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명간군 광암리 개요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함경북도 명간군 광암리 개요

분류 행정구역정보관>개관>개요
행정구역 함경북도>명간군>광암리

함경북도 명간군 1읍 3구 22리의 하나. 군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는 리. 북쪽과 서쪽은 극동노동자구, 동쪽은 신양리, 남쪽은 입석리와 접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경성군 동면의 부암동 · 경암동 · 광상동을 병합하여 명천군 동면에 신설한 동으로서 광상동의 ‘광’자와 부암동 · 경암동의 ‘암’자를 따서 광암동이라 하였다.

1949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다시 리제를 실시하면서 광암리로 되었다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명천군 동면의 수암리와 병합하여 영안군 광암리로 개편되었다. 1967년에 영안군이 명간군으로 개칭되면서 명간군 광암리로 되었고, 1981년 10월 명간군이 다시 화성군으로 개칭되면서 화성군 광암리로 되었다.

이 지역은 대부분 화성천 하류의 왼쪽 연안에 형성된 충적지와 현무암덕지대로 되어 있다. 농경지는 리 전체면적의 77% 되는데, 그 대부분이 해발 100m 미만의 지대에 분포되어 있다. 농경지 가운데서 논이 60.4%, 밭이 19%, 과수밭이 18.7%를 차지하며 주로 벼와 옥수수가 재배된다. 이밖에 도에서 과일생산지로 유명하다. 광복 전에 땅이 척박하고 물이 없어 이용되지 못하던 장덕대지를 개간하여 관개체계까지 북부지방에서 손꼽히는 과일생산기지로 전환시켰는데, 배, 복숭아, 사과 등이 주종을 이룬다.

축산업에서는 소, 돼지, 토끼 등 가축을 사육하고 양잠업에서는 뽕누에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주요 업체로는 광암협동농장, 3월21일과수농장 등이 있다. 교통은 중심으로 평라선이 통과하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원산~우암 간 1급도로가 개설되어 있는데, 군 소재지인 명간읍까지는 6km이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1074/1114
459)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460) 함경북도 화대군 불로리
461) 함경북도 화대군 사포리
462) 함경북도 화대군 석성리
463) 함경북도 화대군 석현리
464) 함경북도 화대군 송동리
465) 함경북도 화대군 양촌리
466) 함경북도 화대군 자가리
467) 함경북도 화대군 장덕리
468) 함경북도 화대군 정문리
469) 함경북도 화대군 주의리
470) 함경북도 화대군 증산리
471) 함경북도 화대군 창촌리
472) 함경북도 화대군 토원리
473) 함경북도 화대군 하평리
474) 함경북도 명간군
475) 함경북도 명간군 명간읍
476) 함경북도 명간군 극동노동자구
477) 함경북도 명간군 양화노동자구
478) 함경북도 명간군 용반노동자구
479) 함경북도 명간군 고성리
480) 함경북도 명간군 광암리
481) 함경북도 명간군 근동리
482) 함경북도 명간군 용덕리
483) 함경북도 명간군 용동리
484) 함경북도 명간군 입석리
485) 함경북도 명간군 명남리
486) 함경북도 명간군 백록리
487) 함경북도 명간군 부암리
488) 함경북도 명간군 부화리
489) 함경북도 명간군 삼포리
490) 함경북도 명간군 상장리
491) 함경북도 명간군 신양리
492) 함경북도 명간군 양천리
493) 함경북도 명간군 청룡리
494) 함경북도 명간군 하우리
495) 함경북도 명간군 하월리
496) 함경북도 명간군 하평리
497) 함경북도 명간군 함진리
498) 함경북도 명간군 호남리
499) 함경북도 명간군 호산리
500) 함경북도 명간군 화룡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