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야 유적

금야 유적

[ 金野郡 金野 遺蹟 ]

지역 금야

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영흥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1964년에 발굴하였다. 유적은 용흥강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며, 층위를 보면 1m 정도의 모래층 아래에 15-20㎝ 두께의 문화층이 있고 그 밑으로 흰모래의 원토층이 있다.

비파형동모 거푸집. 길이9.3cm

비파형동모 거푸집. 길이9.3cm

동종방울 거푸집

동종방울 거푸집

3곳을 발굴하여 집자리(住居址) 1기가 조사되었고 지표조사에서 청동주머니도끼(銅斧), 비파형동투겁창(琵琶形銅矛), 동종방울(銅鐸)을 부어낸 청동기 거푸집(鎔范) 3점 수습되었다. 집자리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갈색 민그릇으로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와 젖꼭지 손잡이가 달린 것, 검은간그릇(黑陶) 그리고 미송리형토기(美松里形土器)가 있다.

불에 탄 집자리에서는 서까래로 썼던 통나무와 벽체를 만들었던 널빤지 흔적도 확인되었다. 9호 집자리 바닥에는 회색 진흙이 군데군데 깔려 있어 지붕에 진흙을 얹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화덕자리(爐址)는 2·10호에서만 발견되었으며 10호 집자리에서는 바닥에 깔았던 삿자리가 불에 탄 채 남아 있기도 하였다. 바닥을 다지거나 불다짐 처리를 한 흔적은 관찰되지 않았다. 건축 재료와 집자리 구조로 보면 집짓기 기술이 상당히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로는 반달돌칼(半月形石刀), 돌화살촉(石鏃), 그물추(漁網錘), 창, 대패날, 돌도끼(石斧), 숫돌(砥石), 가락바퀴(紡錘車), 홈자귀(有溝手斧)가 있다. 유물로 판단하건데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며, 비파형동투겁창(琵琶形銅矛), 미송리형토기(美松里型土器) 등은 서북지방 문화요소로서 동해안지방에서는 이곳에서 처음 나온 것이다. 유물로 봐서 북청 중리(中里), 토성리(土城里) 등 함경남도 동해안지방 유적과 공통의 특징이 있으며, 토기류는 강계 공귀리(公貴里) 유적이나 의주 미송리(美松里) 윗문화층과 매우 유사하다.

참고문헌

  • 영흥읍 유적에 관한 보고(서국태, 고고민속 2, 196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