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구리

금구리

[ 噤口痢 ]

痢疾不納飮食者, 俗謂之噤口痢. 如頭疼心煩, 手足溫熱 此乃毒氣上衝心肺, 敗毒散 方見寒門 五錢, 加蓮肉1)一錢陳米百粒薑三棗二, 煎服. 如過飮苦澁凉藥, 以致聞食先嘔, 山藥剉如小豆, 銀石器一半炒, 一半生用, 爲末, 米飮調下卽效[綱目]2). ○ 噤口痢, 胃口熱甚故也. 宜參連湯, 罨臍法. 人不知此, 多用溫熱藥及甘味, 此以火濟火, 以滯益滯也[丹心]3). ○ 下痢, 噤口不食, 亦由脾虛. 宜以參苓白朮散 方見內傷, 去山藥加石菖蒲, 爲末, 粳米飮調下二錢. 或人蔘赤茯苓石蓮子入些菖蒲, 煎服, 胸次一開, 自然思食[直指]4). ○ 凡治痢早用鸎粟殼, 則令毒氣閉塞心絡, 令噤口不食, 宜以御米5)煮稀粥6), 溫啜解之[類聚]7). ○ 噤口痢, 宜倉廩湯, 開噤湯, 石蓮散, 解噤丸, 納臍膏.

이질로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흔히 사람들은 금구리라고 한다. 머리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손발에서 열이 나는 것은 독기(毒氣)가 심폐(心肺)를 치받기 때문이다. 패독산(처방은 「한문」에 있다) 다섯 돈에 연육 한 돈, 묵은쌀 백 알,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더 넣고 달여 먹는다. 또한 맛이 쓰고 떫으면서 서늘한 약을 많이 먹어 음식 냄새만 맡아도 구토를 하는 데는 산약을 작은 콩만 하게 잘라 은이나 돌로 된 그릇에다 반은 볶고, 반은 볶지 않고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으면 바로 낫는다(『의학강목』). ○ 금구리는 위[胃口]에 열(熱)이 심하여서 생긴다. 과 (罨臍法)을 쓴다.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하고 성질이 온열(溫熱)하고 맛이 단 약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것은 불로써 불을 끄려 하고 체하게 하는 것으로 더 체하게 하는 것이다(『단계심법』). ○ 이질로 입을 열지 못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 또한 비허(脾虛)이다. 삼령백출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서 산약을 빼고, 석창포를 넣어 가루를 내서 한 번에 두 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 때로는 인삼·적복령·석련자에 창포를 조금 넣어 달여 먹기도 하는데, 가슴이 차차 트이면서 저절로 밥맛이 생긴다(『인재직지』). ○ 이질에 걸렸을 때 너무 일찍 앵속각을 먹으면 독기가 심포락[心絡]을 막아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는데, 양귀비의 씨[御米]로 멀건 죽을 쑤어 따뜻하게 마시면 풀린다(『의방유취』). ○ 금구리에는 , , , , 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