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발(석방렴, 토전발, 장어담장)

독발(석방렴, 토전발, 장어담장)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기술 > 어로기술

장어얼은 쉽게 말하면 돌무더기라고 할 수 있다. 강에 돌무더기를 쌓아서 장어를 잡는 것이다. 장어얼의 돌무더기는 대규모로 막지는 못한다. 강의 폭이 좁은 지리적 이유뿐만이 아니라 장어얼을 통해 장어를 어획하는 방법도 대규모의 돌무더기로는 적합하지 않다 장어얼은 먼저 약 1평 내외의 돌무더기를 약 1m 정도의 높이로 쌓아 올린다. 피라밋형으로 쌓아 올리는데, 전통적으로는 지게로 져서 옮겼다고 하지만, 현재는 기계로 돌무더기를 쌓는 실정이다.

사진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세화바다 원담 제주 선인들은 돌투성이 조간대(潮間帶)에 ‘여’(암초)를 지혜롭게 이용해 ‘원’ 또는 ‘개’라 부르는 돌그물을 만들었다. 제주섬 빙 둘러 바다마을이면 어느 곳이든 원을 만들어 어로작업에 이용했다. 원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원시적 어로장치다. 살짝 만(灣)을 이룬 바닷가에 돌담을 쌓아 놓아, 밀물을 따라 들어온 고기가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자연히 돌담 안에 갇히므로 쉽게 잡을 수 있었다. 제주의 원은 순수하게 돌로만 축조했다. 또한 한반도의 돌그물이 개인의 것인 반면, 제주의 원은 마을 어로집단의 공동소유의 것으로 축조, 보수, 채집활동을 함께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제주 해안의 원담

제주 해안의 원담 제주 해안가에서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하여 고기를 잡을 수 있게 쌓아 만든 돌담이다.

제주 해안 원담체험

제주 해안 원담체험 제주 해안가에서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하여 고기를 잡을 수 있게 쌓아 만든 돌담이다.

제주 해안가 원담

제주 해안가 원담 제주 해안가에서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하여 고기를 잡을 수 있게 쌓아 만든 돌담이다.

남해 문항마을 독살

남해 문항마을 독살 독살은 해안에 돌을 쌓아 밀물이 되면 고기가 같이 들어왔다가 썰물이 되면 물이 빠지면서 돌담에 남은 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고기잡이 방법이다. 석방렴, 돌살, 쑤기담, 원담이라고도 한다.

남해 문항마을 독살

남해 문항마을 독살 독살은 해안에 돌을 쌓아 밀물이 되면 고기가 같이 들어왔다가 썰물이 되면 물이 빠지면서 돌담에 남은 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고기잡이 방법이다. 석방렴, 돌살, 쑤기담, 원담이라고도 한다.

연관목차

1409/2347
어로기술
어로도구
연육
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