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경원군 용북노동자구 개요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함경북도 경원군 용북노동자구 개요

분류 행정구역정보관>개관>개요
행정구역 함경북도>경원군>용북노동자구

함경북도 경원군 1읍 3구 21리의 하나. 군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노동자구. 서쪽은 연산리, 동쪽은 동림리 · 고건원노동자구, 북쪽은 동림리, 남쪽은 용현리와 접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경원군 고건원면의 횡동 · 청계동과 일리장동 일부를 병합하여 용덕면에 신설한 동으로서 당시 이 지역에 있었던 용현동의 북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용북동이라 하였다.

1949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다시 리제를 실시하면서 용덕면 용북리로 되었고,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경원군 동원면 임대리와 병합하여 경원군 용북리로 개편되었다. 1953년에 리 일부를 분리하여 고건원노동자구를 신설하였고, 1954년에 동림리 일부를 흡수하는 동시에 리의 일부를 분리하여 고건원노동자구에 편입하였다. 1961년에 용북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가, 1977년에는 경원군이 새별군으로 개칭되면서 새별군 용북노동자구로 되었다.

이 지역은 함북부탄전에 속하는 석탄기지로서 제3기층에는 질 좋은 고열탄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광복 후 탄광이 개발되면서 ‘주민지’가 이루어지고 광산도시를 이루었는데, 현재 중심거리에는 용북중학교, 용북문화회관, 용북인민병원 등 교육문화보건시설과 주민들을 위한 편의봉사시설이 배치되어 있다. 지방산업의 기본을 이루는 탄광채굴업에서는 해마다 수십만 톤의 유연탄이 생산되어 함경북도와 전국 각지에 공급되고 있다. 이밖에 식료가공품, 일용품 등 제품이 생산된다. 주요 업체로는 용북청년탄광, 용북식료공장, 용북약초농장, 용북협동농장 등이 있다. 교통은 고건원선(20.4km)이 통과하고 있으며 군 소재지인 경원읍까지는 18km이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774/1114
330) 함경북도 무산군 지초리
331) 함경북도 무산군 차유리
332) 함경북도 무산군 칠성리
333) 함경북도 무산군 풍산리
334) 함경북도 무산군 흥암리
335) 함경북도 부령군
336) 함경북도 부령군 부령읍
337) 함경북도 부령군 고무산노동자구
338) 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노동자구
339) 함경북도 부령군 석막노동자구
340) 함경북도 부령군 금강리
341) 함경북도 부령군 사하리
342) 함경북도 부령군 창평리
343) 함경북도 부령군 최현리
344) 함경북도 부령군 형제리
345) 함경북도 경원군
346) 함경북도 경원군 경원읍
347) 함경북도 경원군 고건원노동자구
348) 함경북도 경원군 용북노동자구
349) 함경북도 경원군 하면노동자구
350) 함경북도 경원군 금동리
351) 함경북도 경원군 농포리
352) 함경북도 경원군 동림리
353) 함경북도 경원군 양동리
354) 함경북도 경원군 용계리
355) 함경북도 경원군 용남리
356) 함경북도 경원군 용당리
357) 함경북도 경원군 용문리
358) 함경북도 경원군 용신리
359) 함경북도 경원군 용현리
360) 함경북도 경원군 유다섬리
361) 함경북도 경원군 봉산리
362) 함경북도 경원군 사수리
363) 함경북도 경원군 성내리
364) 함경북도 경원군 신건리
365) 함경북도 경원군 안원리
366) 함경북도 경원군 연산리
367) 함경북도 경원군 종산리
368) 함경북도 경원군 중영리
369) 함경북도 경원군 후석리
370) 함경북도 경원군 훈융리
371) 함경북도 어랑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