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방자

우방자

[ 牛蒡子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한寒, 소양인

우방자 본문 이미지 1
우방자 본문 이미지 2

우방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방자는 국화과에 속한 우엉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입니다. 우엉은 높이가 1.5m 정도입니다. 줄기는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뿌리는 굵고 길게 자랍니다. 꽃은 7월에 피며, 두화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총포는 구형, 포는 바늘 모양이고, 끝은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꽃은 통상화뿐이며, 검은 자줏빛이 돕니다. 약재는 긴 난형으로 조금 구부러져 있으며 길이가 4에서 7㎜, 지름은 약 2㎜ 정도입니다. 바깥면은 회색을 띤 흑갈색으로 얕은 능선이 있습니다. 한쪽 끝이 ...

출처: 문화원형백과

다른이름 惡實(오실), 鼠粘子(서점자), 黍粘子(서점자)
약맛 고(苦) 신(辛)
귀경 폐(肺) 위(胃)
주치 感冒風熱, 小兒痲疹, 牙痛, 咽喉腫痛, 風熱咳嗽, 皮膚風疹, 痄腮
약용부위 열매

처방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蓮翹,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殭蠶,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槐花,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歸尾,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金銀花,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植防風,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山梔,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牛蒡子,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赤芍,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荊芥,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白蘚皮, 분량 : 0.8, 단위 :錢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甘草,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殭蠶,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歸尾,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槐花,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植防風,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金銀花,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山梔,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蓮翹,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牛蒡子,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赤芍,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荊芥,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黃芩,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苦蔘, 분량 : 0.5, 단위 :斤
본초명 : 白蘚皮, 분량 : 0.8, 단위 :錢

금기

痘疹이 氣虛로 色白한 경우, 癰疽가 이미 허물어 졌는데 잘 아물지 않는 경우에는 금한다.
또한 性이 寒하고 滑利하여 泄瀉와 氣虛便溏에는 금한다.

효능

宣肺透疹, 疏散風熱, 利咽, 解毒散腫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눈을 밝게 하고 脾胃(비위)를 보충하고 風邪(풍사)를 제거한다.
陳藏器(진장기): 風毒(풍독)으로 인한 붓는 증상과 임파선염을 치료한다.
甄權(견권): 갈아서 술에 담구었다가 매일 2-3잔 복용하면 모든 風病(풍병)이 사라지고 광물성 약재를 복용해서 생기는 중독증상을 치료하며 허리와 다리를 편안하게 한다. 또한 식전에 이것을 익혀서 손으로 주물러서 3개를 먹으면 근육과 관절이 뭉친 것을 풀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蘇恭(소공): 한 개를 삼키면 깊은 곳에 생긴 종기가 겉으로 나온다.
孟詵(맹선): 볶은 것을 갈아서 끓여서 마시면 소변이 시원해진다.
張元素(장원소): 肺(폐)를 윤택하게 하고 氣(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며 咽喉(인후)와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피부의 가려움증을 제거하고 12개의 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
李時珍(이시진): 斑點(반점)과 丘疹(구진)을 제거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鼠粘(서점), 惡實(악실), 大力子(대력자), 蒡翁菜(방옹채), 便牽牛(편견우), 蝙蝠子(편복자)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그 열매의 모양이 좋지 않고 가시가 많기 때문에 惡實(악실)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그 뿌리와 잎은 모두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소가 먹는 채소(牛菜(우채))라고 하였으며 方術(방술)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것을 숨겨놓고 大力(대력)이라고 불렀다. 속세의 사람들은 便牽牛(편견우)라고 하였고 河南(하남) 사람들은 夜叉頭(야차두)라고 하였다.
蘇頌(소송): 열매의 껍질에 가시가 많기 때문에 쥐가 지나가다가 달라붙으면 떼어내지 못한다. 때문에 鼠粘子(서점자)라고 하였으니 羊負來(양부래)와 같은 것과 비교 할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