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무산군 경제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함경북도 무산군 경제

분류 행정구역정보관>개관>경제
행정구역 함경북도>무산군

무산군은 오래 전부터 철광석채굴, 통나무생산, 감자재배로 유명하다. 광복 전까지 아주 낙후한 방법으로 생산이 진행되었고 따라서 그 생산량도 보잘것 없었다. 광복 후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였으며 채굴업이 기본을 이루었고, 현대적이고 대규모적인 규격을 갖춘 무산광산연합기업소(茂山鑛山聯合企業所)가 건설되어 있다. 광산의 매장량은 수십억 톤 되며 채굴조건도 유리하다. 북한 가장 큰 자철광생산기지로서 노천채굴이 기본을 이루었고 무산군에서 생산되는 철정광은 주로 청진, 김책, 송림 등지의 제철 · 제강소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임산 및 목재가공공업은 채굴업 버금으로 되는 주요 부문으로 되고 있다. 일찍 채벌 및 목재가공공업이 진행되어 온 이 지역에는 마양합판원목생산사업소(馬養合板原木生産事業所), 연상임산사업소(延上林産事業所)와 8개의 임산작업소가 있다. 통나무는 주로 온천리, 박천리, 오봉리, 마양 일대의 산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무산, 마양, 삼봉에는 수십만 m3의 통나무를 가공하는 무산제재공장(茂山製材工場) 등 목재가공공장(木材加工工場)이 있으며 여기에서는 제재와 함께 가구류를 비롯한 수십 종의 목제일용품과 질 좋은 합판을 생산하고 있다.

군에는 또한 띠톱, 임산철도 차륜을 전문 생산하는 한편 임산작업에 필요한 임업기계들과 설비들을 생산하는 무산림업기계공장(茂山林業機械工場)과 농촌경제와 지방산업공장(地方産業工場)들에 소요되는 기계와 설비들을 생산하는 공장들이 있다.

이밖에도 무산군에는 시멘트와 블록을 전문 생산하여 군 자체의 수요를 보장하는 무산건재공장(茂山建材工場)과 식료품, 일용품, 천, 칠감류 등을 생산하는 지방산업공장(地方産業工場)들이 있다. 갖가지 식료품은 무산과 삼봉에서, 버섯과 청량음료는 남산에서, 천 · 옷 · 모피가공품 · 악기류는 무산에서, 초물제품은 온천에서, 질그릇 · 의약품은 삼봉에서 많이 생산된다. 무산군에서는 농산업을 위주로 하면서 농촌경제의 여러 부문을 발전시키고 있다. 농경지는 군 면적의 약 5%, 그 가운데서 밭은 90.5%, 논은 4.6%, 과수밭은 4.7%를 차지한다.

농경지가 많은 지역은 새골리, 독소리, 흥암리, 임강리로서 농경지비율은 10~30%를 차지한다. 풍산리, 문암리, 상창리는 농경지비율이 0.4~0.9%이며 보다 높은 지대인 마양과 온천리에서는 농경지비율이 0.24%에 불과하다. 농경지 면적의 80%는 해발 400~800m 사이에, 18% 정도는 해발 800m 이상 되는 곳에 있으며 해발 400m 못되는 지역에는 2%의 농경지가 있을 뿐이다. 곡물생산에서 첫 자리를 차지하는 옥수수는 군의 전반적 지역에서, 벼는 박천리와 상창리에서 생산된다.

무산군에서는 감자를 많이 재배한다. 감자는 이 지방의 기후풍토에 맞는 작물로서 오래 전부터 재배하던 작물이다. 그 파종면적은 옥수수 다음 자리를 차지하며 그 생산량은 함경북도에서 손꼽힌다. 그리하여 무산군은 함경북도에서 감자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감자를 많이 재배하는 지역은 문암리, 오봉리, 차유리, 민봉리이다. 그 가운데서 오봉리는 감자전문생산기지로 되어 있다. 이밖에도 무산군에서는 콩, 밀, 보리, 기장, 수수 등이 재배된다. 무산군은 함경북도에서 회령시, 온성군, 경원군, 경흥군 다음으로 담배를 많이 생산하는 지역이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담배는 수확고가 높고 질이 좋아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채소에서의 기본은 배추, 무, 양배추, 시금치, 고추, 호박이다. 일조율이 높은 군에서는 마늘, 고추, 토마토, 참외와 같은 열매채소가 잘된다. 그 생산은 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그 재배면적은 얼마 안 된다. 군에는 닭공장, 오리공장, 돼지종축장, 토끼종축장이 있다. 임강리, 상창리, 새골리, 차유리, 민봉리에서는 양과 염소를 많이 사육한다. 군에서는 이 지대의 기후풍토에 맞는 과실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

주요 과실은 백살구, 사과, 배이다. 과수밭 면적은 60%는 새골리, 지초리, 독소리, 무산읍에 있다. 과실생산에서는 백살구가 40%를 차지한다. 주요 산지는 무산읍, 새골리이다. 군 뽕밭면적의 90% 이상을 가지고 있는 무산읍은 군에서 뽕누에를 제일 많이 치는 곳으로 되어 있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688/1114
293) 함경북도 길주군 합포리
294) 함경북도 길주군 홍수리
295) 함경북도 명천군
296) 함경북도 명천군 명천읍
297) 함경북도 명천군 독포노동자구
298) 함경북도 명천군 용암노동자구
299) 함경북도 명천군 고참리
300) 함경북도 명천군 다호리
301) 함경북도 명천군 낙동리
302) 함경북도 명천군 마산리
303) 함경북도 명천군 만호리
304) 함경북도 명천군 보촌리
305) 함경북도 명천군 사리
306) 함경북도 명천군 양정리
307) 함경북도 명천군 연덕리
308) 함경북도 명천군 포중리
309) 함경북도 명천군 포하리
310) 함경북도 명천군 황곡리
311) 함경북도 명천군 황진리
312) 함경북도 무산군
313)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314) 함경북도 무산군 강선노동자구
315) 함경북도 무산군 남산노동자구
316) 함경북도 무산군 마양노동자구
317) 함경북도 무산군 삼봉노동자구
318) 함경북도 무산군 주초노동자구
319) 함경북도 무산군 창렬노동자구
320) 함경북도 무산군 독소리
321) 함경북도 무산군 임강리
322) 함경북도 무산군 문암리
323) 함경북도 무산군 민봉리
324) 함경북도 무산군 박천리
325) 함경북도 무산군 상창리
326) 함경북도 무산군 새골리
327) 함경북도 무산군 서호리
328) 함경북도 무산군 오봉리
329) 함경북도 무산군 온천리
330) 함경북도 무산군 지초리
331) 함경북도 무산군 차유리
332) 함경북도 무산군 칠성리
333) 함경북도 무산군 풍산리
334) 함경북도 무산군 흥암리
335) 함경북도 부령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