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

신설

[ 腎泄 ]

一名晨泄, 一名瀼泄. 每五更溏泄一次, 此腎虛感陰氣而然, 宜五味子散[本事]1). ○ 每日五更初洞泄, 服他藥無效, 此名脾腎泄, 宜二神丸, 四神丸[入門]2). ○ 老人脾腎虛泄, 宜猪藏丸[入門]. ○ 腎虛, 色慾所傷, 多3)足冷, 久則肉削, 五鼓4)臍下絞痛, 或只微響溏泄一次. 宜二神丸, 四神丸, 五味子散[入門]. ○ 腎泄者, 腹痛無定處, 似痢, 骨弱面黧5), 脚下時冷, 尺脈虛弱者是也. 當以破故紙生乾薑肉桂木香當歸主之[直指]6). ○ 脾腎虛晨泄, 宜三神丸, 調中健脾丸, 六神湯, 香薑散, 木香散.

신설(腎泄)은 신설(晨泄) 또는 양설(瀼泄)이라고도 하는데, 오경[새벽 3시 반에서 5시 반]만 되면 묽은 설사를 한차례 한다. 이는 신(腎)이 허한 데 음기(陰氣)가 침입하여 그러한 것으로 을 쓴다(『보제본사방』). ○ 매일 오경 초[새벽 3시 반쯤]만 되면 걷잡을 수 없이 설사를 하여 다른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는 것을 비신설(脾腎泄)이라고 하는데, , 을 쓴다(『의학입문』). ○ 노인이 비(脾)와 신(腎)이 허하여 설사하는 데는 을 쓴다(『의학입문』). ○ 신(腎)이 허한데 지나친 성생활로 [또 신을] 상하게 되면 대개 발이 차고, 오래되면 살이 마르며 오경에 배꼽 아래가 쥐어짜듯이 아프고, 때로 배가 약간 끓으면서 진흙 같은 설사[溏泄]를 한 번씩 한다. 이신환, 사신환, 오미자산을 쓴다(『의학입문』). ○ 신설은 배가 여기저기 아프고 이질 같기도 하며, 뼈가 약해지고 얼굴빛이 거무스름해지고 다리가 때로 시리고 척맥이 허약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생강·건강·육계·목향·당귀가 주치한다(『인재직지』). ○ 비(脾)와 신(腎)이 허하여 새벽에 설사하는 데는 , , , , 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