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문청동기

농경문청동기

[ 農耕文靑銅器 ]

農耕文靑銅器, 傳 大田 出土 폭 12.8cm (前面)

農耕文靑銅器, 傳 大田 出土 폭 12.8cm (前面)

農耕文靑銅器, 傳 大田 出土 폭 12.8cm (後面)

農耕文靑銅器, 傳 大田 出土 폭 12.8cm (後面)

초기철기시대의 이형(異形) 청동기로, 1970년대 말 대전의 고철 수집인에게서 구입한 것이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다. 정확한 출토상황과 출토지는 불분명하고 단지 대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할뿐이다.

그 형태는 대전 괴정동(槐亭洞)에서 출토된 방패형동기(防牌形銅器)와 같으나, 하반부가 결실되었고 그나마 현존하는 상반부도 둘로 절단되었다. 전후 양면에 나뭇가지에 올라앉은 새와 따비로 밭을 갈고 있는 장면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어 당시 문화의 일면을 구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현존하는 길이는 12.8㎝, 너비 7.3㎝, 두께 1.5㎜인데, 전후 양면을 곱게 마연(磨硏)하였고 제작수법도 아주 정교하다. 괴정동 출토의 방패형동기보다는 상부 좌우 돌출부가 더 길고 뾰족한데, 상면에는 6개의 방형 구멍이 있다. 양 가장자리에 있는 2개의 구멍이 많이 닳은 것으로 보아 이 두 구멍에 끈을 묶어서 매달았던 것으로 보인다.

전면에서 약 1㎝ 안쪽에 7-8조의 세선문대(細線文帶)를 청동기의 윤곽과 평행하게 돌렸는데, 대체로 1.5㎝의 간격을 두고 3-4조의 단선이 직각으로 꺾이며 내외선의 위치를 바꾸어 마치 번개무늬 변형처럼 보인다. 중앙에는 수직으로 격자문대(格子文帶)를 배치하여 내부가 2구로 분할되었다.

좌측구간 하부에는 반원형의 꼭지가 있고, 이 꼭지에는 새끼타래무늬 고리가 달려 있으며, 우측구간에도 이와 똑같은 꼭지와 고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모두 결실되었다. 좌우 양 구간에는 ‘Y’자형의 나무가지 끝에 2마리씩의 새가 각각 마주보고 앉아 있는 그림이 장식되어 있다.

뒷면에도 좌우 2구로 면을 분할하였는데, 주위는 거치문(鋸齒文)과 격자문(格子文)의 복합문대(複合文帶)를 돌렸다. 좌우 구간을 가르는 중앙의 문양대는 전면과 똑 같다. 좌측구간에는 하반신이 결실된 사람이 손을 앞으로 내밀고 있으며, 그 앞에는 사격자문(斜格子文)의 아가리가 좁은 항아리가 놓여 있다. 우측 구간에는 사람이 두 손으로 따비자루를 잡고 한쪽 발은 따비를 밟고 있는 모습인데 따비 날의 끝이 둘로 갈라져 있다. 그 밑에는 10조의 횡선을 그어 네모꼴의 밭고랑을 만들어 밭갈이를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사람은 두 다리 사이에 남근이 삼각형으로 표현되어 있어 남자임을 알 수 있다.

전면의 그림은 일종의 솟대를 상징한 것처럼 보이고, 후면은 추수하고 농사 짓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농경문청동기는 제사지내는 시기를 표시하고, 신을 부르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 마한조(馬韓條)의 기록에서처럼 봄·가을에 제사할 때 큰 나무에 매달던 의기(儀器)로 생각된다. 그 연대는 비슷한 형태의 대전 괴정동의 세형동검(細形銅劍) 관계 일괄출토 유물로 미루어 B.C. 3세기대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農耕文靑銅器에 對하여(韓炳三, 考古美術 112, 1971년)