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례니질금

노례니질금

분류 문학 > 국가 > 신라

기본정보

신라 제3대 왕.
생몰년: ?-57
재위기간: 24-57

일반정보

신라 제3대 왕으로 유례왕(儒禮王) 혹은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이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고 비는 일지갈문왕(日知葛文王) 혹은 사요왕(辭要王)의 딸이다. 처음에 남해왕이 죽은 후 노례왕이 즉위해야 했지만 대보(大輔) 탈해가 보다 덕망이 있다고 하여 왕위를 그에게 사양하였다. 그러나 서로 치아수를 세어본 뒤 노례왕이 이가 많아서 왕위를 먼저 잇게 되었다.

노례니질금 본문 이미지 1
노례니질금 본문 이미지 2
노례니질금 본문 이미지 3

전문정보

『삼국사기』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년 조에 따르면 “6부의 이름을 고치고 그에 따라 성(姓)을 내려주었다. …또 관을 설치하였는데, 17관등이 있었다.(改六部之名 仍賜姓 … 又設官有十七等)”고 한다. 한편 『삼국유사』권1 기이1 노례왕조 기사에 의하면 노례왕 9년(32)에 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여섯 성(姓)을 내렸으며, 비로소 도솔가를 지었는데 차사와 사뇌격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즉, 혁거세의 등장 이전부터 존재했던 “육촌(六村)”을 모태로 하여, 유리이사금대에 새로운 이름을 가진 육부가 출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사는 그대로 믿기 어려운 점이 있다.

위 기사에 따르면 육부의 성립과 함께 중국식 성(姓)의 사여(賜與)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박․석․김 이외의 중국계 성(姓)의 사용은 대체로 통일신라시기에 들어와서야 본격화되었다고 여겨지고 있다.(이종서, 1997) 그리고 육부 관련기사 바로 뒤에 17관등 설치기사가 나오는데 이때에 몇몇 관등이 설치된 것은 사실이겠지만, 관등이 17개로 정비된 것은 법흥왕 7년(520) 율령 반포를 전후한 시기로 보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주보돈, 1990)

따라서 이 사로 6촌이 6부로 개편되는 것은 이 이후에 이루어 진 것이라는 견해(이병도, 1976) 혹은 후대에 부회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末松保和, 1954) 한편 “부(部)”가 완만한 단위 정치체 기능을 수행하는 성격을 가진다고 보아서 신라의 초기국가 발전상황과 연결시켜 볼 때, 위의 기록을 신빙할 수 있으므로 유리이사금대에 사로 육촌(六村)이 육부(六部)로 개편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이문기, 1981; 이종욱, 1982)

참고문헌

末松保和, 1954,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이병도, 1976, 『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이문기, 1981, 「金石文資料를 통하여 본 新羅의 六部」『歷史敎育論集』2.
이종욱, 1982, 『新羅國家形成史硏究』, 일조각.
주보돈, 1990, 「6세기 초 新羅王權의 位相과 官等制의 성립」『歷史敎育論集』13․14合.
이종서, 1997,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韓國史論』37.

[관련원문 및 해석]

(『삼국유사』 왕력)
第三 弩[一作弩]禮尼叱今 [父南解 母雲帝 妃辭要王之女金氏 甲申立 理三十三年 尼叱今 或作尼師今]
제3 노[혹은 노]례이질금 [아버지는 남해이고 어머니는 운제이다. 비는 사요왕의 딸 김씨이다. 갑신년에 즉위하여 33년간 다스렸다. 이질금은 또는 이사금이라고도 한다.]

第五 婆娑尼叱今 [姓朴氏 父弩禮王 母辭要王之女 妃史肖夫人 庚辰立 理(三)十二年]
제5 파사이질금 [성은 박씨이다. 아버지는 노례왕, 어머니는 사요왕의 딸이며, 비는 사초부인이다. 경진년에 즉위하여 32년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1 기이1 제3 노례왕)
第三弩禮王
朴弩禮尼叱今[一作 儒禮王] 初王與妹夫脫解讓位 脫解云 凡有德者多齒 宜以齒理試之 乃咬餅驗之 王齒多 故先立 因名尼叱今 尼叱今之稱 自此王始 劉聖公更始元年癸未卽位[年表云 甲申卽位] 改定六部號 仍賜六姓 始作兜率歌 有嗟辭詞腦格 始<犁>黎耜及藏氷庫 作車乘 建<武>十八年 伐伊西國滅之 是年 高麗兵來侵
제3 노례왕
박노례이질금[또는 유례왕이라고도 한다.]이 처음에 매부인 탈해왕에게 왕위를 물려주니 탈해가 말했다. “무릇 덕이 있는 사람은 이(齒)가 많으니 마땅히 이빨의 금으로 시험을 하여 봅시다.” 이에 떡을 물어 시험을 하여 보니 왕이 이가 많았으므로 먼저 왕위에 올랐다. 이로 인하여 이름을 이질금이라고 하니 이질금이란 칭호는 이 왕 때부터이다. 유성공(劉聖公) 경시(更始) 원년 계미(癸未)(23년)에 즉위하여[연표에는 갑신에 즉위하였다고 하였다.] 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여섯 성(姓)을 내렸으며, 비로소 도솔가를 지었는데 차사와 사뇌격이 있었다. 비로소 보습과 얼음 창고와 수레를 만들었다. 건무 18년(42년)에 이서국(伊西國)을 쳐서 멸하였는데 이 해에 고구려 군사가 와서 침범하였다.

관련원문 및 해석

(『삼국유사』 왕력)
第三 弩[一作弩]禮尼叱今 [父南解 母雲帝 妃辭要王之女金氏 甲申立 理三十三年 尼叱今 或作尼師今]
제3 노[혹은 노]례이질금 [아버지는 남해이고 어머니는 운제이다. 비는 사요왕의 딸 김씨이다. 갑신년에 즉위하여 33년간 다스렸다. 이질금은 또는 이사금이라고도 한다.]

第五 婆娑尼叱今 [姓朴氏 父弩禮王 母辭要王之女 妃史肖夫人 庚辰立 理(三)十二年]
제5 파사이질금 [성은 박씨이다. 아버지는 노례왕, 어머니는 사요왕의 딸이며, 비는 사초부인이다. 경진년에 즉위하여 32년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1 기이1 제3 노례왕)
第三弩禮王
朴弩禮尼叱今[一作 儒禮王] 初王與妹夫脫解讓位 脫解云 凡有德者多齒 宜以齒理試之 乃咬餅驗之 王齒多 故先立 因名尼叱今 尼叱今之稱 自此王始 劉聖公更始元年癸未卽位[年表云 甲申卽位] 改定六部號 仍賜六姓 始作兜率歌 有嗟辭詞腦格 始<犁>黎耜及藏氷庫 作車乘 建<武>十八年 伐伊西國滅之 是年 高麗兵來侵
제3 노례왕
박노례이질금[또는 유례왕이라고도 한다.]이 처음에 매부인 탈해왕에게 왕위를 물려주니 탈해가 말했다. “무릇 덕이 있는 사람은 이(齒)가 많으니 마땅히 이빨의 금으로 시험을 하여 봅시다.” 이에 떡을 물어 시험을 하여 보니 왕이 이가 많았으므로 먼저 왕위에 올랐다. 이로 인하여 이름을 이질금이라고 하니 이질금이란 칭호는 이 왕 때부터이다. 유성공(劉聖公) 경시(更始) 원년 계미(癸未)(23년)에 즉위하여[연표에는 갑신에 즉위하였다고 하였다.] 육부의 이름을 고치고 여섯 성(姓)을 내렸으며, 비로소 도솔가를 지었는데 차사와 사뇌격이 있었다. 비로소 보습과 얼음 창고와 수레를 만들었다. 건무 18년(42년)에 이서국(伊西國)을 쳐서 멸하였는데 이 해에 고구려 군사가 와서 침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