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이자

창이자

[ 蒼耳子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온溫, 태음인

창이자 본문 이미지 1
창이자 본문 이미지 2

다른이름 葈耳實(시이실)약맛 고(苦) 신(辛)귀경 폐(肺)
주치 疥瘡, 癘風, 鼻塞, 鼻淵, 四肢攣痛, 風寒→牙齒疼痛, 風寒感冒, 風寒頭痛, 風寒濕痺, 風寒挾濕 感冒, 皮膚瘙痒
약용부위 열매

처방

사국공침주방(史國公浸酒方)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白蘞,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虎脛骨,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羌活,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枸杞子, 분량 : 5, 단위 :兩
본초명 : 當歸,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杜冲,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晩蠶砂,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植防風,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當歸,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野茄根, 분량 : 8, 단위 :兩
본초명 : 牛膝,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油松節,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蒼耳子, 분량 : 4, 단위 :兩
본초명 : 鱉甲,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秦艽, 분량 : 3, 단위 :兩

정통산(定痛散)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檳榔,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羗活,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骨碎補,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虎脛骨,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龜板,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當歸,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沒藥,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防風,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白附子,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白芷,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牛膝,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肉桂,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自然銅,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赤芍,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蒼耳子,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血竭,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五加皮, 분량 : 2, 단위 :兩
본초명 : 天麻, 분량 : 2, 단위 :兩

금기

돼지, 말고기를 같이 먹지 말아야 한다.
血虛로 인한 두통, 痺痛의 경우에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효능

發汗, 散風濕, 通鼻竅, 解表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風寒(풍한)의 邪氣(사기)로 인한 頭痛(두통), 風濕(풍습)의 사기로 인하여 저리고 사지가 당기고 아픈 증상, 무릎 통증을 치료하며 비정상적인 조직과 괴사된 조직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기운을 북돋우며 눈과 귀가 밝아지고 기억력이 좋아지며 몸이 가벼워진다.
: 肝熱(간열)을 제거하고 눈을 밝게 한다.
: 모든 風氣(풍기)를 제거하고 骨髓(골수)를 보충하며 허리와 다리를 따뜻하게 하고 임파선염과 옴병을 치료하고 가려움증을 치료한다.
: 볶아서 좋은 술에 담구었다가 복용하면 風邪(풍사)를 제거하고 신체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약물이름의 기원
"蒼耳(창이)의 열매이다. 蒼耳(창이)의 이명으로는 枲耳(시이), 胡枲(호시), 常思(상사), 卷耳(권이), 爵耳(작이), 猪耳(저이), 耳璫(이당), 地葵(지규), 葹(시), 羊負來(양부래), 道人頭(도인두), 進賢菜(진현채), 喝起草(갈기초), 野茄(야가), 縑絲草(겸사초)가 있다.

蘇頌(소송): 시인들은 卷耳(권이)라고 하고 에서도 蒼耳(창이)라고 하였으며 에서는 枲耳(시이)라고 하였는데, 모두 열매를 보고 붙인 이름이다. 陸機(육기)는 에서 이 열매는 바로 여성들의 귀고리처럼 생겼기 때문에 耳璫草(이당초)라고 하였다고 했다. 鄭康成(정강성)은 白胡菜(백호채)라고 하였고 幽州(유주) 사람들은 爵耳(작이)라고 하였다. 에서는 洛水(락수) 지역에는 양을 몰고 蜀(촉)으로 들어가는 사람들이 많은데, 胡枲(호시)의 열매에 씨앗이 많기 때문에 양털에 달라붙어서 흙이 있는 곳까지 옮겨가기 때문에 羊負來(양부래)라는 명칭이 붙었다. 일반인들은 道人頭(도인두)라고도 부른다.
陶弘景(도홍경): 천민들은 모두 이것을 먹기 때문에 常思菜(상사채)라고 불렀다.
李時珍(이시진): 그 잎의 모양이 枲麻(시마, 모시풀) 또는 茄(가)와 비슷하기 때문에 枲耳(시이)나 野茄(야가)라는 이름이 생겼다. 그 미끌미끌한 맛이 葵(규)와 비슷하기 때문에 地葵(지규)라는 명칭이 생겼는데, 地膚(지부)의 이명과 같다. 詩人(시인)들이 <思夫賦>에 卷耳章을 두고 常思菜라고 하였다. 張揖은 <廣雅>에서 常枲(상시)라고 했는데, 이것 역시 맞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