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르개

찌르개

[ harpoon ]

찌르개는 자돌구(刺突具)의 일종이다. 물고기를 찔러서 잡는 도구로 유럽에서는 후기 구석기시대부터 등장하는데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에 등장한다. 종래에는 찌르개도 작살의 일종으로 다루어져 왔으나 그 기능에 있어 작살과 엄연히 차이가 있으므로 구별되어야 한다. 즉 작살은 포획물에 명중되었을 때 미늘이 있으므로 빠지지 않아 로프를 가지고 승부할 수 있어 깊은 바다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찌르개는 미늘이 없으므로 사람의 손이 미늘의 역할을 대신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수심이 얕은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찌르개는 그물추와 함께 내만성 어업을 구성하는 중요한 어구이다. 즉 내륙지방에서 붕어, 잉어 등의 담수포획용으로, 해안지방에서는 감성돔, 숭어, 농어 등의 물고기를 잡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런 기능을 갖는 찌르개는 첨두, 병으로 성립되는데 병은 잔존하지 않고 첨두만이 남아있다.

찌르개는 재질에 따라 골각제, 석제, 철제로 구분할 수 있다. 골각제는 골화살촉과 구분하기 위해 경부(莖部)의 길이가 10㎝ 이상이 되어야 인정된다. 석제 찌르개는 간돌화살촉과 달리 역자(逆刺)가 없고, 길이 8㎝ 이상이 되어야 한다. 철제 찌르개는 신부가 길며 선단에는 역자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경우에 따라 무기로 전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웅천 조개무지에서 출토된 것은 긴 신부의 선단에 좌우대칭의 역자를 가지고 있다. 또 복천동 10호분에서 출토된 것은 세 가닥으로 나뉘어져 각각 선단의 한쪽에 역자를 가지고 있다.

골각제는 지리적으로 동북지방에서 서포항 조개무지에서만 나오며 남해안지방에서는 동부지역에서 서부지역까지 분포되어 있다. 시기적으로는 동북지방이 신석기시대 전기에서 후기까지 미치지만 남해안지방에서는 신석기시대 출토품은 보이지 않고 철기시대 4개소에서 나타난다. 신석기시대의 찌르개는 작살과 중복되어 나타나지만 철기시대에는 작살보다 분포역이 확대되었다. 철기시대가 되면 남해안지방의 전 지역에서 골각제 찌르개가 다시 나타나서 이것이 철제로 전환되는 것이다.

석제는 지리적으로 동북지방과 서북지방에서 보이고 시기적으로는 신석기시대에 나타나서 신석기시대 후기에는 중부 내륙지방에까지 파급된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동북 내륙지방에서도 보인다. 철제는 지리적으로 남해안 동부지역의 고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시기적으로는 철기시대와 삼국시대의 것이다.

찌르개 본문 이미지 1

참고문헌

  • 한반도의 원시·고대어업(김건수, 한국상고사학보 11, 한국상고사학회, 1995년)
  • 신석기시대 어구의 형식분류와 편년연구(장명수,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