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천왕

고국천왕

분류 문학 > 국가 > 고구려

기본정보

고구려 제9대 왕
생몰년: ?-197
재위기간: 179-197

일반정보

고구려의 제9대 왕으로 179년부터 197년까지 재위하였다. 신대왕(新大王)의 아들로서 이름은 남무(男武)이며, 국양왕(國襄王) 또는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후한 요동 태수의 침입을 격퇴하였고, 왕후의 친척으로서 전횡하던 연나부의 좌가려(左可慮)와 어비류(於卑留)의 모반을 진압하였다. 또 기존의 귀족출신이 아닌 을파소(乙巴素)를 국상(國相)에 임명하여 국정을 안정시켰다.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해 궁핍한 백성들에 대한 구휼책을 마련함으로써 고리대를 억제하면서 왕권의 지지기반을 확대하였다. 사후에 고국천원(故國川原)에 장사지냈다.

전문정보

고구려의 제9대 왕으로 179년부터 197년까지 재위하였다. 『삼국유사』왕력편에 따르면 20년간 다스렸다고 하여 『삼국사기』와 차이가 있다. 이름은 남무(男武)이며, 국양왕(國襄王) 또는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권16 고구려본기4 고국천왕 즉위년조에 의하면 신대왕(新大王)의 둘째 아들이고, 왕비는 제나부(堤那部: 椽那部로 추정) 우소(于素)의 딸인 우씨(于氏)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삼국지』권30 오환선비동이전 고구려조의 “백고가 죽고,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은 발기이고 작은 아들은 이이모였다 (伯固死 有二子 長子拔起 小子伊夷模)”의 이이모(伊夷模)를 고국천왕에 비정한 것으로, 두찬(杜撰)으로 판단된다. 이이모(伊夷模)는 산상왕(山上王) 연우(延優)에 해당하는 인물이고 고국천왕 남무(男武)가 아니며, 남무(男武)는 신대왕 백고(伯固)의 원자(元子)로서 『삼국지』에 그 이름이 빠진 것으로 파악된다.(이병도, 1996)

고국천왕은 재위6년(184)에 후한 요동 태수의 침입을 격퇴하였고, 13년(191)에는 왕후의 친척으로서 전횡하던 연나부의 좌가려(左可慮)와 어비류(於卑留)의 모반을 진압하였다. 또 기존의 귀족출신이 아닌 을파소(乙巴素)를 국상(國相)에 임명하여 국정을 안정시켰다. 16년(194)에는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해 궁핍한 백성들에 대한 구휼책을 마련함으로써 고리대를 억제하면서 왕권의 지지기반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왕권강화 과정을 통하여 왕위계승방법도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이 시기는 그 과도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국천왕대에 나타나는 단순한 방위명 부(部)의 존재로 미루어 이 때부터 족제적(族制的) 요소보다는 행정적(行政的) 요소가 강한 오부제(五部制)로의 개편이 시작되었으리라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이기백, 1996)

그런데 고국천왕의 실재를 부인하려는 견해도 있다. 『三國志』동이전 고구려조의 “백고가 죽고,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 아들은 발기이고 작은 아들은 이이모였다. 발기가 불초하자 국인이 함께 이이모를 옹립하여 왕으로 삼았다(伯固死 有二子 長子拔起 小子伊夷模 拔起不肖 國人便共立伊夷模爲王)”라는 기록에는 고국천왕에 대한 기록이 없고, 신대왕 백고(伯固)가 죽은 후에 왕위를 계승한 것은 산상왕 이이모(伊夷模)라고 하였으므로 고국천왕은 가공의 인물이라는 주장이다.(池內宏, 1951) 그러나 이 세 명의 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비하면 『삼국지』의 기록은 질적·양적으로 상대가 되지 않으며,(최재석, 1987) 타국사료인 『삼국지』를 표준삼아서 『삼국사기』의 세계를 부정하는 것은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이기백, 1959)

참고문헌

池內宏, 1951, 『滿鮮史硏究』(上世篇), 吉川弘文館.
이병도, 1996, 『譯註三國史記』, 을유문화사.
이기백, 1996, 『韓國古代政治史硏究』, 일조각.
최재석, 1987, 「高句麗의 王位繼承」『정신문화연구』32.

관련원문 및 해석

第九 故國川王 [名男武 或云 夷謨 己未立 理二十年 國川亦曰國壤 乃葬地名]
제9 고국천왕 [이름은 남무인데 또는 이모라고도 한다. 기미에 즉위하여 20년간 다스렸다. 국천은 국양이라고도 하는데 바로 장지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