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경원군 고건원노동자구 개요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함경북도 경원군 고건원노동자구 개요

분류 행정구역정보관>개관>개요
행정구역 함경북도>경원군>고건원노동자구

함경북도 경원군 1읍 3구 21리의 하나. 군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노동자구. 서쪽은 용북노동자구, 동쪽은 신건리, 남쪽은 용남리 · 용현리, 북쪽은 동림리와 접해 있다. 1953년에 경원군 용북리 일부를 분리하여 신설한 노동자구로서 지난 시기 고건원면의 소재지가 위치해 있는 고장이라 하여 고건원노동자구라고 하였다. 1954년에 경원군 용북리 일부가 편입되었으며, 1977년에 경원군이 새별군으로 개칭되면서 새별군 고건원노동자구로 되었다.

이 지역은 동북부에 마요봉, 서북부에 사소봉, 해돋이봉 등 산이 둘러서 있으며 남부로 오룡천이 유입되어 있다. 1920년대 말부터 석탄을 채굴하기 시작하였는데, 당시 생산된 석탄은 주로 해방전 일제의 대륙침략을 위한 군수산업에 이용되었다.

광복 후 우리나라 북부 일대의 이름난 석탄산지로 개발되면서 ‘주민지’가 확장되고 아름다운 광산소도시를 이루었다. 현재 가로세로 뻗은 중심거리로는 다층문화주택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고 여기에는 고건원공업대학, 석탄전문학교, 고건원도서관, 고건원문화회관, 고건원산업병원 등 교육문화보건기관이 배치되어 있다.

주요 업체로는 고건원탄광, 고건원식료공장, 고건원도자기공장, 고건원철제일용품공장, 고건원옷공장, 고건원유리공장, 고건원가구공장, 고건원협동농장 등이 있다. 교통은 함북선의 신건역에서 분리되어 임대를 종점으로 한 고건원선이 부설되어 있으며 여기에 고건원역이 설치되어 있다. 도로는 북동부로 신의주~우암 간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군 소재지인 경원읍까지는 철로로 18km이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관련이미지

고건원노동자구 탄광마을

고건원노동자구 탄광마을 출처: 조선향토대백과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772/1114
329) 함경북도 무산군 온천리
330) 함경북도 무산군 지초리
331) 함경북도 무산군 차유리
332) 함경북도 무산군 칠성리
333) 함경북도 무산군 풍산리
334) 함경북도 무산군 흥암리
335) 함경북도 부령군
336) 함경북도 부령군 부령읍
337) 함경북도 부령군 고무산노동자구
338) 함경북도 부령군 무수노동자구
339) 함경북도 부령군 석막노동자구
340) 함경북도 부령군 금강리
341) 함경북도 부령군 사하리
342) 함경북도 부령군 창평리
343) 함경북도 부령군 최현리
344) 함경북도 부령군 형제리
345) 함경북도 경원군
346) 함경북도 경원군 경원읍
347) 함경북도 경원군 고건원노동자구
348) 함경북도 경원군 용북노동자구
349) 함경북도 경원군 하면노동자구
350) 함경북도 경원군 금동리
351) 함경북도 경원군 농포리
352) 함경북도 경원군 동림리
353) 함경북도 경원군 양동리
354) 함경북도 경원군 용계리
355) 함경북도 경원군 용남리
356) 함경북도 경원군 용당리
357) 함경북도 경원군 용문리
358) 함경북도 경원군 용신리
359) 함경북도 경원군 용현리
360) 함경북도 경원군 유다섬리
361) 함경북도 경원군 봉산리
362) 함경북도 경원군 사수리
363) 함경북도 경원군 성내리
364) 함경북도 경원군 신건리
365) 함경북도 경원군 안원리
366) 함경북도 경원군 연산리
367) 함경북도 경원군 종산리
368) 함경북도 경원군 중영리
369) 함경북도 경원군 후석리
370) 함경북도 경원군 훈융리
371) 함경북도 어랑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