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백

총백

[ 葱白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온溫, 소음인

총백 본문 이미지 1
총백 본문 이미지 2
총백 본문 이미지 3

다른이름 葱莖白(총경백), 葱白頭(총백두)
약맛 신(辛)
귀경 폐(肺) 위(胃)
주치 胆道蛔蟲症, 脈微, 排尿困難, 腹痛, 泄瀉, 陽水, 溢飮, 腸寄生蟲症, 赤白痢, 跌打損傷, 風寒感冒, 風, 濕痺, 下痢, 寒凝腹痛, 蛔蟲
약용부위 비늘줄기

금기

表虛汗多에는 복용하지 말고, 地黃·常山이나 꿀과 함께 먹지 말아야 한다.

효능

利尿消腫, 發汗解表, 殺蟲, 通陽散寒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끓여서 먹으면 傷寒(상한)의 寒熱往來(한열왕래), 風邪(풍사)의 침입으로 얼굴이 부은 경우를 치료하며 發汗(발한)작용이 있다.
: 寒邪(한사)의 침입으로 뼈마디와 온몸이 쑤시는 증상을 치료하고 목이 부어 氣道(기도)가 막히는 증상을 치료하며 姙娠(임신)을 안정시킨다. 肝(간)에 邪氣(사기)가 침범한 것을 제거함으로써 눈을 편안하게 하고 脾胃(비위)와 五臟(오장)을 순조롭게 하고 모든 藥物(약물)의 毒性(독성)을 제거한다. 뿌리는 傷寒(상한)의 頭痛(두통)에 사용한다.
: 유행성 전염병, 頭痛(두통), 熱(열)로 인한 발광, 구토와 설사를 동반한 근육경련을 치료한다. 하복부에서 상부로 기운이 솟구치는 증상, 脚氣病(각기병), 心腹痛(심복통), 눈앞이 캄캄해지는 증상, 정신이 혼미한 증상을 치료한다.
: 關節(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코피를 멎게 하며 대소변을 시원하게 한다.
: 寒熱(한열)로 인한 痢疾(이질)과 下血(하혈)을 치료한다.
: 體表(체표)에 있는 邪氣(사기)를 발산시키고 體內(체내)를 조화롭게 하고 止血(지혈)시킨다.
: 風濕(풍습)의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온몸이 아픈 증상 및 마비 증상을 치료한다. 기생충이 뭉쳐서 복통이 있는 경우를 치료하며 성인의 脫腸(탈장), 陰毒(음독)에 의한 腹痛(복통)을 치료한다. 소아의 脫腸(탈장)을 치료한다. 여성의 姙娠(임신) 下血(하혈)을 치료하고 乳汁(유즙)을 잘 나오게 하고 유방이 뭉쳐지는 것을 푼다. 耳鳴(이명)을 치료한다. 짐승과 벌레에 물려 덧난 곳에 바른다.
: 모든 생선과 고기의 毒(독)을 제거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葱(총)의 이명으로는 芤(규), 菜伯(채백), 和事草(화사초), 鹿胎(녹태)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蔥(총)은 굴뚝(囱)이라는 뜻에서 나왔다. 외형이 곧고 속이 빈 것이 굴둑의 모양과 서로 통한다. 芤(규)라는 명칭은 풀(草) 속에 구멍(孔)이 있다는 뜻이니 孔(공)이라는 글자에서 芤(규)가 나왔으며 芤脈(규맥)은 이 것을 본뜬 것이다. 파의 잎이 처음 나온 것을 葱針(총침)이라하고 잎을 葱靑(총청)이라고 하며 껍질을 葱袍(총포)라고 하고 줄기를 葱白(총백)이라고 한다. 잎 속에 있는 액체를 葱苒(총염)이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부분에 적당한 쓰임이 있기 때문에 菜伯(채백), 和事(화사)라는 명칭이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