재지인 부령읍까지는 16km이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748/1114
317) 함경북도 무산군 삼봉노동자구
318) 함경북도 무산군 주초노동자구
319) 함경북도 무산군 창렬노동자구
320) 함경북도 무산군 독소리
321) 함경북도 무산군 임강리
322) 함경북도 무산군 문암리
323) 함경북도 무산군 민봉리
324) 함경북도 무산군 박천리
325) 함경북도 무산군 상창리
326) 함경북도 무산군 새골리
327) 함경북도 무산군 서호리
328) 함경북도 무산군 오봉리
329) 함경북도 무산군 온천리
330) 함경북도 무산군 지초리
331) 함경북도 무산군 차유리
332) 함경북도 무산군 칠성리
333) 함경북도 무산군 풍산리
334) 함경북도 무산군 흥암리
335) 함경북도 부령군
336) 함경북도 부령군 부령읍
337) 함경북도 부령군 고무산노동자구
338) 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노동자구
339) 함경북도 부령군 석막노동자구
340) 함경북도 부령군 금강리
341) 함경북도 부령군 사하리
342) 함경북도 부령군 창평리
343) 함경북도 부령군 최현리
344) 함경북도 부령군 형제리
345) 함경북도 경원군
346) 함경북도 경원군 경원읍
347) 함경북도 경원군 고건원노동자구
348) 함경북도 경원군 용북노동자구
349) 함경북도 경원군 하면노동자구
350) 함경북도 경원군 금동리
351) 함경북도 경원군 농포리
352) 함경북도 경원군 동림리
353) 함경북도 경원군 양동리
354) 함경북도 경원군 용계리
355) 함경북도 경원군 용남리
356) 함경북도 경원군 용당리
357) 함경북도 경원군 용문리
358) 함경북도 경원군 용신리
359) 함경북도 경원군 용현리
360) 함경북도 경원군 유다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