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조사

지표조사

[ 地表調査 ]

지상에 나타나는 고고학적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이다. 지표조사는 지표에서 발견되는 고고학적 정보를 통해 지하에 있는 유적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세밀한 지표조사를 통해 유적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즉 지표에서 발견되는 유물을 통해 그 유적이 어떤 시대에 속하고 어떤 성격의 유적인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지표조사를 통해 그 유적의 입지조건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유적의 밀집도나 분포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다.

지표조사의 방법은 대상지역을 발로 걸어서 조사하게 되나 지역이 넓은 경우 차량이나 말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는 막연히 유적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문헌조사를 통해 대상지역의 정보를 충분히 알고 조사하여야 한다. 또한 미국 고고학의 경우 넓은 지역을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지표조사에 확률적 표본조사법을 채택하기도 한다. 지표조사에는 기본적인 도구가 필요하다. 즉 카메라, 나침반, 자, 핸드레벨, 지도, 기록용 수첩, 유물수습용 봉투, 동양연표(東洋年表) 등이 있다. 그리고 지표조사도 발굴과 같이 새로운 유적이 발견되면 조사결과를 정리하여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외국의 경우에는 국가기관이 직접 정밀한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유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아직 이러한 지표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체 각 박물관에서 간헐적인 조사가 고작이어서 유적의 효과적인 관리가 어렵다.

지표조사에도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방법이 있다. 먼저 영국의 에잇킨슨(Aitkinson)이 발견한 전자기탐사법(電磁氣探査法)은 지표에서 전자파를 발사하여 지하의 구조를 찾아내는 방법인데 지하에 있는 석조물 등의 유구를 발굴 전에 미리 알 수 있다. 다음은 영국의 크로포드(Clawford)가 고안한 항공사진판독법(航空寫眞判讀法)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유적을 찾는 방법인데 평면에서 찾을 수 없는 도로, 농경지, 거대한 고분 등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항공사진은 비교적 넓은 유적을 발굴할 경우에 발굴 전과 발굴 후의 전경을 촬영하는 데도 이용된다.

참고문헌

  • Archaeology(C.Renfrew and P.Bahn, Thames and Hudson, 1991년)
  • 고고학개론(이선복, 이론과 실천, 1988년)
  • 교양으로서의 고고학(임효재·이종선 편, 197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