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혈리

농혈리

[ 膿血痢 ]

如煩燥, 或先便膿後見血, 非黃連1)不止, 此上部血也2). ○ 如惡寒脈沈, 或腰痛, 臍下痛, 非黃芩3)不除, 此中部血也4). ○ 如惡寒脈沈, 先見血後便膿, 非地楡不除, 此下部血也[易老]. ○ 膿血稠粘, 裏急後重, 皆屬於火. 內經曰, 溲澁而便膿血, 知氣行而血止也. 盖溲澁而便膿血者, 言病因也. 氣行而血止者, 言治法也. 故曰, 行血則便膿自愈, 調氣則後重自除. 芍藥湯主之[易老]. ○ 溲澁而便膿血, 宜大黃湯下之, 是謂重劑5). 黃芩芍藥湯和之, 是謂輕劑6)[易老]. ○ 膿血稠粘, 皆屬於火7). 夫太陰濕主瀉, 少陰主痢, 是先泄亡津液, 而火就燥. 腎惡燥, 居下焦血分, 其受邪者, 故便膿血. 所謂瀉屬脾, 而痢屬腎也[綱目]8). ○ 熱積紫黑色者, 瘀血也. 腹痛後重異常, 桃仁承氣湯 方見寒門 下之. 要知諸痢, 皆血瘀, 惟黑爲瘀甚耳[入門]9). ○ 膿血痢, 宜桃花湯 方見寒門, 導氣湯, 黃連阿膠湯, 導滯湯, 地楡散, 解毒金花散, 芍藥柏皮丸, 赤石脂丸, 人蔘散.

가슴이 답답하고 뛰면서[煩燥] 대변에 고름[膿]이 먼저 나오고 다음에 피가 나오는 것은 황련이 아니면 그치게 할 수 없는데, 이는 상초에서 나는 피이기 때문이다. ○ 만약 오한(惡寒)이 나면서 맥이 침(沈)하고 때로는 허리와 아랫배가 아픈 것은 황금이 아니면 치료되지 않는데, 이것은 중초에서 나는 피이기 때문이다. ○ 만약 오한이 나고 맥이 침(沈)하면서 먼저 피가 나온 다음에 고름 섞인 대변이 나오는 것은 지유가 아니면 치료되지 않는데, 이것은 하초에서 나는 피이기 때문이다(『역로』). ○ 피고름이 끈적끈적하게 나오고[膿血稠粘] 뱃속이 당기듯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裏急後重]은 모두 화(火)에 속한다. 『내경』에서는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고 대변에 피고름이 나올 때 기를 잘 돌게[行氣] 하면 피가 그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고 대변에 피고름이 나온다'고 한 것은 병의 원인[病因]을 말한 것이고, '기를 잘 돌게 하면 피가 그친다'는 것은 그 치료법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피를 잘 돌게 하면 고름 섞인 대변이 저절로 낫고, 기를 고르게 하면 뒤가 무직한 것이 저절로 없어진다"고 한 것이다. 이 주치한다(『역로』). ○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고 대변에 피고름이 섞여나오는 것은 으로 설사시키는데, 이것을 중제(重劑)라 하고, 으로 고르게[和] 하는데, 이것을 경제(輕劑)라고 한다(『역로』). ○ 피고름이 끈적끈적하게 나오는 것은 모두 화[相火]에 속한다. 대개 태음의 습(濕)은 설사를 주관하고 소음[의 相火]은 이질을 주관하는데, 이 경우[膿血稠粘]는 먼저 설사로 진액(津液)이 부족해졌는데 화(火)가 다시 조(燥)하게 한 것이다. 신(腎)은 조(燥)한 것을 싫어하는데, 하초 혈분(血分)의 부위에서 습사(濕邪)를 받았기 때문에 피고름 섞인 대변이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설사는 비(脾)에 속하고 이질은 신(腎)에 속한다'고 한 것이다(『의학강목』). ○ 열이 쌓여[熱積] 자주색의 검은 대변이 나오는 것은 어혈 때문이다. 배가 아프고 뒤가 무직하여 평소와 다르면 도인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킨다. 여러 이질에는 모두 어혈이 있는데, 오직 대변이 검고 자주색인 것은 어혈이 심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의학입문』). ○ 농혈리에는 도화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 , , , , , , 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