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릿그물

후릿그물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기술 > 어로기술

바다나 강에서 물고기를 잡는 데 쓰는 큰 그물로 일찍부터 우리 나라에서 개발된 지인망(地引網)의 일종이다. 그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법도 쉬우므로 원시시대부터 이미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문헌상으로 후릿그물이 휘리(揮罹)라는 명칭으로 자주 등장하게 된 시기는 조선 후기부터였다. 1752년(영조 28)에 제정된 『균역사목』 해세조에는 경상도의 어업 중 어장(漁場)을 설명함에 있어서 강에는 강어휘리장(江魚揮罹場)이 있다는 것이 보인다. 이것은 강에서 후릿그물을 쳐서 담수어나 소하성(溯河性:바다에서 육지의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성질) 어류를 잡는 어장을 말한 것이다. 후릿그물은 과거 하천에서 많이 사용하였을 것이다. 『경세유표』에는 경상도의 해세를 논하는 가운데 강구(江口)에서 큰 그물로 물고기를 잡는 것도 역시 어장이라고 부르는데 방언은 휘리라고 한 것이 보인다. 역시 하천에서 후릿그물을 치는 곳을 말하는 것이다. 후릿그물은 해안에서 각종 어류를 어획하는 데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균역사목』의 함경도 해세에 관한 것을 보면 덕원청어휘리세(德原靑魚揮罹稅)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덕원지방에서 청어를 후릿그물로 잡고 있었음을 전하는 것이다. 『만기요람』 해세조에는 강원도의 어업에 대하여 적으면서 휘리가 여러 곳에 있는데 그 세금은 많은 것은 10냥, 적은 것은 4∼5냥이라고 하고 있다. 강원도 연안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은 자연적 조건이 후릿그물과 같은 지인망을 사용하기에 적합하므로 과거 지인망을 많이 사용하였던 것이다. 『균역사목』 보다 수년 뒤에 만들어진 『균역청사목』에는 전라도의 어구를 열거한 것 중에 면휘망(綿揮網)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면사(綿絲)로 만든 후릿그물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를 강이나 해변에서도 사용하는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어류를 잡는다고 하였다. 특히, 부호는 명주실로 만든 대형 후릿그물을 만들기도 한다고 하였다. 이는 상당히 발달된 후릿그물이 19세기 전반기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1908년에 발행된 『한국수산지』 제1집에는 각종 어구의 설명에서 지예망(地曳網:地引網)이라는 것을 들고 그 밑에 휘리망이라고 표시하고 있다. 전자는 일본식 명칭이다. 그러나 원래 후릿그물이라 하면 다른 지인망과 구별되는 것이 낭망이 없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에도 낭망이 없는 지인망을 후릿그물이라고 하였다. 후릿그물은 일제강점기까지만 하더라도 수백 통이 사용되고 있었고, 주로 우리 나라 사람이 이를 사용하였으나, 능률적인 다른 어구가 발달함에 따라 그 상대적 중요성은 절감하였다. 오늘날에는 연안 가까이 내유(來游)하는 어류 자원이 격감하여 후릿그물어업은 산업으로 성립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다만 경상북도 일부 지방에서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연관목차

1373/2347
선박
어로기술
후릿그물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