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량

우여량

[ 禹餘糧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평平, 소음인

우여량 본문 이미지 1
우여량 본문 이미지 2

다른이름 太一禹餘糧(태일우여량), 太一余糧(태일여량), 天師食(천사식), 禹哀(우애), 石中黃子(석중황자), 石飴餠(석이병), 石腦(석뇌), 山中盈脂(산중영지), 白餘糧(백여량)
약맛 감(甘)
귀경 간(肝) 위(胃) 대장(大腸)
주치 滑脫久痢, 滑脫, 下血, 便血, 脫肛, 陽虛泄瀉, 腎虛帶下, 崩漏, 久瀉, 久痢,
약용부위 광물

금기

實證에는 服用을 忌하고 孕婦는 愼用한다.

효능

澁腸止瀉, 收斂止血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咳嗽(해수), 寒熱往來(한열왕래), 가슴이 답답한 증상, 帶下(대하), 월경이 나오지 않고 어혈이 하복부에 뭉쳐진 증상, 高熱(고열)을 치료한다. 제련해서 복용하면 배가 고프지 않고 몸이 가벼워지며 수명이 늘어난다.
: 하복부가 답답하고 통증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甄權(견권): 崩漏(붕루)를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邪氣(사기)가 침범한 증상을 치료하고 골절이 아픈 증상을 치료하며 사지의 감각이 이상한 경우, 치질 등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추위와 더위를 잘 견딘다.
李時珍(이시진): 출산을 촉진시키고 大腸(대장)을 튼튼하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白餘糧(백여량)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돌에 밀가루 같은 고운 가루가 있기 때문에 餘糧(여량)이라는 명칭이 생겼고, 속세에서는 太一禹餘糧(태일우여량)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