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살

작살

[ harpoon ]

작살은 물고기와 바다짐승(海獸)을 찔러서 잡는 자돌구(刺突具)의 일종으로, 유럽에서는 후기 구석기시대부터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출현한다. 작살의 재질은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일관되게 사슴뿔을 사용하고, 삼국시대에는 철로 만들어진다. 작살은 형태와 기능에 따라 회전식리두섬(回轉式籬頭섬)과 고정식섬(固定式섬)으로 나누어진다. 회전식리두섬은 기본적으로 섬두(銛頭), 중병(中柄), 병(柄), 색승(索繩), 부대(浮袋)로 이루어지는데 중병과 부대는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회전식은 섬이 포획물에 명중하였을 때 섬두가 병에서 떨어져나가고 섬두에 연결된 로프로 포획물을 손에 넣는다.

한편 고정식섬은 섬두, 병, 색승으로 이루어진다. 고정식은 섬이 포획물에 명중되어도 섬이 병에 붙어있고 병에 연결된 로프로 포획물을 손에 넣게 된다. 이들 가운데 병, 색승은 유물로 거의 잔존하지 않으므로 고고학적으로는 섬두, 중병의 존재가 주목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중병이 출토된 바 없다. 작살은 포획물에 명중되었을 때 미늘이 있으므로 포획물에서 작살이 빠지지 않아 로프를 가지고 승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깊은 바다에서 대형 어류나 해수류를 대상으로 하는 어구이다.

작살은 시기적으로는 신석기시대 전기부터 삼국시대까지 존재하고, 지리적으로는 동북지방과 남해안의 동부지역에 집중된다. 회전식리두섬은 동북지방의 서포항·농포동 조개더미와 남해안지방의 동삼동 조개더미에서 출토된다. 이들은 모두 신석기시대에 속한다. 청동기시대에는 동북지방의 나진만에서는 계속 사용되나 남해안에서는 소멸된다. 철기시대에는 남해안 동부지역에 다시 출현한다. 그리고 뿔에서 철로 재질의 변화도 일어나 삼국시대까지 지속된다.

작살이 이처럼 동북지방과 남해안지방 동부지역에 집중되는 이유는 작살의 주된 대상이었던 해수류의 생태와 깊은 관련이 있다. 즉 물개, 강치, 바다사자 등과 같은 해수류는 리만해류를 타고 이동하는데 이 해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역이 위의 동북지방과 남해안 동부지역인 것이다. 이는 회전식리두섬과 고정식섬 등이 출토되는 유적에서는 지리와 시기에 관계없이 물개, 바다사자, 강치 등의 바다짐승뼈가 출토되는 것으로도 증명된다.

작살 본문 이미지 1

참고문헌

  • 한반도의 원시·고대어업(김건수, 한국상고사학보 11, 한국상고사학회, 1995년)
  • 신석기시대 어구의 형식분류와 편년연구(장명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년

동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