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

경북 경주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도시 > 항포구

경주는 6·25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아 우리나라 최대의 유물·유적이 보존된 거대한 야외 박물관이다. 많은 청동기 유물들이 경주시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어 신라의 전신이며 경주 6촌에서 성장한 사로국의 생활모습을 짐작케 한다. 57년 6부의 촌장들이 박혁거세를 거서간으로 추대하고 나라이름을 서야벌(徐耶伐)이라 했다. 65년(탈해왕 9)에는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고치고, 307년(또는 503년이라고도 함)에 국호를 신라라 칭했다. 935년 경순왕이 왕건에 항복하자 경주로 개칭하여 경순왕의 식읍으로 주었으며, 경순왕을 경주의 사심관으로 삼았다. 940년 대도독부로 승격했다가 987년 동경(東京)으로 이름을 바꾸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했다. 1012년 경주방어사로 강등되었으며, 1015년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개칭했다가 1031년 동경으로 환원했다. 이때 흥해(興海)·장산(章山)·수성(壽城)·영주(永州) 등의 속군과 안강(安康)·신녕(新寧)·자인(慈仁)·하양(河陽)·청하(淸河)·연일(延日)·해안(解顔)·신광(神光)·기계(杞溪)·장기(張?) 등의 속현이 있었다. 1202년 경주야별초의 반란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 계림부윤으로 바꾸었다가 1413년 경주로 정해졌다.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했다. 1637년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독립했다. 1895년 지방관제 개편으로 군으로 바뀌어 대구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북도에 속했다. 1931년 경주면이 읍으로 승격했고,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했으며,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89년에는 다시 월성군이 경주군으로 개칭되었다.

사진

경주 감포 감은사지의 금당석재유구

경주 감포 감은사지의 금당석재유구 금당의 바닥구조가 H자형의 받침석과 보를 돌다리처럼 만들고 그위에 직사각형의 석재유구(石材遺構)를 동서방향으로 깔아 마치 우물마루 모양으로 보인다.

경주 감포 감은사지 석탑(서탑)

경주 감포 감은사지 석탑(서탑) 우뚝 솟은 두 삼층석탑은 만들어진 연대가 확실한 통일신라 초기의 석탑으로서 수십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만들어 조립식으로 세운 것으로 전체 높이 13.4m에 이르는 신라 삼층석탑 중 최대의 것이다.

경주 감포 감은사지 석탑(동탑)

경주 감포 감은사지 석탑(동탑) 우뚝 솟은 두 삼층석탑은 만들어진 연대가 확실한 통일신라 초기의 석탑으로서 수십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만들어 조립식으로 세운 것으로 전체 높이 13.4m에 이르는 신라 삼층석탑 중 최대의 것이다.

경주 감포 감은사지 석탑

경주 감포 감은사지 석탑 우뚝 솟은 두 삼층석탑은 만들어진 연대가 확실한 통일신라 초기의 석탑으로서 수십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만들어 조립식으로 세운 것으로 전체 높이 13.4m에 이르는 신라 삼층석탑 중 최대의 것이다.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당리의 감은사터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통일신라 시대 탑으로서 국보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당리의 감은사터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통일신라 시대 탑으로서 국보

경주 감은사지

경주 감은사지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당리에 있으며 사적으로서 삼국의 통일 직후 문무왕이 짓기 시작하여 아들인 신문왕이 완공한 감은사가 위치했던 자리

경주 감은사 탑

경주 감은사 탑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용당리의 감은사터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두 개의 통일신라 시대 탑으로서 국보

연관목차

2046/2347
항포구
경북 경주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