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정동 유적

괴정동 유적

[ 大田 槐亭洞 遺蹟 ]

지역 대전

다량의 청동기가 부장된 초기철기시대의 무덤유적으로, 이 유적은 대전광역시 서구 괴정동에 위치하는데, 1967년 주민이 밭을 갈던 중에 우연히 발견되었다. 해방 후 세형동검(細形銅劍)이 출토되는 무덤유적으로는 가장 많은 유물이 발견되어 최대의 수확으로 평가된 바 있다.

대전 괴정동 출토유물 각종

대전 괴정동 출토유물 각종

유구는 깬돌(割石)을 쌓아 올려 네 벽을 구축하였는데 바닥에 부식된 목질 흔적이 남아 있어 돌덧널 내에 나무널을 넣었거나 나무널과 묘광 사이에 할석을 넣은 형식으로 보이지만 절반 이상이 이미 파괴되어 있었다. 돌덧널(石槨)시설은 남-북 방향으로 장축을 두었는데 남북, 동서, 깊이를 3.3×2.8×2.7m 가량 파 내려가서 길이, 너비, 깊이가 2.2×0.5×1.0m 크기의 돌덧널구조를 만들었다.

내부는 위에 채운 돌이 무너져 쌓여 있었으므로, 뚜껑은 없었거나 나무뚜껑을 덮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뚜껑 위에는 적석을 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매장주체부가 된 돌덧널은 두께 10㎝ 정도의 깬돌을 쌓아 네 벽을 구성하고, 바닥에는 돌을 깔지 않았다. 바닥에 얇은 나무 조각 썩은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돌덧널 내에 나무널(木棺)을 안치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무덤 북쪽 끝에서 토기 2점이 발견되었으며, 그로부터 남쪽에 검파형동기(劍把形銅器), 방패형동기(防牌形銅器), 그리고 동종방울(銅鐸), 동경과 원개형동기(圓蓋形銅器) 등이 차례로 놓여 있었다. 남쪽 부분에서는 천하석으로 만든 1쌍의 식옥(飾玉)과 작은 옥들이 흩어져 있었고, 중간 허리 부분에서는 동검(銅劍) 1점과 간돌화살촉(磨製石鏃)이 나왔다. 동검은 자루가 남쪽을 향해 있었으며, 귀고리로 짐작되는 식옥 또한 남쪽에서 출토되었다. 이와 같은 매장상태로 미루어 주인공은 머리를 남쪽으로 둔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유물은 검은간토기(黑陶) 1점, 점토띠토기(粘土帶土器) 1점, 검파형동기 3점, 방패형동기 1점, 동종방울 2점, 동경 2점, 원개형동기 1점, 천하석제식옥 2점, 구슬 50여 점, 간돌화살촉 3점과 세형동검 1점이다. 세형동검은 길이 32.4㎝로 동검 가운데 지나고 있는 등대의 마연(磨硏) 부분이 중간의 마디 이하로 내려오지 않는 형식이다.

동경은 2면 모두 조문경(粗文鏡)에 속하는데, 1면은 직경 11.3㎝로 성형문(星形文) 내부를 사선으로 채운 형식이며, 원래 깨진 상태로 부장된 것으로 보여지며, 부여 연화리(蓮花里)에서 이와 비슷한 형식의 거울이 출토된 바 있다. 또 한 면은 직경 8㎝ 크기의 원권대(圓圈帶)로 내외를 구획하여 평행사선문을 채운 3구식이다. 외구(外區)와 중구(中區)에는 사선으로 채운 삼각거치문(三角鋸齒文), 내구(內區)에는 불규칙한 사각형선문(四角形線文)을 배치하였는데, 문양구성은 앞서 성형문경(星形文鏡) 보다 세문경(細文鏡)에 가깝다.

방패형동기는 길이 16㎝ 정도의 크기에 방패와 같은 형태에 윗부분은 각이 지고 아래쪽은 원형으로 마무리되었다. 가운데 세로와 전체 윤곽을 따라 좁은 격자문대(格子文帶)가 있으며, 상부에는 4개의 네모난 구멍이 뚫려 있다. 끈으로 매달아 오랫동안 사용하여 닳아 빠진 흔적이 있다. 본 유적 출토의 다른 청동기에 비해 문양이 크고 제작기법이 거칠어서 성형문경과 함께 전세품(傳世品)일 가능성이 많다. 대전 출토라고 전하는 농경문청동기와 마찬가지로 의기로 추정되는데, 이와 같은 방패형동기는 남성리(南城里) 유적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또한 요령성(遼寧省) 심양(沈陽) 정쟈와즈(鄭家窪子) 유적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것이 출토되었는데, 그곳에서는 도끼주머니로 이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파형동기는 동서리(東西里), 남성리 유적에서와 마찬가지로 3점이 출토되어 3점 1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길이는 23㎝ 정도로 대나무를 세로로 쪼갠 형태로서 중간에 마디가 있어 상하 2구로 구분된다. 각 구마다 주위 윤곽을 따라 네모난 세선문대(細線文帶)를 이중으로 돌려서 구획하였다. 한가운데는 새끼줄을 꼬아 만든 형태의 둥근 고리를 하나씩 매달아 두었으며, 이면에는 꼭지가 상하로 붙어 있다. 겉면에 동서리, 남성리의 예에서 보이는 손, 사슴 등의 무늬는 장식되지 않았다.

원개형동기는 직경 20.6㎝로 한쪽이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둥글게 나온 면 한쪽에 치우쳐서 고리를 붙였다. 이러한 형태의 청동기는 遼寧省 沈陽 鄭家窪子에서도 출토되었고, 충청남도 지방에서는 예산 동서리에서 나온 바 있다.

동종방울은 2점이 출토되었는데 한반도에서 출토된 것으로는 가장 오랜 것으로 각각 길이가 11.4㎝, 11.2㎝이다. 윗부분에 반원형의 고리가 달리고 횡단면이 은행모양이며, 혀는 없으나 매달기 위한 구멍이 나 있다.

간돌화살촉 3점은 길이 6.8-7.4㎝로 촉몸에 슴베가 없는 평면 삼각형, 단면 편육각형인데 매우 얇다. 천하석제 식옥은 2점으로 반원형 옥의 가운데를 둥글게 파낸 것으로 한쪽에 구멍을 뚫었다. 길이는 3.2㎝, 3.4㎝이다.

검은간토기 목긴항아리 1점은 높이 22㎝로 바닥이 납작하고 몸체가 둥글며 길다란 목을 가졌다. 고운 흙으로 빚어 두께가 얇으며 토기의 겉면을 마연하여 광택이 나는 토기이다. 점토띠토기 1점은 높이 17㎝로, 납작한 바닥에 거친 흙으로 투박하게 빚어 올렸으며, 아가리에 점토의 테두리를 붙인 토기이다.

본 유적은 의기가 출토된 세형동검 유적으로서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랜 편에 속한다. 아울러 遼寧省 沈陽 鄭家窪子 유적에서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과 공반 출토된 조문경, 원개형동기, 검은간토기 목긴항아리가 출토되어 충남지방의 세형동검문화가 요령지방의 그것과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여 주고 있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 유적이다. 또한 점토띠토기와 검은간토기 등의 무문토기가 공반출토됨으로서 남한의 세형동검문화가 무문토기 후기에 속하는 것임을 알게 한 표지유적으로서도 중요한 바, 연대는 B.C. 4세기경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돌무지돌덧널무덤(積石石槨墓) 혹은 돌무지널무덤(積石木棺墓)은 충남지방에서는 예산 동서리, 아산 남성리를 비롯하여 전남지방에서는 화순 대곡리, 함평 초포리 등 한반도 서남지역에서 세형동검유물을 공반하면서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참고문헌

  • 韓國靑銅器文化硏究(尹武炳, 藝耕産業社, 1987년)
  • 大田 槐亭洞 靑銅器文化의 硏究(李殷昌, 亞細亞硏究 30, 1968년)
  • 靑銅遺物圖錄(國立博物館, 國立博物館學術資料集, 196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