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리 유적

덕천리 유적

[ 昌原 德川里 遺蹟 ]

지역 창원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덕천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支石墓)로서 1992년부터 1993년에 걸쳐 경남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조사되었는데 밭으로 개간된 평지와 산이 접하는 경계지점에 위치한다. 창원 덕천리 고인돌 유적에서는 고인돌 3기, 돌덧널(石槨)·돌널(石棺)무덤 12기, 돌뚜껑움무덤(石蓋土壙墓) 5기 등이 확인되었는데, 이들 유구는 동-서 90m 남-북 230m 가량에 분포되어 있다. 원래 덮개돌(上石)로 보이는 괴석(塊石)이 6개 있었으나 3개의 괴석 아래에서는 매장주체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덕천리 고인돌은 대체로 남-북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었다. 또 덮개돌이나 무덤구덩이(墓壙)의 규모에 있어서 차이는 있으나 하나의 단이 지게 무덤구덩이를 파고 그 아래에 돌덧널형의 매장주체부를 축조한 점이 공통된 특성이다. 이들 고인돌은 돌뚜껑(蓋石)을 1겹 이상 덮고 개석과 개석 사이 또는 개석 윗부분에 적석(積石)을 하고 있으며 외형상 원형의 봉토처럼 보이는 적색·황색토가 덮여 있었다.

1호 고인돌은 가로, 세로 8×6m의 무덤구덩이를 3단으로 파고 4.5m 아래에 매장주체부를 축조하였다. 장축방향 남-북의 매장주체부에는 5매의 뚜껑돌(蓋石)을 덮었고 그 위에 30-50㎝ 크기의 돌을 800여 개 정도 쌓아 놓았다. 그리고 그 위에 12매의 개석을 2겹으로 덮고 무덤구덩이 어깨선까지 흙을 채웠다. 또 그 위에 적색 황토를 봉토처럼 50㎝ 가량 덮은 후 그 위에 고임돌(支石)을 놓고 덮개돌을 올려놓았다. 매장주체부 내부의 크기는 길이, 너비, 깊이가 2.8×0.8×1.2m이며 바닥에는 판돌(板石)을 깔았고 네 벽은 판상의 깬돌(割石)로 가로 쌓았다. 고임돌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기반식(南方式)고인돌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2호 고인돌과 5호 고인돌 모두 매장주체부 등 하부구조의 구조적 특성에 있어 규모는 작으나 1호 고인돌과 비슷하다. 다만 고임돌이 확인되지 않았고 매장주체부 장축방향이 동-서라는 점이 다르다. 2호 고인돌과 5호 고인돌은 개석식(無支石式)고인돌인 것으로 보인다.

1호 고인돌에서는 세장형(細長型)의 유경식 돌화살촉(有莖式石鏃) 22점, 대롱옥(管玉) 6점, 목제품 2점 등이 나왔다. 보고자는 나무널(木棺)이 사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2호 고인돌에서는 대롱옥(管玉) 165점, 붉은간토기(紅陶) 1점과 칠편(漆片)이 출토되었고 역시 널이 사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5호 고인돌에서도 붉은간토기가 1점 나왔다. 또 함께 조사된 같은 지구내의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또는 돌뚜껑움무덤에서도 고인돌에서 출토된 것과 동시기의 유물로 판단되는 붉은간토기(紅陶) 9점, 간돌검(磨製石劍) 3점, 돌화살촉 36점, 돌끌(石鑿) 1점, 재가공한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 1점, 민무늬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 따라서 고인돌, 돌널무덤, 돌뚜껑움무덤 모두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진 유구임이 확인되었다.

이 유적에서 특이한 것은 1호 고인돌 외곽을 둘러싸며 묘역을 구획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석축이 확인된 것이다. 석축(石築)은 현재 남-북 56.2m, 동-서 17.5m 남아있고 치석(治石)한 석재로 가로쌓기(平積)를 하여 축조되었는데, 기단부 최하단석은 앞으로 조금 튀어나와 있다. 이 유적에서 북동쪽으로 약 300m 떨어진 구릉과 골짜기에서는 ‘V’자형 환호가 확인되었다. 집자리가 확인되지 않아 연대를 확정할 수 없으나, 구릉상의 입지 등으로 보아 덕천리 고인돌 축조집단과 관계된 생활유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창원 덕천리 고인돌은 독립적으로 구획된 묘역의 존재와 고인돌의 규모에서 보이는 차이가 사회의 분화정도를 반영하는 피장자(被葬者)의 사회적 신분상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덕천리 고인돌은 고인돌과 묘역 석축의 축조에서 보이는 청동기시대 석축기술 수준, 나무널과 칠기(漆器)의 사용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또한 고인돌 구조의 지역적 특이성을 보여주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생활공간과 무덤공간의 구분적 사용 등 당시 사람들의 공간사용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1호 고인돌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내부에서 다량의 민무늬토기와 돌끌, 숫돌 등이 발견되어 어떤 의례가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출토유물을 통해볼 때 창원 덕천리 유적의 중심연대는 대략 B.C. 4세기경으로 보고자는 파악하고 있다.

참고문헌

  • 창원 덕천리유적 지도위원회의 및 현장설명회 자료(경남대학교박물관, 1993년)
  • 창원 덕천리유적 발굴조사보고(이상길, 제17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요지-삼한사회와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199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