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당귀

일당귀

[ 日當歸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온溫, 소음인

일당귀 본문 이미지 1
일당귀 본문 이미지 2
일당귀 본문 이미지 3

다른이름
약맛 감(甘) 신(辛)귀경 간(肝) 심(心) 비(脾)
주치 經閉腹痛, 崩漏, 心肝血虛證, 癰疽瘡瘍, 月經不調, 痿痺, 跌打損傷, 癥瘕結聚, 眩暈, 血虛→腸燥便難, 血虛頭痛
약용부위 뿌리

금기

味甘하여 滑腸하므로 濕盛中滿者와 便溏泄瀉者는 服用을 忌한다.

효능

補血, 潤腸, 調經, 止痛, 通便, 和血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심한 기침으로 氣(기)가 위로 솟구치는 증상, 학질, 피부가 오싹오싹한 증상, 流産(유산), 모든 종기나 부스럼, 金瘡(금창) 등에 끓여서 즙을 마신다.
: 속을 따뜻하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瘀血(어혈)이 뭉친 것을 제거한다. 또한 風邪(풍사)가 침범하여 땀이 나지 않는 증상, 濕邪(습사)로 인하여 저린 증상, 독한 邪氣(사기)가 침범한 증상, 몸이 차고 허한 증상을 치료하며 五臟(오장)을 보하고 살집을 좋게 한다.
甄權(견권): 구토감을 멎게 하고 피로로 인한 쇠약, 寒熱往來(한열왕래), 설사, 복통, 치통, 부인의 요통과 자궁출혈을 치료하며 모든 허약한 증상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모든 風病(풍병)과 血病(혈병)을 치료하고 모든 虛弱(허약)을 보충하며 瘀血(어혈)을 제거하고 새로운 血(혈)이 생성되게 하고 癥瘕(징가)와 腸胃(장위)가 차가운 것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두통, 명치부위 통증을 치료하고 腸胃(장위)와 筋骨(근골) 및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癰疽(옹저)를 치료할 때 고름을 배출시키며 통증을 그치게 하고 血(혈)을 조화롭게 하고 보충한다.
王好古(왕호고): 다리를 못쓰고 눕기를 좋아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발바닥에 열이나고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衝脈(충맥)에 병이 들어 氣(기)가 上逆(상역)하고 배가 아픈 증상을 치료한다. 帶脈(대맥)이 병이 들어 복통이 있고 허리가 찬 물속에 있는 것처럼 시린 증상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갯강활이라고도 하며 에서는 當歸(당귀)와 日當歸(일당귀)를 구분하지 않고 있다. 當歸(당귀)의 이명으로는 乾歸(건귀), 山蘄(산기), 白蘄(백기), 文無(문무)이 있다.

蘇頌(소송): 를 살펴보면 薜(벽)은 山蘄(산기)이며, 또한 白蘄(백기)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薜(벽)의 音(음)은 百(백)과 같다. 蘄(기)는 곧 옛날의 芹(근)字이다. 郭璞(곽박)의 주석에서는 薜(벽)은 當歸(당귀)이다. 그것은 미나리(芹)와 비슷하지만 조금 더 크고 거칠다고 하였다. 許愼(허신)의 에서는 산에서 자라는 것을 薜(벽)이라 하는데, 일명 山蘄(산기)라고 한다. 이것이 곧 當歸(당귀)이니 芹類(근류)에 속한다고 하였다. 평지에서 자라는 것을 芹(근)이라하고 산에서 자라나며 크고 거친 것을 當歸(당귀)라 한다.
寇宗奭(구종석): 지금은 川蜀(천촉)지방의 밭두둑에 심는데 굵고 기름기가 많은 것이 품질이 좋으니 평지나 산속에서 자라는 것과 차이가 없다.
李時珍(이시진): 當歸(당귀)는 본래 미나리(芹)의 종류가 아니다. 그러나 꽃과 잎이 미나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芹(근)이라는 이름을 얻은 것이다. 옛사람들은 여자가 시집가면 대를 잇게 되는데, 當歸(당귀)는 血(혈)을 조절하는 약이므로 여인의 중요한 약이 되고 남편을 그리워한다는 뜻이 있어서 當歸(당귀)라는 명칭이 붙었다. 崔豹(최표)의 에서는 옛 사람들은 芍藥(작약)으로써 서로 이별하였고 文無(문무)로써 서로 붙들었다. 文無(문무)는 일명 當歸(당귀)로써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이며, 芍藥(작약)은 일명 將離(장리)로써 장차 해어진다는 뜻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陳承(진승): 當歸(당귀)는 姙婦(임부)의 産後(산후) 瘀血(어혈)이 위로 치받는데 빠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氣血(기혈)이 어지러운 사람이 복용하면 곧 안정된다. 이 약재는 氣血(기혈)을 각각 돌아가야할 곳으로 보내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당귀의 명칭이 반드시 이 때문에 나온 것은 아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