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명간군 자연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함경북도 명간군 자연

분류 행정구역정보관>개관>자연
행정구역 함경북도>명간군

명간군의 지형은 산지와 평야로 이루어졌다. 산지는 명간군 면적의 85.6%를 차지하며 대부분 지역이 해발 400~600m사이의 야산으로 되어 있다. 명간군의 서부지역에는 함경산맥에서 갈라진 만탑산맥(萬塔山脈)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 있다. 여기에는 감토봉(甘吐峯, 1,583m), 상리봉(上里峯, 1,053m), 기운봉(起雲峯, 1,874m), 중평북산(中坪北山, 1,399m), 연두봉(連頭峯, 1,287m) 등 높은 산들이 솟아 있다.

칠보산지(七寶山地)의 일부분을 이루는 동부지역에는 천덕봉(千德峯, 985m), 강릉산(江陵山, 707m), 장쾌산(763m)과 같은 산들이 솟아 있다. 명간군의 중부 화성천연안은 길주-명천 지구대의 요함지로서 주로 평야와 해발 100~200m의 구릉지대로 되어 있다. 북동부지역은 명간군에서 전형적인 현무암대지로 되어 있다. 제4기에 형성된 이 대지면은 극동, 광암, 신양 일대를 비롯한 그 주변지역에 넓게 전개되어 있는데, 덕 웃면은 해발 150~250m, 상대적 높이 100~200m 정도이다. 이 현무암덕은 토층이 두텁고 평탄하며 새땅개간의 주요 대상지로서 대면적이 과수밭으로 개간 이용되고 있다.

명간군의 중부 하평리로부터 북동부 호남리에 이르는 화성천(化成川)연안은 비교적 넓은 충적평야로 되어 있어 명간군에서 주요 농업지대를 이룬다. 명간군은 24km에 달하는 해안을 끼고 있다. 여기에는 불전끝, 전끝과 같은 바위돌기부들과 양화만(良化灣), 삼포만(三浦灣) 그리고 해주도(海州島)를 비롯한 5개의 섬이 있다. 명간군의 지질은 주로 중생대 대보계 재덕통, 신생대 함경계 용동통, 명천통, 칠보산층군, 제4기층과 단천암군, 학무산암군으로 이루어졌다. 명천통의 평륙층에는 유연탄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밖에 명간군에는 팽윤토, 고령토, 주물사를 비롯한 지하자원이 있다. 연평균기온은 7.2℃, 1월 평균기온은 -9.7℃, 8월 평균기온은 22℃, 최고극기온은 39℃(1980년 6월 5일), 최저극기온은 -27.8℃(1977년 1월 29일)이다. 연평균일조율은 53%, 연안개일수는 46일 정도이다. 연평균강수량은 600mm이다. 최고강수량은 1,160.9mm(1960년), 최저강수량은 370mm(1937년)였다. 10℃이상 적산온도는 읍지구에서 2,998℃, 서부 부암에서 2,850℃이다.

첫서리는 읍지구에서 10월 초에, 서부 부암지구에서 9월 말에, 마감서리는 읍지구에서 5월 초에, 서부 부암지구에서 5월 중순에 내린다. 땅이 어는 깊이는 명간에서 60cm이다. 가을, 겨울, 봄에는 남서풍이 우세하고 여름에는 북동풍이 우세한다.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부는 시기는 봄철이다. 4월 평균풍속은 3.4m/s이다.

명간군에는 어랑천(漁郞川)의 지류인 화성천과 이 하천에 유입되는 이평천(梨坪川), 웅주천(雄州川), 부암천(富岩川), 야자기천, 봉암천(鳳岩川), 송내천(松內川)을 비롯한 30여 개의 하천이 있다. 그중 길이가 5~10km에 달하는 하천이 17개, 10~20km의 하천이 10개, 20~50km의 하천이 2개, 50km 이상 하천이 2개이다.

명간군에는 극동, 광암, 신양, 입석, 명남, 양천 일대의 관개용수보장에서 의의가 큰 용산저수지(龍山貯水池), 청룡, 고성, 하월, 상장, 용반 일대의 관개용수보장에서 의의가 큰 청룡저수지(靑龍貯水池)가 축조되어 있다. 산림은 명간군 전체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소나무와 참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정보당 축적량은 41m3이다. 산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부암리, 부화리를 비롯한 군의 서부지역이다.

산림 속에서는 머루, 다래, 돌배 등 산과실과 고사리, 고비, 참나물 등 산나물이 많이 자란다. 부령군은 소나무숲이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고 송이버섯의 생장에 유리한 자연지리환경이 있어 송이버섯이 많이 발생한다. 특히 화룡, 호산, 입석, 양화, 삼포, 양천, 호남, 부암 일대는 송이버섯산지로 유명하다. 명간군은 동물분포에서 조선저지소구에 속한다. 산에는 여우, 산달, 오소리, 너구리, 노루와 같은 동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청서, 수달, 검은담비, 사향노루와 같은 짐승은 이평 일대의 깊은 산 속에 드물게 나타난다. 이평 일대에는 또한 북방계통의 동물로 알려진 큰 숫돌나비가 있다. 토양은 표백화갈색산림토양, 표백성토양, 갈색산림토양, 충적토, 논토양으로 이루어졌다. 표백성토양은 일부 해발이 높은 산들에 점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1059/1114
453) 함경북도 화대군 화대읍
454) 함경북도 화대군 교향리
455) 함경북도 화대군 금성리
456) 함경북도 화대군 용원리
457) 함경북도 화대군 용포리
458) 함경북도 화대군 목진리
459)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460) 함경북도 화대군 불로리
461) 함경북도 화대군 사포리
462) 함경북도 화대군 석성리
463) 함경북도 화대군 석현리
464) 함경북도 화대군 송동리
465) 함경북도 화대군 양촌리
466) 함경북도 화대군 자가리
467) 함경북도 화대군 장덕리
468) 함경북도 화대군 정문리
469) 함경북도 화대군 주의리
470) 함경북도 화대군 증산리
471) 함경북도 화대군 창촌리
472) 함경북도 화대군 토원리
473) 함경북도 화대군 하평리
474) 함경북도 명간군
475) 함경북도 명간군 명간읍
476) 함경북도 명간군 극동노동자구
477) 함경북도 명간군 양화노동자구
478) 함경북도 명간군 용반노동자구
479) 함경북도 명간군 고성리
480) 함경북도 명간군 광암리
481) 함경북도 명간군 근동리
482) 함경북도 명간군 용덕리
483) 함경북도 명간군 용동리
484) 함경북도 명간군 입석리
485) 함경북도 명간군 명남리
486) 함경북도 명간군 백록리
487) 함경북도 명간군 부암리
488) 함경북도 명간군 부화리
489) 함경북도 명간군 삼포리
490) 함경북도 명간군 상장리
491) 함경북도 명간군 신양리
492) 함경북도 명간군 양천리
493) 함경북도 명간군 청룡리
494) 함경북도 명간군 하우리
495) 함경북도 명간군 하월리
496) 함경북도 명간군 하평리
497) 함경북도 명간군 함진리
498) 함경북도 명간군 호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