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동

천문동

[ 天門冬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한寒, 태음인

천문동 본문 이미지 1
천문동 본문 이미지 2
천문동 본문 이미지 3

다른이름 大當門根(대당문근), 萬歲藤(만세등), 顚棘(전극), 顚勒(전륵), 天棘(천극), 天冬(천동), 虋冬(문동)
약맛 고(苦) 감(甘)귀경 폐(肺) 신(腎)
주치 內熱消渴, 熱病傷陰, 咽喉腫痛, 腸燥便秘, 潮熱咳嗽, 肺腎陰虛證, 肺癰, 肺痿, 虛勞咳嗽
약용부위 덩이뿌리

처방

가감사물탕2(加減四物湯2)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生地,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乾薑, 분량 : 0.3, 단위 :錢
본초명 : 當歸, 분량 : 1.3, 단위 :錢
본초명 : 白蘞, 분량 : 1.3, 단위 :錢
본초명 : 熟地,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知母,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陳皮,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天門冬,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黃栢, 분량 : 0.7, 단위 :錢
본초명 : 白芍藥, 분량 : 1.3, 단위 :錢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阿膠,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烏梅, 분량 : 15, 단위 :箇
본초명 : 訶子,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當歸,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麥門冬,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茯苓,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生地,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黃栢,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牛乳, 분량 : 1, 단위 :碗
본초명 : 梨汁, 분량 : 1, 단위 :碗
본초명 : 人參, 분량 : 3, 단위 :錢
본초명 : 人乳, 분량 : 1, 단위 :碗
본초명 : 知母,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天門冬,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熟地黃, 분량 : 1, 단위 :兩

금기

脾胃虛寒으로 因한 食少便溏者와 外感風寒으로 因한 咳嗽者는 服用을 모두 忌한다.
咳嗽初期와 慢性腸炎에도 사용을 忌한다.

효능

降火, 潤燥, 滋陰, 淸肺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風濕(풍습)의 사기가 침범하여 한쪽만 저린 증상을 치료하고 骨髓(골수)를 튼튼히 하며 기생충을 제거하고 死體(사체)에 숨은 毒氣(독기)를 없앤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이 약재를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
: 肺氣(폐기)를 튼튼하게 하고 寒熱往來(한열왕래)를 없애고 피부를 좋게 하며 소변을 시원하게 한다. 차가운 성질을 가지지만 신체를 補(보)할 수 있다.
: 폐의 이상으로 해소, 천식, 폐에 癰(옹)이 생겨 고름을 토하는 증상을 치료하고 熱(열)을 내리고 腎氣(신기)를 소통시키고 갈증을 멎게 한다. 열을 내려 風症(풍증)을 제거한다. 濕(습)으로 인한 疥癬(개선)을 치료할 때는 오랫동안 복용해야 한다. 끓여서 복용하면 사람의 피부가 깨끗하고 윤기가 생기고 신체에 악취가 나고 깨끗하지 못한 질환을 제거한다.
: 심장을 진정시키고 오장을 촉촉하게 하고 과로로 인한 쇠약과 피를 토하는 증상, 기침을 치료한다. 가래를 삭히고 風熱(풍열)의 사기를 제거하며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없앤다.
: 心病(심병)을 다스리고 목이 건조하고 心痛(심통)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갈증으로 물을 마시고자 하는 증상, 하지가 쇠약해져서 걷지 못하고 눕기를 좋아하는 증상, 발아래에 열이 나고 통증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 신체를 촉촉하게 하고 陰氣(음기)를 공급하고 肺(폐)의 열을 식힌다.
: 성기능이 떨어질 때 항상 복용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虋冬(문동), 顚勒(전륵), 顚棘(전극), 天棘(천극), 萬歲藤(만세등)이 있다.

掌禹錫(장우석): 에 의하면 薔蘼(장미)는 虋冬(문동)이라고 하였는데, 注(주)에서는 門冬(문동)은 일명 滿冬(만동)이라고 하였다. 에서는 顚棘(전극), 地門冬(지문동), 筵門冬(연문동)이라고 하였고 이것을 東岳(동악)에서는 淫羊藿(음양곽)이라 하고, 中岳(중악)에서는 天門冬(천문동)이라 하고, 西岳(서악)에서는 管松(관송)이라 하고, 北岳(북악)에서는 無不愈(무불유)라 하고 南岳(남악)에서는 百部(백부)라고 하며 수도 인근의 산에서는 顚棘(전극)이라 하였고 越人(월인)들은 浣草(완초)라고 하였다. 비록 곳곳에 모두 자라며 그 이름이 서로 다르지만 사실은 하나의 약재이다. 별도로 百部草(백부초)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그 뿌리 100여개 정도가 하나같이 연결 되며 그 싹이 天門冬(천문동)과 조금 다르고 菝葜(발계)와 유사하며 비록 咳嗽(해소)를 치료할 수 있으나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서 별도로 나누었다.
李時珍(이시진): 풀이 무성한 것을 虋(문)이라고 하는데, 속세에서는 門(문)이라고 한다. 이 약초는 매우 무성하고 효능이 麥門冬(맥문동)과 같기 때문에 天門冬(천문동) 혹은 天棘(천극)이라고 한다. 에서는 髦(모)는 顚棘(전극)이라고 하였는데, 이 약재의 가느다란 잎이 髦(모)와 비슷하기 때문에 가느다란 가시가 있는 것 같으며 顚(전)과 天(천)은 음이 서로 가깝기 때문에 天棘(천극)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에 의하면 이 약재는 일반인들이 萬歲藤(만세등), 또는 娑羅樹(사라수)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그 모양과 폐의 질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百部(백부)와 같기 때문에 도한 百部(백부)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薔蘼(장미)를 营實(영실)의 싹이라고 하고 에서는 虋冬(문동)을 지칭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아마도 古書(고서)에서 錯簡(착간)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