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소

퉁소

[ 洞簫 , Tungso ]

요약 퉁소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의 일종으로 고려시대 이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사랑받던 악기이다. 과거 궁중에서 사용되던 퉁소는 오늘날 사용되지 않고, 이를 개량하여 만든 퉁소만이 남아 시나위, 산조 등의 민속음악이나 북청사자놀음의 반주에 사용되고 있다. 중국의 소(簫)나 일본의 샤쿠하치(尺八)와 유사하다.
퉁소

퉁소

분류 관악기 > 유율관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공기울림악기(Aerophone, 氣鳴樂器)
팔음 분류 죽부(竹部)
음악 계통에 따른 분류 당부(堂部)
최초 사용 시기 한국의 경우 고려시대 이전
주요 사용 지역 한국과 한국음악 진출 지역
주요 사용 명칭 동소(洞簫), 퉁애, 통소, 퉁수, 퉁쇠 (이상 한국어)

1. 퉁소

퉁소의 형태

퉁소의 형태 <출처 : ©악기백과>

퉁소(洞簫)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이다. 퉁소의 기원에 관해서는 많은 추측이 있지만 중국 한나라 때 강족(羌族)의 악기를 개량하여 그 형태를 완성하였다. 옛 사람들은 입으로 부는 악기를 퉁소로 통칭하기도 하였다고 하니 퉁소는 널리 사랑받는 악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기록에서는 고려시대의 음악을 기록한 『고려사』 악지 부분에 퉁소가 처음 등장한다. 따라서 퉁소는 삼국시대 이전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고려시대부터 궁중과 민간 모두에서 활발하게 연주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퉁소는 한자로 ‘통소(洞簫)’라고 쓴다. 조선 성종대의 악서인 『악학궤범』에 의하면, ‘통(洞)은 통(通)이니, 밑이 없고 위아래가 통(通)하는 까닭에 통소(洞簫)’라고 한다. 관의 한쪽을 밀랍으로 막은 배소(排簫)나 봉소(鳳簫)와는 달리 위아래가 뚫려 있는 형태에서 악기의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관악기는 오늘날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중국의 샤오(萧), 일본의 샤쿠하치(尺八) 등 유사한 악기가 다수 존재한다.

퉁소는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는 거의 연주하지 않는 악기가 되었다. 특히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퉁소는 현재 연주되지 않으며, 민간에서 연주되었던 개량된 형태의 악기만이 ‘퉁애’라는 이름으로 남아 시나위, 산조 등의 민속음악과 북청사자놀음의 반주에 활용되고 있다.

2. 여러 가지 퉁소

퉁소는 과거 궁중과 민간에서 모두 활발하게 연주되었던 악기이다. 궁중에서는 당악과 향당교주 연주에 사용되며 무용이나 잔치에서 반주를 담당하였다. 또 조선 후기 양반들의 풍류방에서 퉁소는 다른 악기들과 함께 <영산회상>과 같은 기악곡을 연주하거나, 가곡을 반주하기도 했다. 퉁소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하였는데, 특히 민간에서 연주하던 퉁소는 궁중의 퉁소를 개량하여 만들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궁중에서의 퉁소 연주 전통은 사라지게 되었다. 민간에서 연주되던 여러 형태의 퉁소는 민속악을 연주하는 ‘퉁애’와 북청사자놀음을 반주하는 퉁소의 두 형태만 남아 전승되었다. 악기의 크기와 명칭이 달라서 퉁소와 퉁애가 다른 악기일지 의문이 생기기도 하지만, 지역과 음악 성격에 따라 분화되었을뿐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아, 하나의 악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1) 민속악에 사용되는 퉁소(퉁애)

퉁소(퉁애)의 형태
퉁소(퉁애)의 형태

퉁소(퉁애)의 형태
<출처 : ©악기백과>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퉁소는 시나위와 산조 등의 민속음악을 활발하게 연주하였다. 퉁소는 다수의 개량 과정을 거치며 연주자와 지역에 따라 지공의 수나 관대의 길이 등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민속음악을 연주하는 퉁소는 관대의 길이가 50cm 내외로, 취구와 청공이 있고 앞면에 4개, 뒷면에 1개의 지공이 있는 형태이다. 주로 지공 아래에 관대의 음높이를 조절하는 칠성공을 뚫는다.

퉁소는 다른 악기에 비하여 전승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근대의 명인들이 연주한 시나위나 산조 등이 일부 음반자료로 남아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재는 시나위와 산조, <봉장취> 등의 악곡을 연주한다. 특히 함경도지방의 시나위인 ‘신아우’는 이북5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퉁소신아우보존회의 퉁소 연주 모습

퉁소신아우보존회의 퉁소 연주 모습 <출처 : ©동선본의 퉁소이야기>

2) 북청사자놀음에 사용되는 퉁소

북청사자놀음에 사용되는 퉁소
북청사자놀음에 사용되는 퉁소

북청사자놀음에 사용되는 퉁소
<출처: ©악기백과>

은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정월 대보름에 사자탈을 쓰고 놀던 민속놀이의 일종이다. 퉁소, 북, 징, 장구 등의 악기로 연주하는데, 다른 지역의 탈춤에 비해 퉁소가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북청사자놀음에서 퉁소는 북 반주에 맞추어 <애원성>, <연풍대>, <사당>, <검무>, <넑두리>, <파련>, <산염불>, <영산> 등 공연 전반에 걸쳐 음악을 연주한다. 대부분의 곡은 기존의 민요 등을 활용한 가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락이 짧고 반복되며 그 음역도 넓지 않아 단순한 느낌을 준다.

북청사자놀음의 반주에 사용되는 퉁소는 민속음악을 연주하는 퉁소와 유사하지만 그 길이가 더 길고 굵기도 조금 더 굵다. 관대의 길이는 70cm 정도로 연주자가 앉아서 연주할 때에 악기의 끝이 바닥에 닿을 정도이다. 악기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요성을 할 때는 고개를 좌우로 흔드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퉁소는 모든 지공을 막고 내는 전폐음이 A3(라)로 조율되어 있어, B3(시)로 되어 있는 퉁애보다 낮은 음역을 표현한다. 청공을 통해 내는 독특한 음색이 특징이며 <애원성>, <돈돌라리>와 같은 함경도의 민요를 연주한다.

북청사자놀음의 연행형태

북청사자놀음의 연행형태 <출처 : (사)국가무형문화재 북청사자놀음보존회@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

3) 개량 퉁소

개량퉁소

개량퉁소 <출처 : ©악기백과>

현대 퉁소의 재조명과 함께 퉁소의 제작 및 개량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전폐음이 B3(시)로 되어 있는 퉁애나 A로 되어 있는 북청사자놀음을 연주하는 퉁소와는 달리, 개량퉁소는 전폐음이 C4(도), C4(도), D4(레), E4(미) 등 다양하다. 또한 평균율을 기반으로 반음을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의 창작음악을 연주하기에 용이하다. 개량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서양악기의 키 장치와 부속을 추가하여 지공을 변형하는 경우나 관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음, 중음, 저음 퉁소를 제작하기도 한다.

다양한 형태의 개량 퉁소

다양한 형태의 개량 퉁소 음높이에 따라 크기가 다름
<출처 : ©동선본의 퉁소이야기>

3. 퉁소 관련 악기

1) 중국의 소(萧)

소(簫)는 중국에서 세로로 부는 형태의 관악기를 의미한다. ‘종취관악기’(縱吹管樂器), 즉 세로로 부는 형태의 관악기는 고대 유물에서도 발견될 정도로 오래된 역사를 가진 악기이다. 중국 한나라(B.C. 202∼A.D. 220) 시대의 것으로 밝혀진 유물 중에서도 세로로 부는 관악기를 불고 있는 인물의 도상이 있어 소의 기원이 고대에서부터 시작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시추안 지역에서 발견된 관악기를 부는 연주자의 도상

시추안 지역에서 발견된 관악기를 부는 연주자의 도상 <출처 : (CC BY-SA) Prof. Gary Lee Todd@Wikimedia Commons>

중국의 소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한국의 퉁소와 같은 한자를 쓰는 동샤오(洞萧)라는 악기가 퉁소와 깊은 연관이 있다. 대나무나 단단한 나무로 만들고, 원통형의 긴 관에 앞면에 5개, 뒷면에 1개의 지공을 뚫어 연주한다. 우리나라의 퉁소와 그 형태가 매우 유사하지만, 취구의 모양과 청공의 유무가 다르다.

소의 재료인 대나무는 중국에서 군주를 상징하며, 궁중과 민간을 포함하여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 오늘날에도 소는 독주 혹은 중주로 연주하며, 지공의 수를 개량하는 등 활발하게 연주되고 있다.

동샤오의 여러 형태

동샤오의 여러 형태 <출처 : (CC BY-SA) Xiao Li@Wikimedia Commons>

2) 일본의 샤쿠하치(尺八)

샤쿠하치는 일본에서 애용되는 관악기로, 한자로는 尺八, 즉 1척 8촌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는 악기의 길이를 지칭하는 것으로 실제로도 샤쿠하치는 약 50cm 내외의 길이로 되어 있다.

샤쿠하치의 전신격인 척팔은 중국 당나라의 관악기가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유입된 악기이다. 일본의 보물 헌납 기록을 담은 『동대사헌물장』에 백제의 의자왕이 일본에 척팔을 준 기록이 있으며 척팔은 고려 비단에 싸여 보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일본학계에서는 척팔과 백제의 연관성을 부정하는 글을 계속하여 발표해오고 있다.

샤쿠하치는 원래 일본 선종 불교 중 보화종(普化宗)의 승려가 시주를 나갈 때 불던 악기였다고 한다. 갓을 써서 얼굴을 가리고 연주하였다. 퉁소는 대나무 안쪽을 둥글게 도려내어 취구를 만드는 반면, 척팔은 대나무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잘라내어 취구를 만든다. 이러한 방법은 척팔 고유의 독특한 음색을 만든다. 척팔은 반규법을 활발하게 사용하여 다양한 음높이를 연주하며 고개를 흔들어 요성, 흘려주기, 올려주기 등의 주법을 활용한다.

오늘날 샤쿠하치는 명상음악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추정되는 일본의 샤쿠하치 연주자가 3만 명 정도로 알려져 있을 만큼 활발하게 연주되고 있다. 긴코류(琴古流), 도잔류(都山流) 등 여러 유파로 나뉘어 연주방식과 계통을 달리하고 있다.

샤쿠하치를 연주하는 모습

샤쿠하치를 연주하는 모습 <출처 : (CC BY-SA) Thorsten Krienke@Wikimedia Commons>

참고문헌

  •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7.
  • 이진원. “백제 척팔을 통해 본 백제악에 대한 재검토.” 『한국음악사학보』 41(2008): 107-130.
  • 이진원. “종취관악기의 전통적 주법 연구 – 퉁소와 단소를 중심으로.” 『국악교육』 15(1997): 155-182.
  •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평화문제연구소, 2006.

연관목차

391/1344
퉁소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