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바순의 레퍼토리

콘트라바순의 레퍼토리

요약 18세기부터 작곡가들은 베이스 성부를 강화하기 위해 콘트라바순(Contrabassoon)을 사용했고, 악기 특유의 어두운 음색을 이용하여 장엄하고 긴장감 넘치는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1870년대 후반, 독일의 헤켈사에서 혁신적으로 개량된 콘트라바순을 선보이면서 보다 많은 작곡가들이 작품 속에 콘트라바순 성부를 편성했고, 20세기에 이르러는 베이스 성부를 연주하는 역할 이외, 독주 악기와 실내악 악기로도 사용하고 있다.
콘트라바순 연주자

콘트라바순 연주자

1. 바로크 시대

바로크 시대 작곡가들은 주로 교회음악을 연주할 때, 베이스 성부를 강화하기 위해 콘트라바순을 사용했다. 당시, 세 종류의 콘트라바순, 즉 최저음이 G1(솔)음인 콰르트파곳(Quartfagott)과 F1(파)음인 퀸트파곳(Quintfagott)과 C1(도)음인 콘트라파곳(Contrafagott)이 존재했고, 이 때 콰르트파곳과 퀸트파곳은 세미 콘트라바순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콘트라바순을 편성한 작품으로는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의 교회 칸타타,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교회 칸타타와 <요한 수난곡>(St John Passion), 헨델(George Frideric Handel, 1685~1759)의 오라토리오 <명랑한 사람, 우울한 사람, 온화한 사람>(L’Allegro, il Penseroso ed il Moderato, HWV55)과 오케스트라 작품인 <왕궁의 불꽃놀이>(Music for the Royal Fireworks) 등이 있다.

헨델의 <왕궁의 불꽃놀이> 중 서곡, 마디 1~6

헨델의 <왕궁의 불꽃놀이> 중 서곡, 마디 1~6

2. 고전주의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콘트라바순이 개량되고 실력 있는 연주자들이 등장하면서, 콘트라바순은 이전보다 빈번하게 오케스트라에 편성되었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프리메이슨 장송음악>(Masonic Funeral Music, 1785)에서 콘트라바순의 어두운 음색을 이용하여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 곡은 오보에 두 대, 클라리넷, 바세트 호른 세 대, 콘트라바순, 호른 두 대로 편성되며, 콘트라바순은 바세트 호른 3의 선율을 중복 연주한다.

모차르트의 <프리메이슨 장송음악> 중 마디 1~9

모차르트의 <프리메이슨 장송음악> 중 마디 1~9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의 <십자가상의 칠언>(The Seven Last Words, 1786)과 <천지창조>(The Creation, 1798), <사계>(The Seasons, 1800) 등 세 개의 오라토리오에서, 그리고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교향곡 5번>, <교향곡 9번>, <장엄 미사>(Missa solemnis), <슈테판 왕>(King Stephen, 1811), <아테네의 폐허>(The Ruins of Athens, 1812) 등에 콘트라바순을 편성했다. 특히 오페라 <피델리오>(Fidelio, 1805)에 나오는 로코와 피델리오의 이중창 “Nur hurtig fort, nur frisch gegraben”에서는 콘트라바순 특유의 어두운 음색을 이용하여 긴장감 넘치는 감옥 장면을 표현했다.

3. 낭만주의

19세기 전반에 이르러 콘트라바순은 대규모 오케스트라에 편성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시기 콘트라바순은 사이즈가 너무 커서 다루기 불편했고, 사운드는 불안정했으며, 키 메커니즘은 미흡했다.

당시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는 <다장조 교향곡>(1832), <브리타니아 서곡>(Rule Britannia overture), 오케스트라와 남성 합창단을 위한 <사도들의 신성한 만찬>(Das Liebesmahl der Apostel, 1843) 등에 콘트라바순을 편성했고, 동시대 프랑스 작곡가 베를리오즈(Louis Hector Berlioz, 1803~1869)는 <장송과 승리의 대교향곡>(Grande symphonie funèbre et triomphale, 1840)에 콘트라바순을 사용했다. 그리고 1834년, 라이프치히의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에는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콘서트 서곡 <고요한 바다와 즐거운 항해>(Meeresstille und glückliche Fahrt)를 연주하기 위해 콘트라바순을 구입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바그너의 <다장조 교향곡> 중 2악장, 마디 1~9

바그너의 <다장조 교향곡> 중 2악장, 마디 1~9

1870년대 후반에 이르러, 독일의 헤켈사에서 콘트라바순을 혁신적으로 개량하고 또한 악기 연주자들이 여러 도시에서 활약하면서, 보다 많은 작곡가들이 작품 속에 콘트라바순 성부를 편성했다. 바그너는 새로운 헤켈식 콘트라바순을 지지한 작곡가이며, 음악극 <파르지팔>(Parsifal, 1882)에 콘트라바순을 사용했다. 드보르작(Antonín Dvorák, 1841~1904)은 <관을 위한 세레나데>(Serenade for Winds, op.44)에서 베이스 성부를 강화하기 위해 당시로서는 흔치 않은 악기였던 콘트라바순을 첨가하기도 했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교향곡들도 콘트라바순이 편성된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4. 20세기

20세기 초, 작곡가들은 규모가 큰 오케스트라 작품이나 오페라에 관례적으로 콘트라바순 성부를 포함시켰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말러(Gustav Mahler, 1860~1911)의 <대지의 노래>(Das Lied von der Erde),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의 <살로메>(Salomé)와 <엘렉트라>(Elektra), 엘가(Edward Elgar, 1857~1934)의 <제론티우스의 꿈>(The Dream of Gerontius), 라벨의 <어미 거위>(Ma mère l’oye), 쇼스타코비치(Dmitrii Shostakovich, 1906~1975)의 교향곡들,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 1874~1951)의 <구레의 노래>(Gurre-Lieder)와 <펠레아스와 멜리장드>(Pelleas und Melisande), 알반 베르크(Alban Berg, 1885~1935)의 오페라 <보체크>(Wozzeck)와 <룰루>(Lulu),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의 발레곡 <불새>(Firebird), <페트루슈카>(Petrushka),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 등이 있다.

특히 쇤베르크는 대규모 작품뿐 아니라, <실내 교향곡>(Chamber Symphony, no.1)과 같은 소규모 작품에서도 콘트라바순을 편성했는데, 이것은 콘트라바순이 실내악 작품에도 사용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리게티(György Ligeti, 1923~2006), 크세나키스(Iannis Xenakis, 1922~2001), 볼프강 림(Wolfgang Rihm, 1952년 태생) 등도 콘트라베이스가 편성된 실내악곡들을 작곡했다.

콘트라바순 독주곡으로는 체코 작곡가 에르윈 슐호프(Erwin Schulhoff, 1894~1942)가 작곡한 <Bassnachtigall, op.38>(1922), 미국 작곡가 다니엘 도르프(Daniel Dorff, 1956년 태생)의 <In a Deep Funk> 등이 있다. 또한 다니엘 도르프는 두 대의 콘트라바순을 위한 <Sonatina d’Amore>를 작곡했다.

콘트라바순 협주곡으로는 네덜란드 작곡가 헹크 바딩스(Henk Badings, 1907~1987)의 <바순, 콘트라바순과 윈드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1964), 루스 깁스(Ruth Gipps, 1921~1999)는 <콘트라바순과 챔버 오케스트라를 위한 리바이어던>(1969), 독일 작곡가이자 바순 연주자인 빅터 브룬스(Victor Bruns, 1904~1996)의 <콘트라바순 콘체르토, op.98>(1992) 등이 있다.

참고문헌

  • James B. Kopp. The Bassoon. Yale University Press, 2012.
  • “Bassoon (Fr. basson; Ger. Fagott; It. fagotto).” (Grove Music Online).
  • “Contrabassoon.” (Grove Music Online).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Double bassoon [contrabassoon] (Fr. contrebasson; Ger. Kontrafagott; It. contrafagotto).” (Grove Music Online).
  • “Eichentopf, Johann Heinrich.” (Grove Music Online).
  • “Gipps, Ruth(Dorothy Louisa)[Wid(dy) Gipps].” (Grove Music Online).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연관목차

371/1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