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산 유적

궁산 유적

[ 溫泉 弓山 遺蹟 ]

지역 온천
뿔괭이

뿔괭이

평안남도 온천군 운하리 궁산마을에 있는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으로, 유적은 해안가를 따라 ‘소궁산’이라고 불리는 표고 20m 정도의 자그마한 구릉 경사면에 있다. 보고자들은 예전에 이곳에 배가 드나들었다는 점과 궁산 부근 지형의 변동을 고려하여 신석기시대의 궁산은 섬이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유적의 남쪽 2㎞ 지점에는 광복 이전에 鳥居龍藏에 의해 조사·보고된 용반리(龍磻里) 조개더미가 있고 그밖에도 유적 근처에 조개더미들이 많아 신석기시대 당시에 섬 혹은 해안 가까이에 궁산을 중심으로 무수히 많은 조개더미들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궁산 유적은 1950년에 북한의 조선물질문화유물조사보존위원회 고고학부에서 발굴하였는데 발굴 총면적은 약 150㎡이며 움집 5기와 6개의 구덩을 찾았다. 유적은 경사면을 이루는 곳이 2단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 남아있는 것은 상단 경사면 일대로서 이곳에는 부식토층 아래에 30㎝ 정도의 조가비층이 있고 그 사이에 60-70㎝ 정도의 움집과 구덩이들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유적의 동쪽 골짜기 부근에 두께 70-100㎝ 정도 되는 조가비층이 나타나고 있다.

집자리는 대개 지름 5m 전후의 원형이며 움의 깊이는 0.7-1m가 넘는 깊은 것도 있다. 바닥은 찰흙으로 다졌고 바닥 주변에 기둥구멍(柱孔)이 배열되어 있다. 화덕 곁에서는 밑창을 떼어내고 거꾸로 박아놓은 큰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이 속에는 대개 녹색의 굳은 찰흙 속에 조개껍질이나 고기뼈 등 유기물이 썩어버린 것이 단단히 굳어 있어 저장을 위한 움이었을 것으로 보고있다. 그러나 1호 집자리에서 보듯이 내부가 재로 가득차 화덕으로 사용된 토기도 있다. 집자리 내부에서 무수히 발견되는 깊이 5㎝미만의 얕은 구멍들은 장란형(長卵形)의 토기를 세워놓기 위해 판 것으로 보고있다. 궁산의 집들을 복원하면 대체로 원추형의 고깔지붕을 가졌다고 한다.

출토유물은 다양하여 석기, 뼈도구, 토기, 장식품, 자연유물 등이 고루 나오고 있다. 석기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이 40여 점의 판암제 간활촉(磨製石鏃)이다. 화살촉은 뿌리 있는 것과 뿌리 없는 것, 버들잎 모양의 3종류가 있는데 사냥하는 짐승감이 다른데 따라 각각 다른 화살을 선택해서 썼을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버들잎 화살촉을 확대한 모양의 판암제 창끝 10여 점도 모두 간 것이다. 폭 1㎝ 미만에 길이 7-8㎝ 정도 되는 매우 좁고 긴 화살촉은 찔개살로 분류되었다. 부러진 형태로 보아 10㎝가 넘는 것도 있다. 이들은 30여 점이며 물고기잡이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물추는 지름 7㎝에 두께 2-3㎝가 표준인데 화강암, 사암, 규암 등의 자갈돌을 이용하여 양면 혹은 좌우상하의 4면을 쪼아만든 것이다. 이른바 안장형의 갈돌은 모두 화강암 재질로서 30여 점이나 출토되었다. 도끼는 대부분 날 쪽만 갈고 머리 부분은 떼어내어 만든 반마제(半磨製)이다. 단단한 섬록암질로 만들었으며 이른바 사릉부(四릉斧)가 위주이나 단면이 렌즈모양인 편평도끼도 있으며 모두 조갯날이다. 전체를 갈아 만든 화강암질의 얇은 대패날이 2점, 판암으로 갈아 만든 끌 1점이 있다. 그밖에 간석기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사암의 크고 작은 숫돌찰절구(擦切具), 짤라놓은 판암편 등이 있다. 3호 집터에서는 같은 규격으로 끊어놓은 화살촉 반제품이 22점이나 출토되었다. 이들은 간석기를 만드는 과정과 살림준비과정을 알려주는 좋은 자료들이다.

뼈도구로는 송곳이 가장 많아 110여 점이 나왔다. 이들은 대개 짐승의 사지골을 쪼개어 끝을 갈아 날카롭고 뾰족하게 한 것인데 이러한 것들은 조개더미에서 잘 출토되는 것으로서 짐승의 해체나 조리를 도와주는 ‘찌르개’로 알려져 있다. ‘예새’로 분류된 것도 약 70여 점 나왔는데 찌르개보다 끝이 다소 둔하여 조개따기나 토기 다듬는 데, 또는 토기에 무늬를 베푸는 데 쓰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사슴뿔로 만든 뿔괭이가 많은 것도 궁산 유적의 한 특징이다. 여기에 쓰인 사슴은 북경반록(Cervus mandarinus Milne-Edwards)이며 땅을 뒤지는 도구라고 보았다. 산돼지의 송곳니로 만든 낫, 작은 짐승의 송곳니로 만든 작은 칼, 베실이 꿰여 있는 뼈바늘, 너비가 있어 바구니나 삿자리를 수선하는 데 쓰인 것으로 볼 수 있는 삿바늘 등도 나왔다. 토기에 무늬를 베푸는 무늬돋치개(施文具)가 있는데 이 가운데는 가오리 꼬리뼈도 있다. 이러한 무늬돋치개는 자연유물을 그대로 이용한 예인데, 상노대도 유적에서도 같은 것이 나온바 있다. 석기 반제품과 마찬가지로 짐승뼈도 미리 잘라놓은 것들이 있다.

토기는 6.25 전쟁을 치른 후 거의 조각 상태로만 남아 있으나 전체 모양은 짐작할 수 있다. 토기밑으로는 아주 뾰족한 것과 둥근 것, 그리고 밑이 넙적한 것 3가지가 나온다. 무늬토기의 바탕흙에는 활석이나 석면을 많이 섞었지만 무늬 없는 토기는 대개 찰흙에 모래만 섞어 빚었다. 토기의 무늬는 입술 가까이에 몇 줄의 찍은 무늬를 돌린 다음 그 아래에 이른바 종주어골문(縱走魚骨文)을 새긴 것이 주류를 이루나 ‘W’자 연결문, 몇 줄의 찍은 무늬가 곡선을 이루며 교차되어 타래무늬의 모티프를 갖고 있는 것 등 특징적인 것도 나온다. 그밖에 흙으로 만든 가락바퀴(紡錘車), 흙구슬, 토기조각을 가공한 것 등이 있다.

장식품으로는 회색 옥돌로 만든 대롱구슬(管玉), 새뼈로 만든 뼈구슬, 감람색 옥석류로 만든 옥도끼, 조가비를 갈다 만 미완성품 등이 있다.

자연유물도 많이 출토되었는데 물소, 사슴, 영양, 노루, 복작노루(고라니), 멧돼지, 개, 삵, 새 등이 확인되었다. 물소나 복작노루 등은 신석기시대가 지금보다 따뜻했다는 증거로 자주 인용된다. 물고기로는 복어류(Spheroides rubripes), 숭어(梭魚), 대구 및 경골어류(硬骨魚類, Teleostei) 등이, 조개에는 백합, 굴, 섭, 동족조개, 골뱅이, 성게치 등이 확인되었다.

궁산 유적의 연대는 처음에 B.C. 2000-1500년 사이로 보았다. 하지만 1950-1960년대 동안에 이룩한 각 유적의 발굴성과와 유물군(assemblage) 비교를 통한 상대연대 추정에 의해 B.C. 4000년으로 편년하였으며, 1990년대에 들어와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을 전면적으로 재편하면서 신석기시대 전기(B.C. 6000-5000년기)로 편년하였다. 이러한 시기구분의 타당성에 대한 앞으로의 논의가 필요하며, 토기의 무늬에서 보듯이 유적 내에서도 약간의 시기 차는 있을 것으로 보이나 아쉽게도 6.25전쟁으로 인해 대부분의 자료가 소실되었기 때문에 궁산 유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궁산 유적 발굴의 의의는 이 유적이 발굴됨으로서 비슷한 문화상을 갖고 있는 평안남도·황해도·경기도 일원을 포함하는 한국 서해안의 빗살무늬토기 문화권을 설정할 수 있게된 점, 다양한 종류의 유물이 출토되어 사냥, 물고기잡이, 채집, 농사짓기, 여가활동(바느질·바구니짜기·예술활동) 등 신석기시대의 생산활동과 살림살이를 알 수 있게 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중요한 점은 이곳에서 나타나는 농사와 목축의 증거이다. 여기서는 뿔괭이, 돌괭이, 뒤지개, 낫, 갈돌 등이 출토되어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농사를 짓기 시작했다는 주장의 근거를 제공하며, 개(Canis familiaris)뼈가 나타나므로 집 짐승기르기가 이루어졌음도 알려준다.

참고문헌

  • 궁산 원시유적 발굴보고(도유호·황기덕, 유적발굴보고 2, 과학원출판사, 195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