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동 유적

서상동 유적

[ 昌原 西上洞 遺蹟 ]

지역 창원
창원 서상동 유적 전경

창원 서상동 유적 전경

창원 서상동 유적 집자리

창원 서상동 유적 집자리

경상남도 창원시 서상동 남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서상동 공원조성 계획의 일환으로 1997년에 창원대학교박물관이 발굴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집자리〔住居址〕, 환호(環濠), 조개무지〔貝塚〕와 그 밖에 원삼국시대 집자리, 원형도랑유구〔環溝遺構〕, 폐기장(廢棄場), 조개무지, 그리고 중세와 근세의 건물지, 구덩유구〔竪穴遺構〕, 도랑유구〔溝狀遺構〕 등이 확인되었다. 유적은 창원을 내려다보는 해발 100m 정도의 독립구릉 정상부에 입지한다. 중심구릉은 북서-동남방향으로 길쭉한 타원형인데 북서편은 최근 도로 개발로 유적의 일부와 함께 절단되어 버렸다.

청동기시대에 형성된 유구는 타원형으로 구릉 정상부를 감싸며 돌아가는 환호와 그 내부 경사면에 집자리, 환호 밖으로는 남서 사면에 소규모 폐기장구덩 1개소, 동쪽 사면에는 소규모 조개무지 1개소가 위치하고 취락 중심으로부터 약 50m 떨어져서 조개무지가 형성되어 있다. 구릉의 정상부에는 망루(望樓)로 추정되는 한 칸 짜리 지상건물지(地上建物址) 외에는 어떠한 주거시설도 발견되지 않는다. 집자리와 저장구덩이〔貯臧孔〕는 서남쪽 사면에 심한 중복을 보인 채 밀집되어 있으며, 일부 집자리와 중복되기도 하면서 모두 6열의 도랑이 굴착되어 있다.

환호는 전체 집자리와 도랑을 타원형으로 둘러싸면서 규모가 큰 중심환호(환호 Ⅱ)가 돌아가고 그 바깥쪽으로 2중 혹은 3중으로 규모가 보다 작은 외환호(환호 Ⅲ, Ⅳ, Ⅴ, Ⅵ)들이 돌려져 있다. 중심환호(환호 Ⅱ)는 구릉을 타원형으로 완전히 감싸도록 구축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환호의 출입구(육교)는 경사가 완만하게 내려가는 동쪽 지맥을 향해 열려 있으며 반대편인 북서쪽이 도로공사로 절단되었기 때문에 또 다른 입구가 존재하는지는 불명확하다. 환호의 바닥 높이는 입구쪽이 가장 높고 북서쪽으로 가면서 낮아지기 때문에 강우로 침수될 때에는 자연스럽게 북서쪽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중심환호는 매몰된 토사를 퍼내면서 수차례 부분적으로 개축된 바 있고 개축 시마다 저면의 형태가 달라지고 안팎으로 이중 축조한 흔적이 있다. 이후 그 기능이 상실되면서 다량의 폐기물(토기편, 석기, 파손품, 조개껍질, 짐승뼈) 투기와 함께 고의로 매립되었다. 따라서 환호 내부토는 크게 3개의 층으로 구분된다. 환호 저면으로부터 7∼80㎝ 미만의 하층은 환호 벽면의 유실과 주변 토사의 유입에 의해 형성된 밝은 층이고, 그 위에 인위적인 퇴적물이 쌓인 흑갈색층인 중층이 형성되고 최상층인 얇은 갈색층은 원삼국시대 유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중심환호의 장축은 70m, 단축은 40m, 조사된 환호 전장은 200m가 된다. 특히 환호지역은 감싼 범위가 넓지는 않으나 자체 규모만으로는 지금까지 한반도 내에서 발견된 가장 대규모라고 할 수 있다.

집자리는 평면형태에 따라 원형, 장방형, 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원형 집자리는 바닥 중앙에 타원형구덩이〔娥圓形竪穴〕와 그 양단에 매우 깊은 기둥구멍〔柱穴〕을 배치한 송국리형(松菊里型)으로 각각 크기가 차이는 있지만 소형은 없다. 유물 바닥에 원래대로 놓여진 채 출토된 완형은 거의 없고 내부토 중에 유입되어 퇴적된 유물이 대부분이다. 장방형 집자리 중에는 크기가 아주 큰 것은 길이 800㎝ 정도이다. 대부분 화재로 폐기되었으며 완형유물도 많이 출토된다. 방형은 상대적으로 소형에 속하는 편이며 특별한 기둥구멍의 배치는 발견되지 않는다. 방형계열은 모두 집자리 바닥 한쪽 편에 화덕자리〔爐址〕를 가지며 벽도랑〔壁溝〕이 있다. 58호처럼 대형의 세장방형 집자리는 화덕자리 2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대형의 독모양토기〔甕形土器〕가 매설된 구덩이 2개가 있다.

집자리에서 출토된 유물은 많은 양의 석기와 토기가 확인되었다. 항아리모양토기〔壺形土器〕의 비중이 낮고 깊은바리모양계 독모양토기의 비중이 높은 점, 삼각형돌칼〔三角形石刀〕나 홈자귀〔有溝石斧〕가 출토되지 않는 점 등으로 보아 형식이나 그 조합상으로 이른바 송국리유형의 유물들과 상통하지만 전형적인 양상보다는 고식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서상동 남산 유적은 고소(高所)에 입지하여 중심환호는 특별한 방어시설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자체만으로도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을 것이다. 단순한 취락구획용이 아니라 망루의 구조 등과 관련시켜 방어용임이 인정될 수 있다. 또한 서상동 남산 유적은 집자리의 수에 비해많은 양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그 중에도 특히 다량의 붉은간토기〔丹塗磨硏土器〕와 간돌검〔磨製石劍〕과 같은 의례용 물품이 출토 되어 주목된다. 지방기념물. (김형곤)

참고문헌

  • 창원 남산 유적 시굴조사보고서(창원대학교박물관, 1996년)
  • 남산 유적(창원대학교박물관, 창원의 선사와 고대, 1998년)

동의어

남산 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