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설

구설

[ 久泄 ]

厥陰經動, 下痢不止, 其脈沈遲, 手足厥逆, 涕唾膿血, 此證難治. 法曰, 風邪縮於內, 宜散之. 用桂枝麻黃湯 方見寒門 汗之[易老]1). ○ 凡久瀉之由, 多因眞陰虛損, 元氣下陷, 遂成久泄, 若非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四神丸, 滋其本源, 則後必胸痞腹脹, 小便淋澁, 多致不起[回春]2). ○ 久泄是風邪內縮, 宜發其汗. 此證係風邪縮於內, 宜麻黃升麻湯以發之, 散邪於四肢, 布於經絡, 外無其邪, 則藏氣安矣[丹溪]3). ○ 虛滑久不愈, 多傳變爲痢, 宜厚朴枳實湯[保命]4). ○ 久泄不止, 用破故紙肉豆蔲山藥則止[丹心]. ○ 久泄洞泄屬於肝經, 木剋土而成, 亦是腸澼. 澼5)者, 腸中有積水也[子和]6). ○ 久泄, 宜參朮健脾丸, 除濕健脾湯, 溫脾散, 訶子散. ○ 飮食不節, 起居不時, 損其胃氣, 則上升精微之氣反下降, 泄久則太陰傳少陰, 而爲腸澼[東垣]7).

궐음경이 동(動)하여 설사가 그치지 않고, 맥이 침지(沈遲)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콧물과 침에 피고름[膿血]이 섞여나오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법(法)'에서는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은 흩어지게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계지마황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땀을 낸다(『역로』). ○ 오래된 설사[久泄]는 대개 진음(眞陰)이 허약하고 원기(元氣)가 아래로 깔아졌기 때문에 마침내 구설이 된 것이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이나 으로 본래의 근원[本源]을 자양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나중에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팽팽히 불러오며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는데, 그러면 대개 살리지 못한다(『만병회춘』). ○ 구설은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으로, 땀을 내야 한다. 이 증상은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이므로 으로 땀을 내어 팔다리에서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사기를] 경락에서 흩뜨려야 한다. 겉에 사기가 없으면 장기(臟氣)는 편안하게 된다(단계). ○ 허하여서 생긴 활설(滑泄)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대개 이질[痢]로 변하는데, 이럴 때는 을 쓴다(『소문병기기의보명집』). ○ 오랫동안 설사가 그치지 않을 때는 ··산약을 쓰면 그친다(단심). ○ 구설(久泄)과 통설(洞泄)은 간경(肝經)에 원인이 있는데, 목(木)이 토(土)를 억눌러서[剋]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을 장벽(腸澼)이라고도 하는데, '벽(澼)'은 장(腸) 속에 물[水]이 쌓여 있는 것이다(자화). ○ 구설에는 , , , 을 쓴다. ○ 음식을 먹는데 절도가 없고, 생활이 불규칙하여 위기(胃氣)를 손상하게 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로운 기운이 도리어 내려가서 설사를 하게 된다. 설사가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져 장벽이 된다(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