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전자

차전자

[ 車前子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한寒, 소양인

차전자 본문 이미지 1
차전자 본문 이미지 2
차전자 본문 이미지 3

차전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차전자는 질경이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질경이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입니다.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퍼지고, 꽃은 6월과 8월 사이에 흰색으로 피며, 잎 사이에서 길이 10㎝에서 50㎝의 꽃대가 나옵니다. 삭과는 익으면 옆으로 갈라지면서 뚜껑이 열리고, 6개에서 8개의 검은색 종자가 나옵니다. 약재는 납작한 타원형으로 길이가 2㎜에서 2.5㎜정도이며, 너비는 0.7㎜에서 1㎜사이이고, 두께는 0.3㎜에서 0.5㎜정도입니다. 바깥면은 광택이 있는 갈색 또는 황갈색을 띱니다. 차...

출처: 문화원형백과

다른이름 當道(당도), 芣苡(부이), 勝舃(승석), 勝舃葉(승석엽), 牛輪菜(우륜채), 牛舌草(우설초), 牛遺(우유), 地衣(지의), 車輪菜(차륜채), 車前(차전), 哈螞草(합마초), 蛤蟆衣(합마의)
약맛 감(甘) 담(淡)귀경 간(肝) 폐(肺) 신(腎) 소장(小腸) 방광(膀胱)
주치 內障, 尿血, 帶下, 淋症, 淋濁, 目赤, 小便不利, 水腫, 濕痺, 濕熱泄瀉, 視物昏暗, 肺熱咳嗽痰多
약용부위 종자

처방

가미팔미환(加味八味丸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車前子,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牛膝,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熟地黃,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山藥,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山茱萸,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附子,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白茯苓,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牧丹皮,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官桂,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澤瀉, 분량 : 1, 단위 :兩

대지환(大志丸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遠志, 분량 : 7.5, 단위 :錢
본초명 : 蘆薈,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白蒺藜, 분량 : 7.5, 단위 :錢
본초명 : 茯神,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生地黃,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蟬退,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熟地黃,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人蔘,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全蝎, 분량 : 5, 단위 :枚
본초명 : 車前子, 분량 : 7.5,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充蔚子,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琥珀,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細辛, 분량 : 7.5, 단위 :錢

금기

內傷勞倦과 陽氣下陷, 腎虛精滑 및 內에 濕熱이 없는 者는 복용을 忌한다.
正常胎兒의 位置變化를 招來할 수 있으므로, 姙婦는 服用을 忌해야 한다.

효능

利水, 明目, 止瀉, 淸肝, 淸肺, 通淋, 化痰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기(氣)의 문제로 인하여 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습(濕)으로 인하여 저린 증상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 남성의 내상(內傷), 여성이 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식욕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폐(肺)를 돕고 정력을 좋게 하며 정기(精氣)를 북돋아 자식을 낳을 수 있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충혈된 눈을 낫게 한다.
: 풍독(風毒)을 제거하고 간(肝)에 풍열(風熱)이 침범하여 눈이 충혈되고 아프며 군살이 자라나 시야를 가리는 증상과 두통 및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광물성 약재로 인한 독성을 없애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 간(肝)을 돕는다.
: 난산(難産)을 치료한다.
: 소장(小腸)의 열(熱)을 제거하고 더위와 습기로 인한 이질과 설사를 멎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당도(當道), 부이(芣苡), 마석(馬舃), 우유(牛遺), 우설초(牛舌草), 우륜채(牛輪菜), 지의(地衣), 합마의(蛤蟆衣)가 있다.

이시진(李時珍): 에 의하면 부이(芣苡)는 마석(馬舃)이고 마석(馬舃)은 차전(車前)이다. 육기(陸機)의 에 의하면 이 풀은 길가와 우마차의 바퀴 자국 사이에 잘자라기 때문에 차전(車前), 당도(當道), 마석(馬舃), 우유(牛遺) 등의 명칭이 생겼다. 석(舃)은 발로 밟는 다는 뜻이다. 유주(幽州) 사람들은 우설초(牛舌草)라고 불렀다. 두꺼비가 이 뭎 아래에 숨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강동(江東) 사람들은 합마의(蛤蟆衣)라고 불렀다. 또한 에서는 쭉 뻗어 곧게 자라는 것을 차전(車前)이라고 하고 사방으로 자라는 것을 부이(芣苡)라고 했는데 억지인 것 같다. 구(瞿)는 양쪽 옆으로 자라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